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멸치젓 연구소 개원 촉구

내용














............................................................................................

제목 : 멸치젓 연구소 개원 촉구


농림수산식품부 산하인 ‘동해 어업 지도 사무소’가
부산시 동구 좌천동에서 2009년 옛 부산시 공무원 교육원 부지(부산시 수영구 수영로)으로 이사를 왔다.
-- 이 곳에는 부산시 보건 환경연구원은 아직 남아있다. 엄궁 농산물도매시장에는 농산물 검사소가 있고, 반여 농산물 도매시장에는 농산물 검사소 지소가 있다. 농산물 검사소는 부산시 보건환경 연구원의 소속부서이다 --

이것은 부산시 공무원 교육원이 시설을 확장하여 신축한 부산시 북구 금곡동으로 2009년 초에 옮겨감에 따른 것이다. 이후 부산시공무원교육원의 이름은 부산시 인재개발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옛 부산시공무원교육원 부지로 이사 온 *동해어업지도사무소도
2012년이면 기장군 대변항에 신청사를 지어서 이사를 간다고 한다. (계획)

제안자는 이전 부산시 공무원 교육원이 부산시 북구 금곡동으로 이사를 간다고 부산시보에 났으므로 제안자는 공무원 교육원 뒷산에 있은 지하의 ‘문서 보존고’를 부산 기장군 대변항에서 생산하는 한국전통식품인 멸치젓(새우젓 포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부산시(시장 : 허남식)에 건의한 적이 있다.
대변항에서는 멸치젓과 새우젓만 생산하지를 않고 각종 젓갈도 생산해야 하므로 보존고(지하)의 공간이 넓어야 하는 것이다.
또 대변항 앞에는 운동장이 넓은 초등학교가 한개 있고 또 이 학교부지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부지이므로 이곳을 연구소 부지로 사용하려면 인근 초등학교와의 통폐합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부산시청과 기장군청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 또는 부산시 교육청과의 섭외가 필요하다. (예: 경남의 하동 녹차연구소는 옛 학교 부지 위에 두었다)

식품전문가는 *부산광역시 식품생산연구소 운영계획안(2001, 2. 19, 안상영시장, 6쪽 )에서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에서 다년간
재직하다 퇴임한 서명자 교수님을 부산시의 수산식품 특별보좌관으로 채용한 후 멸치젓 연구소가 개원되면 책임자로 맡기면 된다고 기술하였다.
멸치젓은 이미 만들고 있으므로 새우젓과 여타 젓갈을 추가하면 되고, 동해안의 멸치가 고리 원자력 발전소로 적절하지 못하면 남해안의 멸치를 원료로 쓰면 된다. 이전 한국에서 유일한 수산대학인 부경대학이 부산 남구에 남아있고 또 멸치젓을 담는 기술은 기장군이 전승하고 있어 인력과 기술 및 부지는 갖추어져 있다고 할 것이므로 섭외 등 실행만 남아 있다. 건물이 있어야 개원되는 것이 아니다. 더 이상 허송세월을 보내어서는 안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동해어업지도 사무소.........동해와 남해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을 지도하는 일을 한다. ( 소장, 박성우, 전화 051, 410-1016~7)

*부산광역시 식품생산연구소 운영계획안......... 2001. 2/20, 안상영부산시장 외 기타 수신처로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최인기 행정자치부장관께 보고하였으며 (빠른 등기후편) 이후 각시도지사를 수신으로 하여 손으로 만든 양식을 제외한 원본 파일(=계획 010219)을 제안자는 몇차례 제출하였다.



-- 2011. 3/23(수), 제안자, 안정은 --


............................................................................................
.
수신처 ( 20l1. 3/23)
- 부산시청 > 부산시에 바란다
- 부산기장군청> 군수에게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