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4-2) ♬ 카놀라유는 어떤 기름인가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작성일자 : 2010. 11. 23일
소관 : 식품안전처

제목 : ♬ 카놀라유는 어떤 기름인가


제안자는 참기름, 들기름 외의 식용유로는 시제이( CJ : 백설표)의 올리버 식용유(엑스트라 버진유)만을 먹고 있다.
요즈음 시중에 가보면 식용유로 ‘ 카놀라유 ’ 가 더러 나온다.

그러면 카놀라유는 어떤 기름인가 ?
* 일반적인 식용 유지들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 네종류의 지방산 함량을 합한 수치가 90%를 넘고 있는데
재래의 평지씨 기름(유채유 즉 채종유이다)은
다른 식용유지에는 별로 함유되어 있지 않는
에루스 산(erucic acid)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생선인 정어리 기름을 포함한 대부분의 어유(fish oiL)에서는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편이라
위에 언급한 네가지 지방산 함량을 합한 값이 50%이하로 나타났다.
(즉 그래서 어유는 인체에 좋은 기름)

재래종 평지씨(유채유) 기름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상기의 에루산은
심장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 함량을 대폭 낮추고 올레산 함량을 60% 정도로 증가시킨
개량종 평지씨 기름이 수입유인 ‘ 카놀라유 ’ 라고 한다.
상기 지질의 종류에 대해 운운하기 전
식용유의 안전성 여부는
정제 과정에서 투입된 물질에 의한 위해성 여부에도 있으므로
검증이나 인증자가 없는
상기 카놀라유의 식용유(수입유 포함)는
섭취해선 안된다 !

첨부 (참고) : 정부 제안서, 31쪽

-- 조영. 김영아 공저 [ 조리과학 ]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7년 136쪽, 165쪽 --
.
등록 : 2010. 11. 23일 / 2024. 10. 24(목)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 파일 등록 )
..
.
.

제안자는 단순 압착유인 참기름, 들기름,
그리고 스페인산(= 수입유)의 단순 압착유 (정제되지 않은)인
엑스트라버진 올리버유만을 먹고 있다. (백설표)
조리에서
기름을 많이 사용치 않으므로 소화기(인체)에서의 부담도 적다

-- 2015. 2. 1(일)/ 2. 7(토) --

**
.
.
[ 첨부(참고) : 정부제안서 (27쪽~ 31쪽) ]
-------------------------------
제 4장

1. 한국 전통 식품의 발전 방향

한국 전통 식품의 제조를 가정에서 정부로 이관한다.
- 중간 생략 -
가. 한국전통식품의 제조를 가정에서 정부로 이관
- 중간 생략 -
1) 장류
- 중간 생략-
2) 멸치젓 (혹은 새우 젓), 소금과 김치
- 중간 생략 -
3) 물엿
- 중간 생략-

4) 참기름, 식용유
참기름은 참깨를 볶아서 짠 기름으로 한국 음식에서는 빠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양념이다.
식용유는 그대로 음식에 넣어 먹는 경우는 별로 없고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쓰는 기름으로서 기업에서는 손쉽게 콩의 기름을 짜서 생산해 내고 있으나 콩 제품에는 된장, 조선간장 등의 우리 한국전통식품이 주로 콩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므로 영양의 균형을 위하여 우리 조상들이 채소류에서 기름을 짜 왔고, 또 유채꽃이 많이 피는 제주도에서 그동안 유채 식용유를 생산하여 왔으므로 유채꽃이 피는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유채 식용유를 정부에서 생산한다면 좋을 것이다. 즉 참기름과 함께 식용유를 정부에서 생산하여 “순 진짜 참기름” 이라는 식품 용어가 사라지도록 하고 또 콩기름 위주의 식용유 생산을 지양하고 채소유 등으로 식용유를 생산하는 것이 국민의 건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5) 식초
- 이하 생략
-----------------------------------

재등록 : 2020. 2. 15(토)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________________________
* 일반적인 식용 유지들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 네종류의 지방산 함량을 합한 수치가 90%를 넘어서고 있는데 ..............

- 요즈음 그림(액자)에서 색이 밝은 해바라기의 그림이 많은데 이것은 보통 가정은 실내의 안이 어둡기 때문에 색이 노란 밝은 해바라기의 그림(액자)은 눈에 잘 뜨이고 집안의 주위를 밝게하므로 실내의 가정의 벽에 많이 건다 -

해바라기유는
해바라기의 씨에서 추출할 것이지만 성분에서 살펴보면 100g에서
팔미트산( C16 : 0 - 포화지방산)이 6.7
스테아르산(C18 : 0 - 포화지방산 )이 3.7 /
단일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 C18 : 1)이 19
리놀레산(C18 : 2- 다가불포화지방산)이 69.9
이므로 네종류의 지방산이 99.3이 된다.
만일
이 해바라기유를 추출하는데
용제(헥산 외 벤젠, 벤졸, 아세톤, 이황화탄소, 사염화탄소 등)가
필요하지 않고 그리고 그 정제 과정이 단순하여 위해요소가 없으며 또한 발연점이 높다면
라면 등의 튀김기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열대지방의 기름인 코코넛유는 포화지방산이 77%, 팜유는 포화지방산이 50%인데 해바라기유는 10.4%가 포화지방산이며 89.6%가 불포화지방산이므로 열대지방의 기름성분보다는 해바라기유가 인체에 더 좋은 기름이다)

참고 문헌 : 21세기 영양학, 최혜미 외 공저, 96쪽
..
보충 재등록 : 2020. 8. 10(월)
식약처(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