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대 증원과 그 후속조치 외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 제안자 - 영양사)
작성 일자 : 2024. 12. 24(화)
소관 : 이주호 교육부장관 / 17곳 시도지사
( 유흥림 서울대 총장 / 김영록 전남지사, 박우량 신안군수)

주 제 : 식품 안전 / 국민의 생존권 보호 및 연장

제 목(1) : 의대 증원과 그 후속조치 외
제 목(2) : 주정차 위반 과태료 남발


제안자가 부산시청 및 금정구청에서 본인의 차량에 대해서 과태료를 남발한다고 부산시청의 전자 게시판(시민 게시판)에 게시를 하니
이후 금정구청에서 발부해서 낸 주정차 위반 과태료(지난 9. 26일 40,000원)를 낸지 얼마 되지를 않은 지난 12. 11일 오후 3시경, 금정구 중앙대로를 피해서 학교 앞 뒷길(중앙대로 아님)로 왔는데 그 길이 어린이 보호 구역의 길이라서 ‘속도 위반’ 이라는 범칙금(금정 경찰서)이 나왔다
요즈음 범칙금(경찰)의 수납율을 높이기 위해 미리 내면 금액이 적어진다.

이는 아마도 정부의 ‘의료대란’ 과 관련해서 이의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 발표한 사안인 ‘ 의대 증원 ’ (다음 ★ )
추진이 되면 그 후속 조치가 따라야 하지만 그 조치가 상부에서 없었으니 12월 11일자 제안자에게 금정경찰서에서 찍은 영상으로서 범칙금 고지서룰 발부한 것이니 이도 세칭 ‘ 오징어 게임 ’ 이다.
정부가 정상으로 돌아가면
최근 부산시 시민 게시판에 등재한 제안자의 글을 읽고 상부에서는 감사원을 개입시켜 제안자에게 발부한 차량에 대한 과태료나 법칙금 수납사항을 발췌해 보면 판별할 수 있는 것일텐데 이도 그대로 넘어간 것이다.
즉 ‘ 차별과 형평성’ 에 대해서 잣대가 없는 것이다.
아니고 식품안전법의 개정과 관련된 사항이라고요 ?

각설하고 (화제를 돌림)
2024. 12. 21(토) 동아일보 신문(최예나, 정승호 기자)에 의하면
신안섬에 사는 고3년생 문00양이 서울대 의대 수시 전형에 최종 합격했다고 한다.
이는 당사자가 의사를 희망한 것이니 후일 의사가 되면 신안섬에서 의사 개업을 해야만 할 것이다.
서울대는 이에 대해 정부에서 당해 학생이 의사가 된 후에 신안섬에서 개업해서 진료하도록 각서를 받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며 또한 의사 면허증에도 미리 조건을 붙이면 당사자는 그에 맞는 진로(개업)룰 결정하고 배우자도 그리 선택할 것이다. 후속 조치가 늦어지면 안된다
여타 이러한 특혜를 받은 의과 대학의 수시 합격자도 마찬가지다. 학적에서도 그리 관리하면 당해 학생은 의사를 위한 공부에서도 지방자치화 시대에 맞는 훌륭한 의사가 되는 길울 밟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보다 투명하게 하자면
수도권을 제외한 시도의 조례에서는
이러한 조건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의사 면허증을 취득한 후 당해 시군구에서 개업하도록 제정하는 것이 분명한 시책이다.
학교의 입학허가권은 당해 총장에게 있으니 그러한 조건의 입학자인지 아닌지는 총장들이 알 수 있으므로 그러한 학생들에 대해서는 당사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당해 학생들의 소재지 시도지사에게 총장은 통보하고 당해 학교도 당해 학적부에 표시를 해야만 그에 맞는 의사로 키워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의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그 사항을 당해 시도 또는 시군구에도 통보해야만 인적 관리가 된다. 의사 자격증 시험에서는 특혜가 있어선 안되지만
입학에서 특혜가 있었으니 신안섬의 경우에는 신안섬에서 개업하도록 하고 여타 도농에서는 당해 시도에서 개업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도 차별과 형평성의 원칙이다.
17곳 시도지사는 산하 시군구 지역 교통과에서 근무하는 임시직 공무원을 정규직의 공무원으로 교체해야만 한다.
참고로 제안자가 최근 식품안전과 관련해서 하루 식사인수 300인 이상의 단체급싟 및 음식점에서는 조리사나 조리원을 늘리는 대신 영양사를 늘리도록 시행령에서 규정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__________________다음 ★______________________
......................................................................
의대 증원, 27년만에 1,540명 증원
.......................................................................

정부의 의대 입학정원이 확정되었다.
의과대학의 정원이 늘어나는 것은 1998년 이후 27년만이다. 이에 따라 전국의 의대 40곳은 2025년도 신입생 4,695명을 선발해 올해 2024학년도 모집인원보다 1,540명이 늘어난다.
이중 비수도권의 의대 26곳은 모집 인원 중 1,913명(59.7%)을 지역인재 전형으로 선발한다. 정부는 의대 졸업생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지역 인재 전형 60% 이상을 권고했다.
의대 정원의 확대는 인구의 고령화로 의사 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명박, 문재인 정부에서 3차례 의대 증원을 추진했지만 의사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 -동아일보, 1면 2024. 5. 25 토요일 이문수, 박경민, 조유라 기자 / 동아일보 2024. 5. 31 금요일 최예나 기자 )

등록 : 2024. 5. 31(금)
서울시청, 부산시청, 제주도청, 충남도청 - 자유 게시판 및 유사 게시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등록 : 2024. 12. 24(화)
서울시청, 부산시청, 전남도청, 전북도청, 경북도청 - 자유 게시판 및 유사 게시판 ( 파일 등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