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신문의 ‘디도스 공격’ 당일 청와대 행정관도 돈 받았다

내용

오늘신문의 ‘디도스 공격’ 당일 청와대 행정관도 돈 받았다


ㆍ박희태 국회의장 전 비서가 500만원 전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후보 홈페이지를 상대로 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

부) 공격에 연루돼 수사를 받고 있는 박희태 국회의장 전 비서 김모씨(30)가 청와대 박

모 행정관(38)에게 10월26일 재·보궐선거 당일 500만원을 전달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

났다. 돈이 송금된 날 오전에는 디도스 공격이 있었다. 청와대와 디도스 공격 사건 발표

수위를 놓고 사전 조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경찰은 이 같은 돈거래 내역을 파악하

고도 공개하지 않아 또다시 축소·은폐 수사 의혹에 휘말리게 됐다.

■ 이번에는 청와대 행정관과 돈거래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선거가 치러진 10월26일 국회의장 전 비서 김씨의 급여

계좌에서 박 행정관의 계좌로 500만원이 입금됐다고 21일 밝혔다. 이후 지난달 29일

박 행정관의 계좌에서 다시 400만원이 김 전 비서 계좌로 이체됐다고 경찰은 전했다.
박 행정관이 김 전 비서에게 400만원을 돌려준 11월29일은 실제 디도스 공격을 벌인

김모씨(26·구속)와 황모씨(25·구속)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된 날이어서 ‘배후 개입’ 의

혹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다음날인 11월30일 경찰은 김씨와 황씨에게 발부된 체포영

장을 집행하고 현장에 함께 있던 ㄱ커뮤니케이션 대표 강모씨(25·구속)를 긴급체포했다

. 경찰은 12월1일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 전 비서 공모씨(27·구속)를 긴급체포하고 2일

공씨 연루 사실 등을 공개했다.

경찰과 검찰에서 각각 세 차례나 소환조사를 받은 의장 전 비서 김씨는 지난 15일 경찰

에서 “친한 형님(박 행정관)이 돈이 필요하다고 해 빌려준 것일 뿐”이라고 진술한 것으

로 전해졌다.

박 행정관은 공씨가 공격 실행자 강씨 등에게 범행을 지시한 시간대에 벌어진 서울 역

삼동 룸살롱 술자리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그러나 앞선 1차 자리에는 의장 전 비서 김씨

와 함께 있었다. 김씨 등과는 운동선수 출신 비서 모임인 ‘선후회(선배와 후배의 모임)’

의 일원으로 허물없이 지낸 사이다. 김씨는 21일 경향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박 행정

관과는 가족끼리 모임을 할 정도로 가까운 사이여서 돈을 빌려달라는 이유를 꼬치꼬치

물어보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 의혹만 키우는 경찰

경찰 수사팀 관계자는 “박씨가 김씨에게 돈을 줬다면 의미 있는 거래일 수도 있겠지만

김씨가 박씨에게 보낸 돈이라면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김

씨는 급여통장을 통해 지인들과 돈거래가 매우 잦은 편이고, 대다수는 이번 사건과 관

련이 없다고 판단해 공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찰의 부실·축소 수사 의혹이나 청와대 등 외압 의혹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

다.

수사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황운하 경찰청 수사기획관은 의장 전 비서 김씨의 진술

조서 등을 통해 500만원 거래 내역을 파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조현오 경찰청장은 이

같은 의혹 당사자들의 뭉칫돈 거래 의혹은 별도로 보고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경찰 수뇌부의 안이한 대처가 또다시 여론의 질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조 청

장이 해당 수사내용을 몰랐다면 ‘리더십 부재와 경찰 기강 해이’, 알았다면 ‘외압에 휘둘

렸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된다.

경찰에서 사건을 넘겨받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봉석 부장검사)

은 이르면 22일 박 행정관을 소환키로 했다.

검찰은 의장 전 비서 김씨에게서 500만원을 받은 경위와 이 돈의 디도스 공격과의 관련

성 등을 집중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