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3-4 ) 기름 오메가 -3’ 란 ?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 제안자 - 영양사)
작성일자 : 2021. 7. 9(금)
소관 : 식품안전처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행정자료실장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한국방송통신대학 5년과정 가정학과 가정학사(1980년 ~1985년)
-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년6개월과정, 행정학과 행정학석사(1987년 3월
~1990년)
...................................
- 경성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1999년 3월 ~2003년)
- 한국방송통신대학 4년과정 가정학과(식품영양학 전공 -식품영양학사)
(2008년 3월 ~2012년)
※ 국가 자격증 영양사 면허 취득 (2014년)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기름 오메가 -3’ 란 ?


한국인들은 세계 최상급의 식용유를 먹고 있다. 스페인산의 올리버 오일(엑스트라 버진유)이 바로 그것이다.
0. 올리버 오일은 식물성 기름이라 현대의 성인들이 경계해야할 콜레스테롤이 없으며
0. 착유 과정도 볶지 않고 그대로 압착해서 물리적(화학적 ×)으로 단순하게 정제 처리(여과 처리)하므로 압착 및 정제 과정이 안전하다

그런 한국인들이
최근 ‘ 오메가- 3’ 의 기름에 관심이 많아 살펴보고자 한다.

기름에서의 ‘ 지방산의 구조’ 에서
- 이중결합형태의 수가 1개이면
단일불포화 지방산 (올레산 - 올리브 오일에 많음)

- 이중결합의 수가 많으면
다가불포화지방산이라고 부르는데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올리브유에 많은 올레산이 그것이다.

다가 불포화 지방산 중에는
리놀레산, 리놀렌산이 있는데
지방산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이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오메가-2계(리놀레산), 오메가-3계(리놀렌산) 기름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정제된 식용유인 시중의 [콩기름]에서는
100% 지방산에서
리놀레산이 53.7g / 리놀렌산(오메가-3계)이 7.9g

[들기름(들깨가루)] 에는
리놀레산이 16.5g / 리놀렌산 (오메가-3)이 56.6g /
단일불포화 지방산(올레산)이 16.5g이므로
들기름이 좋은 기름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시중의 콩기름은 성분을 떠나서 정제과정이 단순하지 않아
‘ 잠재적 위해 요소’ 가 있어서 안전하지 못해 섭취를 금지하고 있으며
참기름, 들기름(들깨가루), 수입산의 올리브 오일은
정제과정이 단순하므로 안전하니
섭취를 권장하고 있는 것이다.

단순 압착유인 [ 참기름(깨소금)] 은 한국의 유명 양념인데
지방산의 구조에서 포화지방산이 14.3g // 리놀레산이 44.8 / 리놀렌산이 0.6 / 단일불포화지방산(올레산)이 39이다.

[ 올리버 오일 ] 은
포화지방산이 13.1g // 단일불포화지방산(올레산)이 75 / 리놀레산이 10.4 / 리놀렌산이 0.8이다

그리고 견과류의 기름성분도 리놀렌산(오메가 -3계)이 많다.

상기의 기름들은 모두 균형있게 섭취해야하며
혈청 콜레스테롤(동물성 식품의 기름에 포함)을 낮추기 위해
리놀레산의 기름(식물성 기름 - 주로 중성지방)을 많이 섭취해
이로 인해 몸속에 혈전(혈관 속의 혈액이 엉킴)이 증가되어
심혈관질환, 유방암, 대장암 등의 발생도 촉진될 수 있으므로
기름 식품(동물성 + 식물성)을 과용해선 안되지만
상기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오메가 -3계)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그 합성이 부족한 기름성분이므로 인체 밖에서 식사로써 섭취해야만 하는 필수지방산 성분이다.
즉 올리버 식용유는 최상급의 식용유이지만 그 성분에서 많은 올레산은
인체 안에서 만들어지는 지방산이다 ( 즉 필수지방산 성분이 아니다 )
그리고 상기 리놀레산의 기름과 리놀렌산(오메가 -3계)의 기름은
필수 지방산으로 한국인이 참기름, 들깨가루 등으로 섭취하고 있으며
성인은 필수지방산의 결핍증상이 나타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상당히 오랜기간을 필수지방산이 전혀 없는 식사를 하기가 어렵고 이미 인체의 지방조직에 필수 지방산이 많이 저장되어 부족시 체내 저장된 필수 지방산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섭취한 리놀렌산(오메가 -3계)으로부터 또는 생선의 기름에 의해서
심혈관 질환 발생 억제 효과가 있다. 에스키모인들이 서구인에 비해 심장병 발생율이 낮고 혈소판 응고가 감소되며 혈액 응고가 지연되는데
이것은 육류섭취나 식용유 섭취가 많은 서구인에 비해
어류 섭취가 많기 때문이라 일컬어져 왔다.
제안자는 생선의 기름이 인체에 들어가서 혈전(피가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은 생선이 사는 찬 물에서 비롯되는 그 물성(물리적 성질)으로도 보고 있다.


------------------------------
돼지 기름 : 포화지방산 40.6g // 리놀레산 9.8g / 리놀렌산 0.7g / 외
소기름 : 포화지방산 46.2g // 리놀레산 3.3g / 리놀렌산이 0.3g / 외

코코넛 기름 : 포화지방산 30g // 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이 9g
팜유 : 포화지방산 49.7g // 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이 49.2

※ 참기름 : 포화지방산이 14.3g // 외 불포화 지방산 : 리놀레산이 44.8 / 리놀렌산이 0.6 / 단일불포화지방산(올레산)이 39이다
------------------------------

참고문헌 : 21세기 영양학 / 최혜미 포함 19인 공저 / 교문사 67쪽 ~80쪽

등록 : 2021. 7. 9(금)
식약처(처장 : 김강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시장 : 박형준)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 색조 파일)
.................................
재등록 : 2022. 1. 7(금)
식약처(처장 : 김강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