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 5달전 “낙동강 대부분 준설안해도 홍수예방” 보고서

내용
정부 5달전 “낙동강 대부분 준설안해도 홍수예방” 보고서

[한겨레신문] 2009년 12월 18일(금) 오전 08:06 가 가| 이메일| 프린트

[한겨레] 민주 김진애 의원, 부산국토청 ‘치수계획’ 공개

15개 구간중 11곳 ‘홍수소통능력’ 94~100%넘어

“최소 1조3322억 ‘준설예산’ 불필요…대운하용”

정부가 낙동강의 강바닥을 파는 준설을 하지 않아도 대부분 유역에서 홍수예방이 가능하다

는 보고서를 내고도, 준설을 핵심으로 한 ‘4대강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김진애 민주당 의원이 17일 공개한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를 보면, 낙동강 15개 전체 구간 중 6개 구간이 홍수를 이겨내는 지

표인 ‘홍수소통능력’이 100%를 넘어서고 5개 구간도 사실상 홍수예방이 가능한 수준인

94~99%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소통능력은 강이 넘치지 않고 1초당 강물을 흘려보낼 수 있는 최대 수량을 말하는 것으

로, 이 수량이 ‘목표홍수량’보다 많으면 홍수예방능력을 갖춘 것으로 본다.

지난 7월 작성돼 고시된 이 보고서의 ‘구간별 하도 홍수소통능력’ 표를 보면, 낙동강 ‘위천-감

천’ 구간의 경우, 홍수소통능력이 1초당 1만5000㎥로 조사됐다.

이 수치는 이 유역의 ‘목표홍수량’(1만3200㎥)을 넘어서는 것이다. 지금의 강바닥을 더 파고들

어가지 않아도 홍수 걱정이 없다는 것이지만, 정부는 이 지역에 2997억원을 들여 ‘준설’을 하

기로 했다.

낙동강 34공구인 ‘영강-병성천’ 구간도 홍수소통능력(1만3700㎥)이 목표홍수량(1만1900㎥)

의 115%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곳에 784억원을 배정해 강바닥을 파기로 했다. ‘갑천-금호강’ 구간도 목표홍

수량(1만3800㎥)에 비해 홍수소통능력(1만6500㎥)이 20%를 초과하는데도 낙동강 23~29공구

인 이 유역에 7117억원을 들여 준설할 예정이다.

‘반변천-미천’(106%), ‘금호강-회천’(105%), ‘황강-남강’(108%) 등 목표홍수량 대비 100% 이

상의 홍수소통능력을 갖춘 낙동강 5개 구간 준설을 위해 투입되는 총예산이 1조3322억원이

나 된다.

100%를 넘지 못하는 낙동강 ‘청도천-밀양강’ 구간도 홍수소통능력(1만7200㎥)이 목표홍수량

(1만7300㎥)에 99%까지 육박해 대규모 준설이 사실상 필요 없다는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다만, 낙동강 36~40공구인 ‘미천-내성천’ 구간은 홍수소통능력(4000㎥)이 목표홍수량(7000

㎥)에 미치지 못해 조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4대강 준설을 홍수 대비를 위해 한다고 했으나 정부 조사에서도 거짓말인 것이 드

러났다”며 “강의 형상을 송두리째 뒤집어엎는 폭력적인 준설을 통한 수심 확보는 예산 낭비이

며 대운하 준비 작업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