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0 ) ♬ 감식초와 발의 무좀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제안자)
작성일자 : 2012. 8. 8(수요일)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감식초와 발의 무좀


막힌 구두를 사시사철 신는 남자들(아버지, 남동생)과 함께 살았음인지 내 발에는 무좀이 와서 잘 낫지를 않았다.
약국에서 산 약으로 부지런히 바르면 낫다가도 화장실 등 공동 신발을 신으면 또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었다.
그리하자 주위 일터(보건소)에서 식초와 소주를 섞어 발을 담궈 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어느 날, 식초에 소주를 적당히 부어 발을 담그고 그 시간 동안에는 TV를 보았다. 그러기를 세 번 하였더니
이후 무좀이 없어졌다. 재발도 않았다
20년간 붙어 있던 무좀이 영영 도망가 버렸다.
요즈음은 발을 씻은 후 발가락 사이의 물은 잘 닦아준다.
이후에는 화장실에 들어가기 위해 공동 신발을 간혹 신어도 무좀은 재발하지 않았다.
산성 식품인 식초가 생선회에서 식초장으로 곁들여 나오는 경우의 원리와 같이 식초는 미생물(무좀균 등)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발의 무좀이 있으면 발의 새끼 발가락의 발톱이 갈라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도 발의 무좀균이 원인이라 하여 이곳에 무좀 연고를 틈틈이 발라 주었으나 잘 낫지를 않았다. 그래서 무좀 연고를 바르는 것을 중지하고 말았는데 그런데 이후 7,8년이 지나고 보니 새끼 발톱이 갈라지지 않고 곱게 올라왔다.
발의 무좀, 머리 밑의 비듬 등 우리 인체(피부 등)의 건강도 그리고 그 치유도 하루 아침에 오는 것은 아닌 듯하다

세균, 곰팡이 등 나쁜 미생물은 식품에서는 그 증식을 억제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그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환경 조건을 불리하게 조절하여야 하는 것이다. 미생물은 생육에 가장 적합한 pH(수소이온 농도)를 벗어나면 생육하기 어려워지는데 특히 산성(식초)에서 그러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
※ 「식품 저장 및 가공」안장우, 양철영, 심상국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2010년 85쪽

- 미생물은 생육에 가장 적합한 pH영역을 벗어나면 생육하기가 어려워지는데 특히 산성 ( pH 값이 7이하 )에서 현저하다.
일반적으로 곰팡이와 효모의 최적 pH는 약한 산성(미산성),
세균의 경우에는 최적 pH가 중성( pH 값이 7 ) 및 알칼리성이다.
그러나 젖산균이나 초산균처럼 낮은 pH영역(= 산성 영역 )에서 생육하는 세균도 있으며
육류, 생선, 패류, 우유, 두부 등 잠재적인 위해 식품의 ‘ 최적의 pH값’ 은 4.6~7.0(산성)이다.
최적 pH 란 가장 높은 증식을 보이는 pH 값이다.
생선회를 식초장에 찍어서 먹는 것은 이에 연유한다.
.
등록 : 2012. 8. 8(수요일)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