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식품안전상황실 (제안서 85쪽 ~86쪽)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식품안전상황실 (제안서 85쪽 ~86쪽)


나) 식품 취급자의 종류

①식품 생산 기술 연구원 (연구원장)

부산광역시에는 식품 생산 기술 연구원 한 사람을
채용하되 그 자격과 대우는 한국전통식품을 생산하는
정부의 식품생산기술연구원의 자격과 동일하게 하며 그 역할은 부산광역시에서 생산하고 보증할 식품의 품목 을 결정하고, 또 식품을 생산할 연구소를 운영해 갈 연구 원장으로 한다.
식품 생산 연구소는 연구원장의 제1집무실로 하며
연초의 식품 생산 품목의 결정, 안전식품 목록 및 설명서
작성을 위하여, 식품 생산 연구소의 단위 식품 생산책임자, 식품 생산원(식품 검사원), 유전성 질병 연구원, 구청 단위의 식품 검사원, 동사무소의 식품 판매원의 자료를 받는다.
식품 생산 연구소는 부산광역시장의 직속기관으로 두며
시장실이 소재한 동일한 층 (부산광역시장실은 현재 7층 소 재) 에 식품 안전 상황실을 설치한다.
거기는 또한 시청사 (市廳舍) 내의 부산광역시 식품 생산 연 구원장의 제2집무실로 하며 연구원장이 연구에 필요한 행정 관련 자료 및 서적을 둘 수 있는 책장과 공간을 마련한다.
식품안전상황실에는 전년도의 부산광역시의 인구와 사망자수, * 사망자의 질병, 분기별 질병 발병자수, 질병 유형, 발병자와 식품과의 상관 관계 및 그 중요 원인, 출생한 장애아 등록수, 유전성 질환을 가지고 태어나는 아동수를 수치화 하여 상황판 을 작성한다.
전년도의 인구수 및 사망자수는 부산광역시의 기획
관실의 자료를 활용한다. 부산광역시의 연도별 인구와
사망자수는 다음과 같다. (표 13)





부산광역시의 인구 및 사망자수 ( 표 13 )
단위 : 명

연 도
인 구 수
사망자수
비 고
1991 년
3,892,820
16,645

1992 년
3,887,278
15,961

1993 년
3,868,429
16,344

1994 년
3,846,544
16,741

1995 년
3,892,972
17,028

1996 년
3,878,918
17,030

1997 년
3,865,114
18,267


자료 : 부산광역시, 부산통계연보(부산: 부산보훈복지 인쇄조합, 1998)
62P, 79P

질병 발병자수는 각 관할 구청의 1399 번의 전화를 이용
하여 발병자로부터 발병 신고를 받아(수석 식품 검사원이 접 수 대장에 받아) 관할 지역의 식품 검사원이 현지 확인하여
질병자가 선호해 온 식품을 조사한다. 식품 조사를 할 때에는 발병자의 가족에게 같은 질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또 질 병자의 식이(食餌)조절에 가족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하여 당해 질병에 맞는 식이를 안내하는 “식이 안내서”를 작성 하여 질병자에게 직접 교부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사망자의 질병.............사망자 수는 가족관계부(이전의 호적부)에서 사망신고자의 사망자수를 뜻하며
사망자의 질병은 [ 1차, 식도암 / 2차 합병증 폐렴으로 사망 ] 등 으로 이전부터 사망신고서에는 질병명 등의 사망원인을 사망신고서에 기록해 왔는데
이 사망자의 사망원인인 질병을 [ 1차 00 / 2차 00, 00등으로 사망 ] 등으로 가능한 상세히 기록하도록 한다. 즉 교통사고이면 ‘ 교통사고 사망’ , 근로 중의 추락사고이면 ‘ 추락 사망’ 이라 상세히 기록한다.
이는 의사 진단서상의 사망한 병명과 일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진단서보다 가능한 상세하게 그리고 사실대로 기록하도록 한다.

등록 : 2021. 12. 10(금)
식약처(처장 : 김강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보건복지부(장관 : 권덕철)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 시민게시판 ( 파일 등록 )
※ 제안서에서 사망 원인을 보충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