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함세웅 신부님에 관한 알권리

내용
제목 : 새삼 주목 받는 ‘정의구현사제단’ 함세웅 신부의
‘교통致死’사건.

라이트뉴스 김남균 기자

최근 제주해군기지 반대시위 전면에 나서며 다시한번 그 이름이
언론지상에 오르내리고 있는 ‘정의구현사제단’ 소속 신부의 과거
행적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이 신부의 오래 전 행적이 네티즌들의
입방아에 오르게 된 것은,
최근 조선일보 선우정 기자가 쓴『좌파의 면죄부』란 제목의 글
때문이다.

선 기자는 이 글에서 소위 ‘민주화’ 인사들의 위선을 꼬집었다.

글은 먼저 다음과 같은 말로 시작된다.

“1979년 4월 27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반포동의 한 기업체 사장
집에 4인조 강도가 침입했다. 이들은 경비원을 칼로 찌르고 비서를
묶은 뒤 집안을 뒤졌다. 하지만 칼에 찔린 경비원이 집 밖으로 나가
소리를 지르는 바람에 달아나다가, 그중 1명이 비명을 듣고 달려나온
주민들에게 붙잡혔다. 이들 일당은 5개월 전에도 서울 휘경동 기업체
사장 집에 선거운동원을 가장하고 침입해 가족을 칼로 위협하고
금반지 등 금품을 털었다.”

이같이 운을 뗀 선 기자는 “이 삼류 강도질이 민주화운동으로 둔갑한
것은 27년 후인 2006년”이라며
“정부 조직인 민주화운동보상심의위원회가 이런 행위를 ‘유신체제에
항거하기 위한 민주화운동의 일환’이라고 규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통 강도였다면 영원히 남을 전과(前科)가 훈장으로 변한
것은, 이들이 혁명을 강령으로 내걸었던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
소속이었기 때문”이라며 “달아나다가 붙잡힌 강도 이모씨는 훗날 장관
물망에까지 올랐고, 일찍 숨을 거둔 강도 김모씨는 ‘전사(戰士) 시인’
‘한국의 체 게바라’로 불리며 지금도 일부의 존경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선 기자는 이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실 강도질은 아무것도 아니다. 1989년 5월 1일 학내 문제로
시작한 농성장에서 화염병을 집어던지다가 경찰관 7명을 죽음에
이르게 한 부산동의대 사건 관련자의 행위도 민주화운동 과정
이라고 인정받았다.

2002년 민주화운동보상심의위는 "살인에 고의가 없었고 통상의
시위방식에 따라 화염병을 사용한 것이 인정되므로 민주화운동
관련성을 부인할 수 없다"는 아리송한 논리로 방화치사상 범죄인들
을 민주화운동 기여자로 만들었다.”

그는 “''민주화''란 이름의 면죄부는 민주화운동보상심의위 결정
이전부터 좌파 스스로가 발급하던 특권적인 전유물”이라며,
이 ‘특권’의 힘이 어느 정도였는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일반인을 경찰 프락치로 몰아서 10일 동안 감금 폭행한 1984년
서울대 폭행사건은 연루자들의 집요한 주장으로 당국의 조작수사
논란만 부각됐다. 몽둥이 고문, 주전자 물고문같이 수사당국이 밝힌
운동권의 폭력행위는 역사 속에 묻혔다.

당시 고문당한 사람들은 프락치로 몰린 멍에를 안고 낮은 곳에서
살고 있지만, 사건에 연루된 유모씨는 장관, 윤모씨는 국회의원,
이모씨는 변호사 등 높은 곳까지 올라갔다.”

실명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여기서 ‘유모씨’가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라는 것쯤은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선 기자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은 일화를 전했다.

“이런 경우도 있다. 1984년 서울 강변도로에서 횡단하던 일곱 살
어린이가 자동차에 치여 숨졌다. 사고차량을 운전한 사람은 입만
열면 민주주의와 정의를 외치던 유명 성직자였다. 당시 언론은 이
사건을 사회면 1단 기사로 취급하거나 아예 다루지 않았다.

경찰도 이 성직자를 불구속 입건하는 데 그쳤다. 도로로 뛰어든
어린이를 피하지 못해 일어난 단순사고였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의한 효순·미선양 사망사고 당시
이 성직자가 만든 사제단은 미군이 일부러 일으킨 사고가 아님에도
‘살인 미군의 회개를 촉구한다’며 단식기도회를 열었다.

일곱 살 어린이를 죽음에 이르게 한 사고를 두고 누군가 ‘살인 성직자’
운운했다면, 그 가혹함을 그는 용서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같이 전한 선 기자는 “좌파의 세상에는 참 편하게 사는 사람들이
많다”며 “다른 사람은 냉정하게 단죄하지만 자신은 강도질,
치사상(致死傷), 물고문까지 너그럽게 면죄하는 세탁 시스템을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광재 전 강원지사에 이어 곽노현 서울시교육감까지 싸고도는
요즘 행동을 보면 조만간 그들의 면죄부 목록에 뇌물까지 추가할 모양”
이라며 “세 치 혀로 세상을 홀리는 그들의 재주가 신기하기도 하고,
때론 부럽기도 하다”는 말로 글을 맺었다.

끝내 어린이를 숨지게 만든 교통사고를 일으킨 ‘성직자’가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동아닷컴 댓글란에는 “실명으로 부탁드립니다”란 의견이 올라오기도 했다.
결국 궁금증을 참지 못한 네티즌들이 ‘교통사고 낸 신부가 누구냐?’고
수소문하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금방 찾아냈다.

아래는 1984년 9월 18일 경향신문 7면에 난 기사다.(첨부 보도사진 참조)
<첨부물 올리는 란이 없어 아쉽네요>

만일 우파성향 신부였다면 ‘살인 신부’가 됐을 법한 함 신부는,
추기경에게도 하고 싶은 말 다 하는 소신(?)의 성직자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도 제주해군기지 문제 등 정치·사회적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주장해온 소위 인권운동가들이 준비중인
전시회에 참여, “돈 많은 이들이 회개해서 여기 작품을 많이 사길 바란다”고
말하기도 했다.

기사입력: 2011/09/08 [17:12]
최종편집: ⓒ 라이트뉴스(http://rightnews.kr)

대한해외참전전우회 창원시지회 홍보담당
겸, 해군동지회 창원시지회 홍보담당
겸, 보훈지킴이 창원시팀장
겸, 창원기능대학 총동문회 21세기비젼실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