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암이란 ?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 제안자 - 영양사)
작성일자 : 2023. 2. 17(금)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 노무현 대통령 - 이명박 대통령 - 박근혜 대통령 (탄핵) - 문재인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 (제안서 제출 후 23년차)


제안자 : 소속 및 직성명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행정자료실장,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1973. 6. 5 부산시 지방공무원 (5급을 -현9급) 공개 경쟁 채용
-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 5년과정 가정학과 (1980년 3월 ~ 1985년 2월 : 가정학사)
- 국립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년6개월과정, 행정학과 행정학석사(1987년 3월 ~1990년 )
...................................
- 경성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1999년 3월 ~2003년)
-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 4년과정 가정학과(식품영양학 전공) (2008년 3월, 2학년 편입 ~ 2012년 : 식품영양학사)
※ 국가 자격증 영양사 면허 취득 (2014년)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암이란 ?


몸의 혹, 덩어리, 몽우리 등은 인체의 장기에서 불거진 부분으로 의사들은 이를 영어로 어떻게 표기하는지 모른다.
이를 ‘ 혹’ 이니‘ 암 ’ 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어서 그렇게 부른다니 유방촬영, 유방초음파에서 여성들의 유방에 보이는 것들은 시중의 정제된 식용유에서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정제된 식용유의 그 정제과정에 화학 물질들이 첨가가 되어 정제가 되고 그리고 이 정제된 식용유는 식품의 흡수기전(지방분의 흡수과정)에서 살펴볼 때 지방성분은 유방의 임파선(림프관, 유미관)으로 흡수가 되므로 유방에 있는 혹 등 종양은
기름과 같이 흡수된 것으로 보면 → 정제된 식용유의 정제과정에 투입되는 각종의 첨가물이 원인임을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방의 혹은 ‘ 암 ’ 이 아니니 ‘ 종양’ 이라고 부르고
이 종양은 악성인지 양성인지 구분해야 하는데 악성인 경우에는 제거를 해야만 하고 양성이라고 해도 그 크기가 커지거나 인체에 장애가 되는 종양은 제거하지 않아선 안된다.

여성들의 유방에 있는 종양은 여성의 유방이 아기의 젖만 주는 인체의 장기가 아니고 중요한 지방대사도 담당하고 있으므로 유방에 있는 종양도 수술을 않으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종양을 관찰하고 또 수술을 해도 이 부위를 이후 정기적인 검사(초음파 검사)를 하고 관찰하고 있는 듯하다.

0. 유방암의 재발
주위 여성들에게 있는 유방의 종양들은 작은 경우가 많은데 그 종양이 악성이라 병원에서 수술을 했는데 수술한 그 자리에 종양이 다시 생기거나 옆에 종양이 생기면 ‘ 재발’ 이라고 하는데 재발인 경우에는 수술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유방종양의 원인을 몰라서 식습관이 바뀌지 않거나 자신도 모르게 정제된 식용유를 섭취(정제된 식용유로 가공한 유지로 만든 식품인 빵류 -가공유인 쇼트닝유 / 마요네즈소스 - 기름 첨가 / 셀러드유 -기름 첨가 / 경화유 -가공유인 마가린, 쇼트닝 / 드레싱 / 정제과정을 알 수 없는 기름이 든 과자류, 라면, 커피의 식물성 기름 등)하면
다시 유방에 종양이 생길 수도 있으니 그리되면 유방을 다시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이는 ‘ 재발’ 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면 식용유가 든 음식을 살펴보면

0. 한식의 나물 : 나물을 물에 삶아 짜서 마늘, 깨소금, 참기름, 재래 간장(소금 + 깨끗한 된장) 등 양념으로 꼭꼭 주물러서 나물 맛은 ‘ 어머니 손맛’ 이라고도 한다.

0. 구운 생선 : 생선 중 생선의 살이 있는 것은 횟감으로 많이 소비가 된다. 그러나 갈치, 조기, 가자미, 작은 고등어, 꽁치 등은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소금을 뿌려 굽거나 그대로 구워서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에는 팬에 정제된 식용유가 아닌 올리브유(시제이, 스페인산의 엑스트라버진유)를 사용해서 구워야만 한다.

대학의 교과서를 살펴보면
기업에서 내어 놓는 식용유에 대해서 언급되는 부분이 있다. 시중의 정제된 식용유가 대부분 수입유라고 한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참깨 및 들깨를 볶아서 압착한 참기름, 들기름만 한국산인 셈이다.
-----------------------
현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유지는 소기름, 돼지 기름, 야자유, 대두유, 유채유, 미강유, 피마자유, 팜유, 아마인유 등이다.
유채유, 미강유 외의 것은 수입하고 있다. ( - 식품저장 및 가공 / 안장우. 양철영. 심상국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년 339쪽 )
---------------------------

등록 : 2023. 2. 17(금)
보건복지부, 서울시청, 부산시청 - 자유 게시판 및 유사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