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번지 없는 주막!’ 대중가요 작사가. 극작가 박영호(朴英鎬)

내용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 여울에 아롱 젖은 이즈러진 조각달/ 강물도 출렁출렁 목이 메입니다~”
손목인 작곡 박영호 작사 고복수 노래 (1936)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주막에 궂은 비 나리든 그 밤이 애절쿠려 능수버들 태질허는 창쌀에 기대어 어느 날짜 오시겠소 울든 사람아...” 이재호 작곡박영호 작사 백년설노래 (1940)

오빠는 풍각쟁이 연락선은 떠난다 번지 없는 주막 등으로 유명한 작사가 박영호는 필명 처녀림處女林 불사조 등으로 많은 작품을 발표하여 일제에 신음하던 민족을 달래준 작사가로 평가됩니다.
박영호는 '낙화유수' '꿈꾸는 백마강' 등을 작사하였던 조명암과 함께 일제강점기 가요계를 이끈 양대 작사가로 꼽히는 인물이었습니다
김다인이란 이름은 그간 조명암(조영출)의 예명으로 알려졌지만, 박영호 역시도 공동으로 같은 예명을 썼을 거라는 자료가 발굴되었다고 합니다


https://tv.kakao.com/channel/3880818/cliplink/422295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