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효도, 마음만으론 어려워 ( + 저축상품 소개 )

내용










제목 : 효도, 마음만으론 어려워 ( + 저축상품 소개 )


지금은 무상보육( ? )의 시대,
지금은 에너지 절약(?)의 시대,

노인 요양원의 건립과 운영에서도 에너지를 절약해야 한다.
공공부지를 쓰고 보건소의 퇴직 간호원을 보내는 등......

현재 노인 요양원의 요양비가 최하 월 50만원이라고 하는데
요양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요양비를 줄이고
어르신들이 스스로 준비할 수 있도록
저금통장을 만들어 드려서 자식들이 주는 잡비 등은 여기에 저축하면 된다.

요즈음 정부에서 지급하는 노령 연금이
대부분(약 70%)의 어르신께 나가는데
처음 지급할 때, 통장을 개설토록 하여 당사자나 보호자의 통장에
입금하고 있다고 한다.

어르신을 모시는 가정에서는
환갑이후부터 통장을 1개씩 만들어서
어르신당 월 10만원을 20년간 저축하면,
월 40만원을 지급하는 노인 요양원에서 5년 넘게 지내실 수 있다.
그 통장에 65세 이후부터 정부에서 지급하는 노령 연금이 보태어지거나 예금이자,
여타 잡비(출가한 딸들이 주는 푼돈 등)가 얹어지면 다소 여유가 있을 것이다.
사람 죽으면 돈을 가져가는 것 아니니
어르신들, 60세 환갑부터는 노인 요양 준비금 통장 하나
꼭 만들어드리자. 그러면 그때부터 어르신의 근심 하나
덜어드리는 것이다.

재산이 많으신 어르신도 연세가 올라가면
쌈지돈도 며느리한테 알려질 수밖에 없다.

그리하다 보면 마음 약하신 우리 부모님들은
노후 요양원 준비금도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손주녀석 잡비로 나가기 십상이다.

노령연금 지급하면서부터 어르신 통장 만들어 드리기,
정부에서 실천하고 있지만 65세부터라면 너무 늦다.

어르신의 자녀들이 이를 적극 실천하도록
구군에서는 홍보하자.

효도도 마음만으로 하기 어렵지 않은가 !


-- 글쓴이 : 제안 건의자, 안정은, (2011. 1/29, 2/18) --


* * * * * * * * * * * * * * * * * *


제목 : 기업은행의 “서민 섬김통장” 소개


IBK(기업은행) 적립식 적금 “서민 섬김통장 ” (정액 적금 )

1. 기한 : 1년, 2년, 3년

2. 금리 : (신규 고객에 한함 )
1년 - 연 4.5%,
2년 - 연 4.9%,
3년 - 연 5.1%
-- 금리 : 2011. 1/20, 현재 --


3. 총 납입 원금 .........( 매월 적립금 ×계약기간 월수)
1인당 3천만원까지 적립 가능

4. 상세 문의 : 1566-2566, 1588-2588

※ 이 저축 상품은 입금과 출금이 자유롭지 않습니다.


이 예금은
“ 예금자보호법” 에 따라,
본 은행에 있는 귀하의 모든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의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예금보험공사가 1인당 “최고 5천만원까지” 보호합니다.


-- 2011. 2/18(금), 제안 건의자, 안정은 --


등록 게시판 (2011. 2/18))

- 14곳 시도 자유 게시판, 시민게시판, 자유 발언대, 나도 한마디
- 제주도청> 제주도에 바란다
- 인천시 연수구청> 자유 게시판 ( 인천광역시청 등록 불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