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칼슘보충제, 칼슘강화식품 복용 주의보 ! 그리고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윤)정은 ( 제안자 - 영양사 )
작성 일자 : 2022. 5. 11(수)

수신처 : 시도지사 및 산하 시군구청장 ( 참조 : 민원봉사실장)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 노무현 정부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 문재인 정부- 제안 후 23년차 윤석열 정부


제안자 : 소속 및 직성명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칼슘보충제, 칼슘강화식품 복용 주의보 ! 그리고


시중의 우유에는 영양성분에서 칼슘의 성분이 많지는 않지만 우유는 섭취량이 많아서 예로부터 ‘ 우유를 칼슘의 급원’ 이라 불렀다.
그리고 요즈음 콩으로 만든 시중의 두유에 칼슘 강화식품이 적지 않지만 국민들은 정부식품으로서 칼슘을 보충해도 충분하다.
그리고
현대인들이 육류 섭취를 과거보다 즐기면서 포화지방산의 섭취 함량이 많아서 국민건강검진에서 ‘ 이상지혈증’ 이나 ‘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염려해서
우유도 저지방 우유를 마시고 그리고 육류 대신 생선을 함께 섭취하려고 하지만 생선은 빨리 부패가 되고 그 덩치보다 섭취할 수 있는 가식부가 적어서 비싸고 또한 수산식품은 농협 하나로마트 등의 수산식품 판매를 위한 전문 판매소가 부족해서 대부분 건조한 식품으로 유통 판매가 되고 있다.

그래서 제안자는 기본의 수산식품은 정부 식품 외에도
생산하는 시도 중심으로 미역, 다시마, 대멸치, 볶음용 멸치, 김 등을 ‘ 생산자 및 원산지 실명제’ 로 상표에나 포장지에 명시하여
당해 시도청 산하의 구군청 민원실 창구에서 받아서 수익금 없이 팔도록 최근 요청해 왔다.
그리고 수산식품은 밥상에서 국으로 먹는 한국인에겐 기본 식품이므로
다시마는 생산과정인 반 건조 과정에서 적절히 잘라서 썬 다시마 즉 편의 식품으로 출하해서 가정에서 취업 여성들(약사, 동네 병원의 여의사 등 소상공인의 여성 포함)이 부엌의 조리과정에 불편하지 않도록 생산해야 한다.

1. 수산식품은 당해 시도 생산지를 중심으로 원산지, 생산자 실명제로 명시해서 산하 시도청의 구군청 민원실에서 수익 없이 판매한다. - 식품 안전의 과도기

2. 당해 수산식품은 조리에서 사용이 쉽도록 용도 구분하여 [ 볶음용 멸치, 임산부용(임신부 + 산모) 미역, 썬 다시마, 구운 김 ] 등으로 판매한다.

첨부 파일
1. 칼슘의 저장과 배설 외
2. 필독 ) 음식과 체질 (4회)

등록 : 2022. 5. 11(수)
식약처, 서울시청, 충남도청, 전북도청, 부산시청, 제주도청 - 자유 게시판 및 유사 게시판 ( 첨부 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