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새내기 요리(52) / 추어탕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제안자 - 영양사)
작성 일자 : 2019. 12. 20(금)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새내기 요리(52) / 추어탕


한국인에게는 노후(老後)에 중풍(뇌졸중 - 뇌혈관 질환)으로 신체장애가 오거나 돌아가시는 분들이 아직도 많다.
즉 암(종류를 합친 암)이 가장 많고 다음이 심장질환, 뇌졸중 순위이다.
그리되자 노후에서 혈중의 이상지혈증, 과다한 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해서
주의를 상기시키기 위해 국민건강검진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수치 외 3종의 지질수치를 더 표시해 주고 있다.
상기 뇌혈관의 건강과 관련해서 바다의 등푸른 생선 기름(멸치, 청어, 정어리, 고등어 등)이 인체에 좋다고 학자마다 주장하기에 이르렀는데 그 중 몸체가 고등어보다는 작고 멸치보다는 큰 *정어리는 추어탕을 끓일 때 미꾸라지와 같이 넣어 끓여 왔다.
꼼장어, 미꾸라지나 붕장어, 전복 등은 콜레스테롤이 많지만 몸이 허약한 사람들이 보양식으로서 과거에 많이 먹어왔는데 요즈음 한국인들은 과식이 문제가 되어 있는 측면도 있다.

미꾸라지가 식재료인 추어탕은
조리시 채소류가 많이 들어가므로 미꾸라지의 콜레스테롤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추어탕을 끓이는 조리법이 뼈는 추려내고 살(주로 단백질)만 갈아서 넣으므로 국처럼 섭취하기도 쉽고 소화도 잘되고 맛도 있으며, 영양적인 측면도 우수한데 여기에 미꾸라지와 함께 정어리를 넣으면 금상첨화이다. 신선한 정어리 외 고등어도 마찬가지다
추어탕은 끓일 때 비린내와 잡내를 잡기위해 마늘, 산초 등 독특한 양념을 많이 넣는데 그래서 맛도 우수한 식품이지만 끓이는데 다소 수고가 드는 한국의 식품( 추어탕 국)이다.
음식점인 국점에서 추어탕을 식단(=메뉴)으로 끓여서 판매하면 국민들이 섭취하기 쉬운 식품이 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정어리 .........(단위 : g / 100g - EPA는 1.03 / DHA는 0.95)
생선의 기름인 어유에는 고도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어유는 산패하기도 쉬운 식용유지다. 특히 등푸른 생선(멸치, 고등어, 정어리 등)의 어유에는 최근 그 생리 기능성이 주목 받고 있는 오매가-3 다가 불포화지방산인 EPA, DHA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 EPA, DHA는 혈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켜 혈전(피가 엉키는 현상)의 생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동맥 경화, 심근경색, 고혈압, 협심증, 뇌졸중,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2023. 4. 30 일요일, 안정은)

참고 문헌 : 조리과학 / 조영. 김영아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년 238~239쪽

등록 : 2019. 12. 20(금)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외
...............
재등록 : 2023. 4. 30(일)
식약처 (처장 : 오유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외
부산광역시청(시장 : 박형준)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 각주 보충하여 재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