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 ♬ 하동 녹차가 왜 커피보다 좋은가 ? 외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제안자 - 영양사)
작성 일자 : 2019. 8. 30(금)
소 관 : 식품안전처

제 목 : ♬ 하동 녹차가 왜 커피보다 좋은가 ? 외


하동녹차에는 각성제인 카페인 성분이 있으면서도
설탕 없이 마실 수 있고 비타민C 성분도 있다.
녹차와 같이 마시는 물 자체도 우리 인체에 좋다

반면 믹서커피는
프림이 식물성 기름으로 성분이 열대지방의 팜유 및 야자유라고 하는데
그 기름에는 포화지방산이 많아서 많이 섭취하면 인체의 콜레스테롤도 상승시키며 또한 그 기름의 정제과정도 알 수 없다.
믹서커피에 같이 들어있는 설탕도 열량식품이라 믹서커피를 맛커피로 많이 섭취하면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된다.
믹서커피를 많이 마셔도 ‘ 잠이 잘 온다’ 는 것은 왜 일까 ?
그것은 커피에 프림(식물성 기름성분)과 설탕을 넣어 마시기 때문이다.
식후 식곤증(음식을 먹은 뒤에 몸이 나른하고 잠이 오는 증세 )으로 잠이 오는 것은 밥(탄수화물)성분이 인체에서 포도당으로 변해 두뇌에 들어가기 때문이며
이 설탕 성분과 프림성분이
커피의 카페인 성분을 상쇄시키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커피에서 카페인의 효험을 얻자면 커피만을 물에 탄 블랙커피를 마셔야 하지만 블랙 커피를 자주 마시면 위를 자극해서 상하게 한다.
그렇다면 믹서 커피도 시중의 과자류와 유사하게 기름성분과 설탕 성분의 맛성분으로서 국민들이 과다하게 섭취하기 쉬우므로 ‘ 비만 유발식품’ 으로서 줄여야 하는데다 더구나 기름 성분은 정제과정에서의 위해 요소가 있는 듯해서 믹서 커피, 과자류, 라면류가 금지 식품이 된 이유이다.
그리고 커피를 고온으로 볶는 과정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라는 유해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이 성분은 신경독소이지만 남성의 생식 능력 저하와 발암성이 의심되고 있는 성분으로 감자 튀김에서도 발견된다.
즉 기름진 음식을 먹고 곧 믹서 커피를 마시는 것은 좋은 식습관이 못된다.
차라리 포도주를 조금 마시는 것이 오히려 낫다
( - 2023. 12. 19 화요일 안정은 보충)
.
.
...................................................
※ 조리, 가공 중의 유해 물질
.................................................

0. PAH
발암물질로 작용하며
조리 중에는 훈연(불연소)이나 직화구이(태우는 것)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된다.
직화(불)에서 ‘ 고온으로 오래 굽는’ 조리법이
이 물질의 생성을 촉진하므로 조리법을 개선하면 생성을 줄일 수 있다.

0. 아크릴아마이드
이 성분은 식품 속에 있는 아스파라진 아미노산이 마이야르 반응을 하면서 생성된다. 주로 감자 튀김에서 발견되며 신경독소로 남성의 생식 능력 저하와 발암성이 의심되고 있다.

0. 니트로사민 (N- nitrosamines)
아질산 또는 이급 아민이 산성의 조건(인체의 위장)에서 반응하면 생성되는 발암물질로
- 아질산은 햄, 소세지의 발색과 보존에 사용된다.
- 이급 아민은 동물성 식품에 흔히 존재하는데
다양한 종류의 니트로사민이 발암성으로 알려져 있다.


0. 에틸카바메이트 (우레탄)
발효산물인 에탄올과 카바밀기가 반응하여 생성되며 발암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발효식품인 브랜디, 위스키 등 주류에서 다량 검출되며 발효를 위해 효모의 먹이로 넣은 요소에서 유래한다고 알려져 지금은 요소를 주류 첨가제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간장(재래, 양조)이나 김치에서도 검출되고 있어 이를 줄이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0. MCPD / 2-피로판디올
간장 제조시 산분해간장을 만들 때 생성되며 지방 분해물인 글리세롤과 염산이 반응하여 생성된다. 콩의 지방이 분해되어 생긴 글리세롤이 산분해 간장의 제조를 위해 첨가한 염산과 반응하여 생성되며 이 성분은 남성의 성기능 장애 유발물질로 작용하므로 산분해간장의 제조 공정을 변화시켜 생성을 최소화 하고 있다.

참고 문헌 : 식품학 / 조영, 김영아, 김미정 공저 / 2009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7~208쪽
.
.

1970년대 및 1980년대 밀가루 음식의 팽창제로 사용한 베이킹파우더에는 치매를 유발한다고 알려진 알루미늄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등록 : 2019. 8. 30(금) / 2020. 2. 15(토) / 2021. 1. 20(수)
부산시청(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식약처 (처장 : 김강립 )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
등록 : 2023. 3. 9(목)
보건복지부 ( 장관 : 조규홍) - 참여 - 자유 게시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윤)정은 ( 제안자 - 영양사)
작성 일자 : 2023. 12. 14(목)~ 2024. 2. 2(금)
소 관 : 식품안전처

제 목 : 수입 식품 관련


부산 국제시장 옆 깡통시장은
외국에서 수입한 상품들을 파는 재래시장이다.
이곳에는 수입한 식품들도 있고 외국산의 치약 등 생활필수품과 여타 수입한 상품들도 많은데
상인들이 한국인들에게 필요하고 팔리기 쉬운 상품들을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니 여가를 내어 둘러보면 빈손으로 돌아오지는 않고 근년에는 값이 싸고 살림에 유용한 중국 상품들도 많았다.
한국산의 초코파이나 *믹서 커피 중 초코파이는 중요 성분인 원료의 산지가 외국의 코코아 성분이며 한국의 믹서 커피는 커피 외 프림(외국산의 식물성 기름)이 신뢰하기 어려운 식품이라 과자류인 초코파이, 믹서 커피는 국민들이 섭취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있다.
그래서 제안자는 스페인산의 올리버유, 팽창제인 이이스트(효모균), 치즈 생산 첨가물인 린넷(응유 효소), 유산균 등에 대해선
식품전문가인 영양사가 아닌 당해 식품의 전문가를 2인 1조로 구성해서 외국의 상기 식품들을 인증해서 들일 것을 건의했다.
전북 임실에서 생산하는 치즈와 요구르트는 첨가물이 적은 정부식품으로 처음에는 맛이 담백하게 느껴지지만 계속 섭취하면 맛이 나쁘지 않게 느껴진다. 즉 이도 식습관인 것이다.
이 식품은 린넷, 유산균 등이 첨가된 ‘ 첨가물 식품’ 이며 식품가(고가)를 고려하면 필요한 국민들만 섭취할 것이고 정부에서는 수요량에 따라 생산하면 되는 것이다

등록 : 2023. 12. 14(목)
제안청 부산시청, 식약처, 서울시청, 충남도청, 제주도청, 전북도청, 경북도청 - 시민 게시판 및 유사 게시판 ( 색조 파일 등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믹서) 커피 ..................시중의 ‘믹서 커피’ 란 커피에 설탕, 기름 성분이 혼합된 것이다. 커피는 외국산 커피콩의 원두를 고온을 볶은 것으로
커피는 열대성 기후인 비가 많은 곳에서 재배되며 고산지대에서 좋은 품종이 생산이 되는데 커피 나무에 열리는 작은 열매는 커피콩(green cherry - 커피 열매)이라고 불리는데 커피나무에는 2,000개 ~4,000개의 열매가 열린다
커피열매를 따서 과육을 벗기고 깨끗이 씻어 말린 후 속껍질을 벗겨 다시 깨끗이 씻고 등급을 나누어 판매하는데 이것을 ‘ green coffee (원두)’ 라고 부른다. 이것을 볶은 후 갈아서 커피를 끓인다.
녹색의 원두(생두, 성분 : 전분, 단백질, 지방, 회분)는 볶는 과정이 중요한데 200~250도(섭씨)에서 타지 않게 계속 저으면서 볶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한다. 이로써 여러 가지 방향성 물질이 생성되어 풍부한 맛을 가지게 된다.
커피는 세계 수확량의 1/2 이상을 브라질이 생산하고 콜롬비아가 그 다음, 기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1/4 가량을 생산한다.
(- 식품학 / 조영, 김영아, 김미정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년 394쪽 ~398쪽 )

재등록 : 2024. 2. 1(목)/ 2024. 2. 2(금)
제안청 부산시청, 서울시청, 충남도청, 제주도청 - 시민 게시판 및 유사 게시판 ( 색조 파일 등록)
※ 부분 삭제 및 보충 / 부분 줄임
..................
재등록 : 2025. 7. 13(일)
제안청 부산시청 - 부산민원 120-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파일 등록)
※ 부분 삭제 및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