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머 국사암기법 145

내용
143. 댓글 소개. 신선한 아이디어!

[사찰]
*법상종의 중심사찰-금산사
‘상’으로 ‘금산’을 받았다.

*법성종의 본찰-분황사
‘성’스런 사람은 분한(분황) 마음을 갖지 않아.

*화엄종의 본찰-부석사
‘화’려하고 ‘엄’한 것도 오래되면 부석부석.

*계율종의 본찰-통도사
‘계율’을 잘 지킨 ‘통’달한 ‘도’사.

*양양 낙산사 창건-의상
화려한 ‘의상’을 입고 ‘양양’대다 낙상(낙산).

*범어사 창건-의상
‘범 어사’의 ‘의상’이 화려.

*감은사 창건-신문왕 때
‘신문’으로 휘‘감은’ 감은사.
진실에 눈 ‘감은 신문’.

[연상기억법. 중국]
*하나라의 우왕-홍수예방 치수 성공
‘하’늘과 ‘우’주의 섭리를 잘 다스려 치수 성공.

*하나라 → 은나라 → 주나라
‘하’나님의 ‘은’혜 ‘주’심에 감사합니다.

*은나라의 갑골문자
‘은’반지 사주니까 ‘갑’자기 ‘골’ 낸다. 금반지 아니라고.








144. 역사상의 인물을 주변 사람과 연결시키면 기억하기 쉽다.

*통일 신라 때 귀족들에게 환영을 받은 불교-화엄종
귀족들은 ‘화’려한 걸 좋아하고 ‘엄’했다.

*신라 왕실은 교종을 선호
왕실은 ‘교’만했다.

*교종은 귀족 불교
귀족들은 ‘교’만했다.

*교종은 교리와 권위를 중시
‘교’만한 귀족들은 권위를 중시.

*교종의 영향으로 조형미술 발달
‘교’과서에 조형미술이 있다.

*불교의식을 중시하지 않는 선종의 영향으로 조형미술은 점차 쇠퇴
선종은 ‘선’문답을 좋아하지 의식은 중시하지 않아.

*선종의 성행-신라 말기
말기(죽을 때)가 되면 ‘선’해진다. 천당 가려고.

[연상기억법]
*케네디-미국 제35대 대통령
케네디를 사모(35)하는 사람들이 많다.

*타인의 기대나 관심을 받으면 능률이 오르는 것-피그말리온 효과
타인의 기대나 관심을 받으면 ‘피’ ‘말리’는 노력을 더해야 돼.

*카이사르가 ‘주사위는 던져졌다’라는 말을 하고 건넌 루비콘강은 현재 이탈리아에 위치
‘이’거 ‘탈’이군! ‘루비’와 ‘콘’이 나온다고 막 몰려와. 맛있는 콘.









145. 연상은 이질적이고 큰 차이가 있는 것일수록 좋다

[9산의 시조]
*가지산-도의
가지마오, 도의를 지키시오! 흑흑....

*도의의 가지산파 개창-헌덕왕 때
가지마오, 도의를 지키시오!
‘헌’신적으로 사랑했는데....

*성주산-무염
성주님 앞에서 무엄(무염)하도다!

*무염-진골귀족의 몰락자
무엄(무염)한 짓을 해서 몰락.
망해 가지고 ‘무’슨 ‘염’치로 왔어?

*실상산-홍척
‘실상’은 흥(홍)하는 척(척) 하는거야.

*동리산-혜철
우리 ‘동리’에 헤(혜)프게 노는 철다구니(철) 없는 애가 있어.

[연상기억법]
*사회보험제도 최초로 실시-독일
험! 전에 험악했던 나라, 독일의 히틀러.

*여성에게 참정권을 최초로 부여-뉴질랜드
질! 여성의 질.

*광우병-4~5세의 소에서 주로 발생
광우병 걸린 소 사오(45)지 마세요.

*영화에서 ‘상투적 줄거리’, ‘진부한 장면’을 일컫는 용어-클리셰
진부한 장면이 마음에 끌려? 안 끌려. 끌리세? 안 끌리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