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새내기 요리 (23) / 쑥국, 취나물 외

첨부파일
내용

- 3월 요즈음 공영시장에 미나리가 나온다. 미나리는 보통 지리적으로 높은 곳(층계 논의 위쪽)에서 맑은 물을 사용해서 키우고 있고 겨울철에 나와서 가격이 다소 높지만 미나리 줄기와 같이 잎도 잘 손질해서 삶아 양념은 깨끗한 된장으로 꼭꼭 잘 무쳐서 양념 맛이 나물에 깊이 스며들어야 맛이 있다. 봄철의 나물에서 취나물(외 부지깽이나물)과 미나리 나물을 따라갈 나물은 없을 듯하다 -
.
.
작성자 : 안(윤)정은 ( 제안자 - 영양사 )
작성일자 : 2012. 7. 24(화)
소관 : 식품안전처

제 목 : ♬ 새내기 요리 (23) / 쑥국, 취나물 외


====== 목 차 =====
1. 쑥국 끓이기
2. 취나물 무치기
3. 가지 나물
4. 시금치 나물
5. 꽈리 고추 반찬
================


이른 봄, 먼저 나오는 것이 쑥, 취나물, 딸기이다.
식품전문가들은 중금속이 오염된 곳(하천 등)에서 자란 야생나물은 섭취하지 말 것을 권한다.
이른 봄이 제철인 딸기는 - 비닐 하우스가 아닌 - 노지에서
키도 그다지 크지 않은 딸기의 모종에서 조롱조롱 딸기들이 많이 열려
빨갛게 익어가는 모습을 보면 ‘ 딸기가 여성을 상징하는 그 의미’ 를 깨닫게 된다. 딸기는 사과, 감, 감귤들처럼 껍질을 벗기지 않고 잘 씻어서 그대로 먹어야 하므로 농약 등을 적게 쓴 친환경의 딸기를 먹어야 한다고 한다.
( 딸기는 조직이 연하면서 식이섬유소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어르신에게 권장할 식품이다 )
딸기는 적정의 당도와 비타민 C를 함유한 좋은 과일이지만 조직이 연해서 잘 다루어야 하므로 시중에서는 딸기를 보통 플라스틱 바구니에 담아서 나온다.
딸기를 먹고 난 플라스틱 바구니(딸기 포장용)는 가정에서 재활용하여 사용하고 남은 것은 산곳에 되가져 가서 공영 농산물도매시장의 입구에서 반환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붉은 양파 주머니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반환을 받은 공영 농산물도매시장에서도 이를 재활용품으로 처리하지 말고 씻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1. 쑥국 끓이기
...........................
0. 재료 : 햇쑥, 된장, 멸치 다시마물, 들깨가루
가) 쑥을 손질하고 나서 물에 흔들어 씻어서 멸치 다시마 물이 담긴 냄비에 적정량을 넣어서 끓인다. 같이 들깨가루를 넣는다.
국물에서 쑥의 향기, 된장, 들깨가루가 들어갔으므로 국물은 다소 여유 있게 부어도 국이 싱겁지 않다.
.

매월 생리를 하는 가임기 여성들의 철분 권장량은 남성들보다 많다.
짙은 녹색 채소에는 철분 함량이 많은데
한국의 들에 많은 쑥에 특히 철분이 많다.
떡집에 쌀, 쑥, 식염(신안 천일염), 참기름으로 쑥떡을 만들어서 적절히 잘라서 굳어지기 전에 랩으로 나누어 담아 냉동실에 두고 한 묶음씩 꺼내어
보온 밥솥에 두거나 찜통에서 찌면 먹기 좋게 녹는다. 조청에 찍어 먹지 않아도 맛이 있다. 쑥을 섭취하면 인체에 유익해서 한국의 들에는 쑥이 흔하다.
제안자가 그동안 ‘ 식품 성분 표기 또는 식품성분 표기 법제화’를
운운하니 문을 닫은 떡집들이 많았다. 떡집들은 그동안 국민들의 먹거리를 위해 애써 오신분들인데 그 자녀들이 떡집을 이어받아 할 수 있다면
떡집의 장소는 시장통으로 옮기고 설탕 등 첨가물이 적게 드는
쑥떡, 세편(도장떡), 아기 백일 및 돌떡 등은 신안 천일염, 참기름만 첨가하면 생산할 수 있으며 떡에서의 단 성분은 설탕대신 사과즙이나 꿀로도 대체할 수 있는데 이 성분을 명시해주면 국민들은 사서 먹을 것이다.
그리고 시도의 정부에서도 김치 및 떡의 생산자는 장인이 될 것이며 영양사만이 생산할 수 있는 품목이 아닌 것이니
음식을 생산하는 장인들은 생산하는 품목을 줄여서 정부에만 바라지 말고 주위 국민들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해서 국민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빠른 길인 것이며 또한 틈새시장이다. ( - 2025년 4월, 제안자 안정은 )
.
.
...........................................................
2. 취나물(또는 미나리 나물, 부지깽이 나물) 무치기
.............................................................

취나물은 3월쯤 밭에서도 키우는지 봄이 오면 딸기와 같이 일찌감치
또 제법 오래도록 나온다. 취나물은 맛에서 으뜸의 나물로 미나리와 같이
인기가 있다. 취나물은 산나물이므로 밭에서 키우더라도 친환경 재배를
해야 한다.
그런데 삶아서 씻으면 거품이 나오는데 왜 일까 ?
요소 비료 때문인 듯한데...........물에 흔들어서 잘 씻어서 먹도록 한다.
산나물은 산에서 뜯을 때(캘 때 ×) 뿌리는 그대로 두고 줄기와 잎을 뜯는데 요즈음 나오는 취나물은 쪽파처럼 둥지채로도 나온다.
그리고
오리는 물에서 자라는데 - 닭장에서 오리가 자라 시판이 되듯이 -
산나물인 취나물도 비닐 하우스 재배는 삼가야 할 것이다.

0. 재료 : 취나물(또는 미나리 나물, 부지깽이 나물) 1봉, 마늘 찧은 것, 깨끗한 된장, 깨소금, 참기름

가) 손질한 산나물(또는 미나리 나물, 부지깽이 나물)을 뜨거운 물에 가볍게 삶아 행궈 물기를 짠다.

나) 손에 생고무 장갑을 끼고 상기 2의 취나물에 깨끗한 된장을 먼저 넣어 잘 주물러서 간을 맞추고, 마늘 간 것,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나물을 손으로 꼭꼭 주물러서 양념이 나물 속에까지 배이도록 해야 맛이 있다.
그래서 ‘ 나물 맛은 어머니의 손맛’ 이라고도 한다.
취나물과 미나리나물의 간은 깨끗한 된장으로 하는 것이 맛이 더 구수하다.
.
.
.
...............................
3. 가지 나물
...............................

0. 재 료 : 가지, 마늘, 재래간장, 깨소금, 참기름

1. 가지를 흐르는 물에 잘 씻어서 찐다.
- 찜솥 아래 물을 붓고 엉거리 위에 삼베보를 깔고 가지를 올려 찐다.

2. 쪄서 익은 가지를 식혀서 손으로 길이로 찢어 양념으로 무친다.
- 양념 : 재래 간장, 마늘, 깨소금, 참기름

※ 가지나물은 호박과 같이 조직(텍스춰)이 부드러우므로 쪄서 양념으로 무치면 어르신이 먹기도 좋고 의외로 구수한 맛이 나며 맛이 있다.
.
.
...........................................
4. 시금치 나물
............................................

0. 재료 : 시금치, 깨끗한 된장, 마늘 간 것, 깨소금, 참기름

1. 시금치 손질 : 시금치는 몸통째로 잘라서 나오므로 값이 비싼편이다. 시금치를 손질해서 아래 둥치를 -배추 둥치를 쪼개듯이 - 둘로 쪼개어 씻어서 물에 삶되
너무 오래 삶지 않아야 비타민 C(수용성 비타민)가 물에 녹아나가지 않는다.

2. 삶은 시금치를 물을 짜서 상기의 양념에 묻혀 손으로 꼭꼭 주물러 주어야 양념이 시금치 나물에 스며들어 맛이 있다.

등록 : 2019. 12. 29(일)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등록 : 2025. 4. 22(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박형준)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부분 보충

**
.
.
...........................................
5. 꽈리 고추 무치기
............................................

한국인들은 고추장을 담고
김장김치 등에는 고춧가루를 많이 사용해서 농촌에서는 한해의 고추 농사가 매우 중요한 농사이다.
농민들이 밭에 고추씨를 뿌리거나 고추 모종을 하면 이때 꽈리 고추도 심는다.
꽈리 고추를 밀가루를 무쳐 쪄서
간장, 마늘, 깨소금, 참기름으로 무쳐 반찬으로 내면 매우 맛난 반찬이 되므로 농민들은 해마다 꽈리 고추도 심어 재배해서 출하를 하는 듯하다.

0. 재료 : 맵지 않은 꽈리 고추 / 밀가루 / 마늘, 재래간장, 깨소금/ 참기름

1. 맵지 않은 꽈리 고추를 사와서 씻으면서 꼭지를 떼어내고

2. 비닐백에 밀가루를 조금 넣어 상기의 씻어 물기가 있는 꽈리 고추를 비닐백에 넣어 잘 흔들어주면 꽈리 고추에 밀가루가 고루 묻는다.

3. 이것을 삼베보에 담아서 찐다. 빨리 익으므로 너무 오래 두지 말 것

4. 상기 3을 대접에 꺼내어 마늘, 재래 간장,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숟가락으로 곱게 뒤적여 양념을 무쳐준다.

등록 : 2019. 8. 28(수)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재등록 : 2020. 3. 9(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


미나리 키우기 - 옛 이야기

요즈음은 대지가 큰 가옥이 별로 없지만 예전에는 마당에 채전밭도 있었고 담장 밖에는 미나리밭도 있었다. 마당에서 벼 및 보리의 추수 및 타작도 했으니 마당이 컸다
대지가 크면 대지 주위를 작은 고랑을 내어 그 고랑의 물이 흘러내려 담장 밖 미나리밭에 모여 미나리를 키우므로 일년 내 미나리 나물을 해서 먹을 수 있었다.
당시는 화장실은 퍼 내는 재래식이었는데 달리 부엌에서 나오는 하수는 별도로 담장 밖의 도랑으로 빠져 나갔다.
요즈음은 층계 논의 상층부에서 맑은 물로써 미나리를 키우는 경우가 많다.
( - 2020. 3. 9. 월요일 안정은 보충 기록 )
..
재등록 : 2021. 1. 29(금)
식약처(처장 : 김강립)- 국민소통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