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거운동은 요란해야 하는가

내용
선거 운동은 요란해야 하는가
지자체장 중에서 군수나 구청장은 가장 등따습고 배부른 자리라고 합니다
당선되려면 30억은 써야하지만 4년 재임기간에 50억을 챙기면 20억원쯤은 남는 장사라는소문이 있습니다
놀랍게도 그래서인지 2006년에 취임한 민선 4기 기초단체장 230명 가운데 47.8%인 110명이 비리와 위법 혐의로 기소 되였습니다.
민선 1기(1995~98년) 때 23명이던 것이 2기에 59명,이였고 3기 때는 78명으로 기소된 사람들이 계속 늘고 있으니 이런 추세라면 6ㆍ2선거에서 뽑히는 기초단체장의 절반 이상이 비리 혐의로 기소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을것 같습니다.
도대체 장사도 아니고 내고장 위해 봉사하겠다면서 선거운동비용이 왜30억씩이나 필요한지 납득할수 없습니다
건국초기에 선거운동에서 보면 내지역에 신망높은 인사를 등떠밀어 출마케하고 자기먹을 쌀를 지고와서 자기비용쓰면서 선거운동을 했다고 합니다
한때는 선거에서 공영제도 있었고 지금은 비용한도를 정하고 당선되면 비용을 돌려받고 낙선자라 할지라도 일정득표 이상이면 기탁금을 돌려받게 되어있으니 당선한 분이 돈을 챙길필요가 없을 터인데도 단체장들의 비리를 보면 당진군수 같은분은 내연녀에게 맡겨 뇌물을 관리하다가 위조여권으로 해외로 도망치려 했다니 비리의 절정이고ㆍ종합판을 보는것 같아서 허탈 합니다
유권자에 투표는 개인에 성적표와도 같은것이여서 평소에 열심히 공부한 수험생은 시험에 임박해서는 오히려 건강에 유의하고 마음을 편하게 같는다고 합니다
평소에 부실했든 수험생들이 임박해서 고액과외 철야공부 심지어는 약물 사용이니 쪽지깨 지도 까지 받으며 난리를 치는것 같습니다
한 고을에 장이 될려고 뜻을 품었으면 마을들를 메주발듯 골고루 찿아가서 남녀노소 생활에서 문제점이나 애로가 잇는지 살펴보고 거들어 주거나 해결해주고 당정 않되는일은 해결하려고 노력해 주면 선거때 요란스럽게 선전하고 표를 구걸하지 않어도 좋은성적이 나올터인데 평소에는 돈벌기나 다른일로 바쁘다가 고울사람이 아쉬워서 찿아가도 만나주지 않커나 만날 수 없었든 사람들이 갑자기 밭두렁 논두렁까지 찿아와서 애쓰는 모습은 게으른 쪽지깨 수엄생들에 행태를 보는것 같아 안타갑습니다
평소에 보이지 않는 활동은 때가 되면 유권자가 이구동성 이심전심으로 투표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대답하는것이 순리 입니다
공천이라고 하는 제도에 편승해서 유권자를 우롱하는 매표행위를 이번선거에서는 과감히 추방하고 평소에 가차이 있으면서 도우미로 역활하고 해결사로 애쓰시는 분들이 더 많은일를 할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주워야 지방자치가 바로 섭니다
멀리 찿으려하지말고 초라하고 꺼벙하드라도 토종으로 일꾼을 만들어 봅시다
평소에 열심히 노력하는 분이 선거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게 하면 좋용한 선거운동이 될것 입니다
최근 일본에서 실시된 22개 시의 시장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모두 당선되여서 정치인들과 국민을 놀라게 했다는데 과연 선진국 유권자 답습니다.
지방자치는 지역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기초로 한 풀뿌리 민주주의여서. 지방자치가 발전하려면 중앙정치로 붙어 독립해야 하는데 지역 유권자가 결정 합니다
감사 합니다
자연알로에농원 김영욱 aloe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