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국 유명시장 전시장

내용









서른여덟)

전국 유명시장 전시장



부산 공영 전시장인 BEXCO의 운동장에서는 전국 유명 시장전(市長展)이 개최되고 있었다. 전시 분야는 한국 유명시장들의 식품과 음식들이다. 함께 전통시장 및 유명시장을 소개하는 홍보물도 비치하였다.

한민시장( 042, 522-9094 ), 도마 큰시장(042, 532-8833 )은
대전광역시 서구의 도심에 있는 시장으로 각각 공영 주차장을 2개소씩갖추고 있다.

강원도 정선 전통시장 ( 033, 563-6200 )은 5일장으로 매월 2일과 7일이 장날이다.
주로 고사리, 곰취, 취나물 등 산나물과 황기, 더덕, 민들레 등 생약초, 감자, 옥수수, 고추 등 농산물을 판다. 산나물은 매년 5월과 6월 중 채취한다.
정선 전통시장의 즉석 음식으로는 메밀전병과 수수부꾸미가 전문이며 원산지, 가격표시제, 신토불이 상인 인증제를 실시한다.
이날 전시장에서는 메밀전병과 수수부꾸미, 도토리묵 등을 내어 놓고 팔았다.

경북 포항의 큰 동해시장 (054, 275-2772)은 포항물회, 과메기, 돌문어, 회무침이 전문이다(홍보물).

전라북도는 도내 우수 전통시장 23개소를 홍보물로써 소개하였다
( 전라북도 상인 연합회 : 063, 278-5803)

인천광역시의 “민달이네 옛날국수’‘( 박민수 / 인천시 남동구, 주문 032, 464-1389, 공장 032, 464-4494) 에서는 “ 50년 전통의 옛맛 그대로” 의 “민달이네 옛날 손국수”를 전시하였다.
인공색소, 방부제,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국수의 색소는 천연재료로써 낸다. 품목은 생칼국수, 쑥국수, 호박국수, 메밀국수, 백년초 쌀국수 등이다. 손으로 만든 수제국수는 별도로 주문해야 한다.
“ 50년 전통의 옛맛 그대로” 만든다고 강조한다.

즉석의 전통식품 전시로는 부산 동래파전과 서울 종로 5가 광명시장의 빈대떡이 전시되었다. 빈대떡은 녹두가루를 주원료로 한 부침이며 동래파전은 파로써 구운 부침으로 모두 우리 전통의 전인 부침전이다.
동래는 충절(忠節)의 고장이라고 칭한다. 해마다 3.1일절에는 항일 운동을 재연하기도 한다. 임진왜란 때 송상현 동래부사는 일선인 동래에 쳐들어오는 왜적을 막다가 전사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이를 기리기 위하여 동래 안락동에 충열사를 지어 전사한 송상현 부사의 고귀한 뜻을 전해 오고 있다.
또 전통이 있는 여자중고등학교인 동래여중고(이전 일신여학교)와 동래고등학교(이전 동래고보)가 있는 곳이다.
동래파전은 이 지역에서 만드는 파전으로 오랜 전통을 이어 받아 만들어 오고 있는 대표적인 우수식품이며 삼계탕과 함께 인기 있는 향토식품이기도 하다. 동래파전은 ‘부산의 향토음식 제 1호’로 등록되어 있다. “동래 할매파전”은 음식점의 장소가 동래의 중심지인 동래구청 바로 뒤에 자라잡고 있어서 찾기 쉬운 지리적 여건으로 동래의 귀한 손님이 찾는 전통의 고급음식으로 그 명맥을 잘 유지해 오고 있다.
“동래 할매파전”( 김정희 / 부산시 동래구 명륜로 94번길 43-10,
051, 552-0791~2 : 4대째 ) 의 동래 파전에 들어가는 식품의 재료를 살펴보면 찹쌀가루, 멥쌀가루, 쪽파, 미나리, 쇠고기, 달걀, 대합, 홍합, 조갯살, 굴, 새우, 초고추장, 맛국물(멸치, 다시마), 기타(참기름, 채종유, 고운 고춧가루, 소금) 이다.

이날 참석한 부산 충무동 새벽시장( 051, 242-7273 )에서는 간판의 이름과 대표자의 성명,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를 밝힌 “Shopping Guide Book”을 내어 놓고 부추전과 호박전을 부쳐 팔았으며 부산 구포시장에서는 구포국수를 팔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한민시장, 도마 큰시장 : 대전광역시 서구
- 정선 전통시장 소개 : 정선시장 상인회
- 큰 동해시장 : 큰 동해시장, 포항상공회의소
- 전라북도 우수 전통시장 : 전라북도
- 옛날 손국수 : 민달이네 옛날 국수
- 종로 5가, 광장시장 : 서울 광장시장 “박가네 김치 빈대떡”
- 동래파전 : 동래구청, 동래파전 연구회
- 2010년, Shopping Guide Book : 충무동 새벽시장 ·


-- 2010. 10. 8(금), 부산 BEXCO 운동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