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80개 기준 통과해야 유기농 우유

내용









서른여섯)

80개 기준 통과해야 유기농 우유


저지방 우유, 칼슘우유, 그리고 유기농 우유, 멸균우유까지....
최근 몇 년 유제품시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유업계에서도 이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내어 놓고 있다. 특히 가장 눈에 뜨이게 성장을 보이고 있는 부분이 유기농 우유이다.
현재 유기농 우유는 전체 연간 원유 생산량의 3% 수준이다.
2006년에 비해 3년만에 하루 생산량이 10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러한 유기농 우유 시장에서 50%를 차지하고 있는 매일유업의 전북 고창
상하목장(채인석/ 전북 고창 부안면 수암리)과 공장을 찾아가 유기농 우유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젖소와 도축용 소 등 모두 170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이 가운데 76마리를 유기농으로 키우고 있다고 목장 주인(채인석, 47세)은 말한다.
전북 고창군 일대에는 채씨처럼 유기농으로 키운 젖소에서 짠 우유를 근처 매일유업에 납품하는 목장이 모두 15곳이나 있다.
유기농 우유는 유기인증을 받은 환경에서 자란 소에서 짠 우유를 말한다. 일반 우유는 국립 수의과학검역원의 축산물 가공 기준과 성분규격만 통과하면 되지만 유기농 우유는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의 “유기 축산물” 기준을 통과해야 “유기농(Organic)”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유기농 우유를 얻는 젖소는 농약을 치지 않은 유기농 사료를 먹고, 무항생제로 키워야 하며, 일반 젖소와 달리 한 마리당 916㎡(227평) 이상의 초지 면적과 34.6㎡ (10.5평)이상의 젖소용 운동장을 갖춰야 하는 등의 80여가지 기준을 지켜야 한다.
매일유업은 2005년부터 고창군을 통해 지역 낙농업체를 설득해 유기농 우유 생산을 시작했다. 지역 영농단체를 통해 납품하던 방식 대신 고창군청(군수 : 이강수)과 함께 일반사료보다 2배 가까이 비싼 유기사료(성분 : 곡료와 풀이 대부분임)의 인상분을 지원해 주고 목장마다 매일유업이 원유를 전량 구입하겠다고 제안했다. 그 대신 목장은 매일유업의 까다로운 관리와 감독을 받아들여야 한다.
현재 매일 두 번, 상하목장 15곳에서 거둔 원유는 근처에 있는 매일유업 상하공장에서 제품화 과정을 거친다. 주유소처럼 생긴 집유장에서 뽑아낸 원유는 stainless관(녹이 슬거나 때가 묻지않는 관)을 타고 섭씨 4°에서의 냉각과 섭씨 75°에서 15초동안 살균하는 과정, 그리고 원유의 5% 버려야 하는 “마이크로필터레이션”(세균 거름망 공법) 과정 등을 거쳐 완성품으로 만든다.
하루 60톤 규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이지만 현재 원유량이 적어 17~18톤 수준(50ml, 36,000병 규모)만 생산한다.
이정원 매일유업 상하공장 공장장은 “공정 단순화와 대량생산을 통해 농가부담도 줄이고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2010. 9. 27(월), 고창 김성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