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필독 ) ♬ 새내기 요리 / 취나물, 부지깽이 나물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제안자 - 영양사)
작성일자 : 2016. 8. 29(월)
소 관 : 식품안전처


주 제 : 식품 안전 / 국민의 생존권 보호 및 연장

제 목 : ♬ 새내기 요리 (2) / 취나물


.......................목 차 ...............................
가) 취나물, 미나리 나물
나) 황태포채국 끓이기
다) 양파 계란국
라) 황태포채 고추장 조림
.................................................................

작업장에서 일요일 쉬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음식은 전쟁이 일어나도 먹어야 하고 또한 건강하자면
한국인은 삼끼 식사는 먹어야 한다. 따라서 부엌에 있는 여성들의 처지도
또한 같은데 그리해도 부엌에서 일하는 가정의 여성들이 죽는 날이
곧 부엌일의 마감 날이 되어선 안된다 !
그리고 식품전문가들은
삼끼 중 한끼를 굶는 것보다는 간식 등으로 식사는 나누어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특히 당뇨인들에게도 해당이 된다.
제안자는 퇴직 후 어쩌다 아침을 늦게 먹어서 점심이 늦어져도 저녁을 거르지 못하는 식습관인데 이는 나쁜 식습관이 아닌 듯하다.
이는 조부모님과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식습관인 듯하다.

제안자가 나물에 향취가 있어 즐겨 먹는 산나물인
취나물과 미나리나물 무치는 방법은 이렇다. 간은 구수한 된장(깨끗한)으로 하였다.


--------------
가) 취나물, 미나리 나물
-------------
봄나물인 취나물을 요즈음 밭에서도 키우는지 흔하고 값도 싸다.

0. 재료 : 취나물, 다진 마늘, 깨끗한 된장 조금, 참기름, 깨소금, 재래 간장

1.
취나물을 잘 손질하고 씻어서 뜨거운 냄비물에서 삶아서 찬물에 다시 헹구고 짜놓는다 ( 삶아서 물에 헹굴 때 거품이 많이 나는 것은 어쩜 키울 때 비료를 쓴 때문으로 여겨지므로 잘 씻어내도록 한다 )

2.
여기에 다진 마늘을 넣고, *1) 된장을 적정량 넣어 잘 주물러 준다.
간을 보고 싱거우면 재래 간장을 조금 더 넣는다.
간이 맞으면 깨소금과 참기름을 마지막에 넣어서 손으로 꼭꼭 쥐었다가 폈다 하면서 ‘ 주물러서 양념의 맛이 나물 속’ 까지 스며들게 한다.
그래서 ‘ 나물 맛은 어머니 손 맛 ’ 이라고 한다.
미나리(또는 부지깽이) 나물도 이와 같다.

※ 경북 울릉도는 섬으로 요즈음 부지깽이(나물)을 많이 키우는 듯하다 (- 동아일보 2025. 4. 12 토요일 동영상, 전승훈 기자 -24면 전면 광고 )
울릉도 섬은 지대가 가파르므로 이 나물은 ‘산나물’ 이라고 할 수 있다.
부지깽이 나물도 봄철의 나물로 취나물처럼 맛이 좋은 편이라 이들 나물로서 인기가 떨어진 것이 기존의 시금치 나물이다.
여성들은 생산자들의 정성을 생각하고 봄철에 산나물을 자주 섭취하면 생산자에게도 좋고 가족의 건강에도 좋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된장 ......... 장류는 조리에서 팔팔 끓여서 먹어야 한다. 그것은 장류의 나쁜 곰팡이균이 열에 의해서도 쉽게 사멸되지 않으므로 팔팔 잘 끓여서 먹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깨끗한 된장이라면 나물무침에서 약간 넣으면 구수한 맛이 난다.
청국장도 그러한데 청국장은 식염이 된장보다 적게 든 장류이므로 청국장을
끓여서 두고 먹을 땐 반드시 냄비채로 냉장고에 넣어 두어야 상하지 않는다.
청국장, 콩나물 국 등 단백질 식품은 상온에선 쉬 상하므로 두고 먹을 땐 반드시 냄비채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섭취할 것 ( - 2024년 4월 안정은 부분 보충)

**
.


--------------------------------
가) 취나물, 미나리 나물
--------------------------------

봄나물인 취나물을 요즈음 밭에서도 키우는지 흔하고 값도 싸다.

0. 재료 : 취나물, 다진 마늘, 깨끗한 된장 조금, 참기름, 깨소금, 재래 간장

1.
취나물을 잘 손질하고 씻어서 뜨거운 냄비물에서 삶아서 찬물에 다시 헹구고 짜놓는다 ( 삶아서 물에 헹굴 때 거품이 많이 나는 것은 어쩜 키울 때 비료를 쓴 때문으로 여겨지므로 잘 씻어내도록 한다 )

2.
여기에 다진 마늘을 넣고, *1) 된장을 적정량 넣어 잘 주물러 준다.
간을 보고 싱거우면 재래 간장을 조금 더 넣는다.
간이 맞으면 깨소금과 참기름을 마지막에 넣어서 손으로 꼭꼭 쥐었다가 폈다 하면서 ‘ 주물러서 양념의 맛이 나물 속’ 까지 스며들게 한다.
그래서 ‘ 나물 맛은 어머니 손 맛 ’ 이라고 한다.
미나리(또는 부지깽이) 나물도 이와 같다.

※ 경북 울릉도는 섬으로 요즈음 부지깽이(나물)을 많이 키우는 듯하다 (- 동아일보 2025. 4. 12 토요일 동영상, 전승훈 기자 -전면 광고 )
울릉도 섬은 지대가 가파르므로 이 나물은 ‘산나물’ 이라고 할 수 있다.
부지깽이 나물도 봄철의 나물로 취나물처럼 맛이 좋은 편이라 이들 나물로서 인기가 떨어진 것이 기존의 시금치 나물이다.
여성들은 생산자들의 정성을 생각하고 봄철에 산나물을 자주 섭취하면 생산자에게도 좋고 가족의 건강에도 좋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된장 ......... 장류는 조리에서 팔팔 끓여서 먹어야 한다. 그것은 장류의 나쁜 곰팡이균이 열에 의해서도 쉽게 사멸되지 않으므로 팔팔 잘 끓여서 먹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깨끗한 된장이라면 나물무침에서 약간 넣으면 구수한 맛이 난다.
청국장도 그러한데 청국장은 식염이 된장보다 적게 든 장류이므로 청국장을
끓여서 두고 먹을 땐 반드시 냄비채로 냉장고에 넣어 두어야 상하지 않는다.
청국장, 콩나물 국 등 단백질 식품은 상온에선 쉬 상하므로 두고 먹을 땐 반드시 냄비채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섭취할 것 ( - 2024년 4월 안정은 부분 보충)


- 이하 줄임


둥록 : 2016. 8. 29(월)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게시판 외
.....................
.....................
재등록 : 2024. 4. 14(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박형준)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경북 울릉군 자유 게시판( 파일 등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