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소아비만 주의보 !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소속 및 직성명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6급) 안정은 (安貞垠)
- 1985년 한국방송통신대학 (5년과정) 가정학과 졸업 (가정학사)
- 1990년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년6월 과정)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카페인이 없는 국화차 외
제 목 (2) : ♬ 소아비만 주의보 !


[ 제안 추진 내용 2009년 24 ) : 부산 국제 식품전 ]

.......................................
무농약 국화차
.......................................


2009. 6. 18 - 6. 21,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2009년 부산 국제 식품전이 개최되었다.
주최는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입장료는 2,000원.

- ( 중간 생략 ) -

가을신선 국화차 ( 안동국화차 영농조합 / 경북 안동시 서후면
교리 141, 전화 : 054, 841-9003 )는
유기농 무농약으로 재배한 조선토종 국화로
국화 고유의 맛과 색, 꽃의 향을 그대로 살린 차로 무카페인의
수제차이다.
경북 안동시 송천동에 연구소가 있다.
청와대 납품업체이며 ‘ 우리차 9종 ’ 중 경상북도 대표로 선정되었으며 남북정상회담의 선물용 국화차로 나갔다.
무농약 농산물 인증을 받았다.

국화를 재료로 쓴 국화비누도 만든다고 한다.

-- 2009. 6. 21(일), 부산 벡스코 --
.
등록 : 2012. 6. 5(화)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경상북도 안동시청 - 자유 게시판
제주시청 - 자유 게시판
.................
등록 : 2012. 6. 25(월)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 이희성) - 국민 광장 - 여론 광장

* * * * * * * * * * * * *

[ 제안 추진 내용 2008년 64) : 대한민국 축제 박람회 ]


국화를 재배하는
국화 농원, 국태 ( 강연분/ 경북 봉화군 재산면, 054, 821-7527 ).
국화는 식용가능하고 향이 좋아 국화차로서 마셔왔으며 특별한 효능도 있다고 한다.

-- 2008. 6. 21(토), 부산 벡스코 --

* * * * * * * * * * * * *

[ 2016년 부산국제식품전 ]

............................................
가을미인, 황국(黃菊)
..............................................

경북 안동 유기농 국화 100%
손으로 만든 수제 국화차이다.



제조원 : 보화다원 (경북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2886-10 )
- 전화 : 054, 821 - 3572

전시가격 : 20 g 23,000원

섭취방법 : 유리다관 또는 잔에 1인 기준으로 다섯알을 찻잔속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냅니다 / 반복하여 우려 드셔도 됩니다 / 국화차를 따뜻하게 드시거나 식혀서 냉장고에 보관하여 시원하게 드셔도 좋습니다.

* 깨끗한 자연 환경에서 재배한 국화를 감초와 대추 추출물에 데쳐 쓴맛과 독한향을 제거였습니다 ( - 광고지 : 보화다원 ‘ 가을미인 ’ )

-- 2016. 6. 22(수), 부산 국제 식품전 (벡스코)을 다녀와서 --
.
등록 : 2016. 6. 27(월)
보건복지부(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경북도청 (지사 : 김관용) - 자유 게시판
경북 안동시청(시장 : 권영세) - 자유 게시판
_________________________
※ 국화차의 효능............... 두통 및 눈에 좋다. (삼세한방병원 한의학 박사, 안창범, 2016년 6월 28일 / [ 생활한방 민속약] 한국자연의약연구회편집, 동도문화사 1985년 29쪽 )
.
.

상기 민속 한방약 29쪽에서는 국화는 눈의 염증에도 좋다고 되어 있으므로 국화차를 마시면 항균 및 멸균작용도 있는가 보다.

※ 2016. 7. 10일 일요일, 송해씨의 ‘ 일요일의 노래자랑’ 시간에 상기 국화차를 끓여서 홀짝 홀짝 연달아서 2잔(커피잔)을 마셨다. 차에서 국화 향기도 솔솔 나고 은은하게 달기도 해서이다. 그런데 이튿날 새벽에 위쪽아래의 장이 불편했다. 아마 연달아서 마신 2잔의 국화차가 소장의 장균총을 사멸시켜 소화 장애가 온 듯하다. 상기 서적 29쪽에는 설사를 하거나 위가 차가운 사람은 먹지 말라고 하고 있다. 국화차의 효능이 대단한 것이다.

* * * * * * * * * * * * *

[ 제안 추진 내용 2011년 5), 식품관련 전시 및 행사 ]


2010 대한민국 국향대전

0. 개최일 : 2010. 10. 29 ~11. 14 (17일간)
0. 장 소 : 함평 엑스포 공원 (전남 함평군 함평읍)
0. 주 최 : 함평군( 군수 : 안병호)
0. 주 관 : 함평군 축제추진위원회

____________________
* 가을꽃을 대표하는 국화는 우리나라에는 약 10여종이 있다. 이 중 식용과 약용으로 쓰는 국화는 맛이 단 감국이며 줄기가 붉고 향긋하다. 고의는 맛이 쓰며 독성이 있어 위장을 손상시키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는 국화를 두통약으로 주로 쓰며 급성 두통, 만성 두통에 모두 효험이 있고 편두통에도 약이 된다.
혈액을 정화시켜 종기나 여드름이 나는 체질을 개선시키고 변비, 생리불순이 있는 여성에게도 좋으며 미용효과도 뛰어나서 국화차를 마시는 풍습이 있는 가정에는 미인이 많다는 말도 있다. ( 2011. 2. 1, 화, 금정소식 - 삼세 한방병원 )

-- 2011년 11월 8일 (월), 식품환경 신문, 광고 --

**

- 이하 내용 모두 줄임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 쑥 (= 약쑥)
- 쑥은 국화과의 다년생 풀이다. 약용 부분은 말린 잎이다. 쑥은 강화도의 것이 유명하다.
- 효능은 피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고 항균소염(균에 대항하고 염증을 없앰) 작용 있으며
전염병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쑥을 태워서 소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만성위통에 좋다

-- 홍문화 감수, [생활 한방, 민속약 ] 한국 자연의약 연구회, 1985년 (서울/ 동도 문화사) 216쪽 , 180쪽 (도서가 : 78,000원) --

[ 홍문화 (洪文和 ) ...........1916년 평안남도 출생 / 경성 약전(藥專) 졸업, 조선 의사 시험 합격, 서울대학교 약학박사 / 1947년 재무부 제염시험장장,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및 학장, 1966년 국립 보건원 원장, 1971년 국민훈장 동백장 수여 / 주요저서 : 무기약품 제조화학, 신석 동의보감, 약과 건강 외 다수 (참고 : 상기 저서의 발행사항 - 2016. 7. 16일 안정은 보충기록 ) ]
.
등록 : 2012. 6. 15(금)
보건복지부(장관 : 임채민) - 참여 -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시장 : 허남식)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인천시 옹진군청(군수 : 조윤길) - 자유 게시판

**
.

글쓴이 : 안정은

시(詩)와 노래 속의 국화

시(詩)
............................
국화제(國華祭) ----- 노천명
..............................

들녘 경사진 언덕에 네가 없었던들
가을은 얼마나 적적했으랴
아무도 너를 여왕이라 부르지 않건만


봄의 화려한 동산을 사양하고
이름 모를 풀 틈에 섞여
외로운 절기를 홀로 지키는 빈 들에 새악시여
* 가 -ㄹ 꽃(갈꽃) 보다 부드러운 네 마음 사랑스러워
거친 들녘에 함부로 두고 싶지 않았다.

한아름 고이 꺾어 안고 돌아와
책상 위 화병에 너를 옮겨 놓고
거기서 맘대로 화창하라 빌었더니
들에 보던 그 생기 나날이 잃어버리고

웃음 거둔 내 얼굴은 수그러져
빛나던 모양은 한잎 두잎 병들어 가는구나
아침마다 병이 넘게 부어주는 맑은 물도
들녘의 한 방울 이슬만 못하더냐
너는 끝내 거친 들녘 정든 흙냄새 속에
맘대로 퍼지고 먹대로 자랐어야 할 것을.....
뉘우침에 떨리는 미련한 손이
시들고 마른 너를 다시 안고
높은 하늘 시원한 언덕 아래
묻어주러 나왔다. 들국화야 !
저기 너의 푸른 천정이 있다.
여기 너의 포근한 가 -ㄹ 방석이 있다.
_______________
* 가 -ㄹ 꽃(갈꽃) ........ 시나 노랫말에서의 ‘가을꽃’ 이란 ‘여러 종류의 꽃’ 을 의미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꽃은 ‘ 곧’ 아닌 의미로 비유되기도 하지만 어쨌든 국화 및 들국화에 관한 시나 노래는 그대로 음미해도 한국의 아름다운 정서가 뚝뚝 흐른다.

[ 노천명 시집, 서문당 1973년 23쪽 ∼ 25쪽 ]
시인은
- 1912년 9월 황해도 장연군에서 태어났다.
- 진명여고를 나와 이화여전 영문과에 진학, 졸업 후 곧 조선 중앙일보
학예부에 들어가 4년간 근무하다 조선일보로 옮겨 ‘여성지’ 의 편집을 맡아보았으며 이후 매일신문사에 입사하여 해방 다음해인 46년까지 서울신문 문화부에 근무했다. 46년부터 2년간 부녀신문 편집차장을 역임했고
51년부터 57년까지(45세의 일기로 사망) 공보실 중앙방송국의 방송촉탁으로 근무했다.

...................................................................

한국 명가곡(名歌曲)

.................................
그리워 ....... 채동선 작곡, 이은상 작시
.................................

♬♬

그리워 그리워 찾아와도
그리운 옛님은 아니뵈네
들국화 애처롭고 갈꽃만 바람에 날리고
마음은 어디고 붙일 곳 없어
먼 하늘만 바라본다네


눈물도 웃음도 흘러간 세월
* 부질없이 헤아리지 말자
그대 가슴엔 내가, 내 가슴에는 그대 있어
그것만 지니고 가자꾸나
그리워 그리워 찾아와서
진종일 언덕길만 헤매다 가네
______________
*부질없이 ....... 쓸데없고, 이롭지 않고, 긴요하지 않은

※ 우리 명가곡의 노랫말에는 겨레의 넋(혼, 얼)이 함축되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노랫말에서 보통 2번 반복되는 용어는 부정을 의미한다.
즉 그리워, 그리워 라는 2번 반복된 용어는 그립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그리 이해하고 다시 한번 상기의 노랫말을 감상해 보자 !

[ 한국명가곡선집, 예음사(해설 최영섭), 1984년 95쪽 ]
- 상기 ‘ 그리워 ’ 는 원래 시인 정지용의 ‘망향’ 에 곡을 붙인 것이었다.
훗날 노랫말이 상기 이은상의 ‘그리워’ 로 개작이 되었고 박화목의 ‘망향’ 으로도 개작이 되었는데 후자의 두 제목으로 널리 애창되어 왔다.
이 노래를 부르다가 목이 메고 눈물이 앞을 가려 가창 도중에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는 일화가 있다. 눈물없이는 부르거나 듣지 못할 노래라고 할 수 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 목 (2) : 소아비만 주의보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관련대호 190715-1(2019. 7. 15, 월요일 16 : 21)
수신처 : 생략
수신처(2) : 부산시 경찰청장(이규문)

제 목 : 수영강의 잔물결(2)
새제목 : 어르신 보호차량 - 65세 이상, 분홍색 차량 외(★)


- 이하 본문 내용 모두 줄임 -

-- 2019. 7. 16(화)--
등록 : 2019. 7. 16(화)
제안건의청 부산시청(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_______________________
* 일제 순사 .............제안자는 노씨에 대해서라면 노천명 시인에 대해서만 잘 안다.
빼어나게 좋은 시를 많이 쓴 여류시인으로 45세에 요절한 시인.
싯귀에 ‘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 라는 사슴의 시가 있다.
그런데 노씨로서 제안자 주위의 친지에 고도 비만인 및 비만인이 적지 않아 이상하게 생각해 왔는데 며칠 전 텔레비전 방송에서 일제 감점기 시기에 ‘ 노덕철, 김택상’ 이라는 순사(경찰관)가 악명이 높았다고 한다.
제안자는 식품에 대해서 공부해 온 영양사인데 요즈음 소아비만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데 비만한 주위 사람들에 대해서 식생활을 살펴보면 성인이 된 후의 식생활에서는 전혀 비만할 이유가 없는데 비만이 개선이 되지를 않아 이는 소아 비만에서 원인을 찾고 있다. 즉 어려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가 되면 소아 비만으로 될 수 있으므로 그래서 소아비만을 경계해야만 한다. 가수 방실이씨(본명 : 방연순), 이은하씨(본명 : 이효순)및 혜은이씨(본명 : 김승주), KBS 1 TV 아침마당에 나오는 코미디언 이용식씨 등이 그러한 경우로 보이는데 제안자 주위의 친지(노금화씨 - 여성 / 외 노혜자씨)는 비만이어서 제안자가 언젠가 자가 혈당기로써 평소의 혈당을 점검해 보니 혈당에서는 이상이 없었다. 식품관련 서적(21세기 영양학 - 최혜미 외 공저)에서는 어려서 타우린 성분을 인체에 투여하면 인체의 지방세포가 증식(불어남)이 된다고 한다. 실제 이전의 아기분유는 성분을 모유처럼 조제한 조제분유인데 그 성분에서 타우린 성분을 첨가해서인지 아기분유를 먹인 아이에 대해서 과거 우령아 선발대회를 하기도 했었다.
참고로 노무현 대통령은 재임시 “ 닫아서 망하는 것보다 열어서 망하는 것이 다 낫다 ” 고 한 적이 있었다. ( - 2021. 9. 11 토요일 안정은 보충 기록)

**
재등록 : 2021. 9. 11 (토)
부산시청 (시장 : 박형준) - 부산민원 120 - 일반제안 (등록 불가)
부산시청 - 부산민원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
.


.................
타우린
...............
오징어, 문어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 비타민 유사물질’ 로 명명되며
인체 밖에서 합성이 되어 예전 아기의 조제분유에도 첨가했다고 들린다.

『 확실한 작용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우리 인체에 중요한 여러 기능 외 세포 분화 및 세포의 성장에도 관여한다.
타우린은 동물성 식품에만 함유되어 있으나 채식주의자에게도 타우린의 결핍증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인체가 타우린을 필요한만큼 합성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들은 타우린의 섭취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낭포성 섬유증이 있는 어린이에게 타우린을 보충해주었을 때 성장이 향상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타우린이 담즙산염과 결합하여 담즙산염을 형성함으로써 ‘ 지방의 흡수율을 증진시킨 결과’ 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산아에게 타우린을 보충해 주면 지방의 흡수가 촉진된다 』( -21세기 영양학 / 최혜미 외 공저 255쪽 ~256쪽)


『 비만과 관련되는 것을 인체의 지방조직인데 지방조직은 지방의 세포 수가 많아지거나 세포의 크기가 커지면서 발달하는데 임신 후반기부터는 지방세포수가 늘어나는데 반해 출생 후 1개월부터 2년까지는 지방조직세포의 크기가 커지면서 체지방량의 증가한다. 이후부터 22세까지는 ‘ 지방 세포수’ 가 늘어나 체지방량이 증가하는데 특히 사춘기에 세포분열이 가장 활발하다
그러므로 성장기의 비만은 지방세포 수가 많은 경향을 보이는데 성인기의 비만은 지방 세포의 크기가 크다. 그러나 성인기에도 양 에너지 평형이 과다한 경우에는 지방세포가 분열해 세포 수가 많아질 수 있다.
비만은 지방의 세포 수가 많아져서 발생한 비만 유형을 ‘ 증식성 비만’ 이라고 하며 /지방세포가 커져서 야기된 비만을 ‘ 비대성 비만’ 이라고 한다.
BMI가 35를 넘거나 체중이 표준 체중의 75% 이상인 경우는 대부분 ‘ 증식성 비만 ’이다 』 ( - 영양학 / 구재옥 외 공저 167쪽 ~169쪽)
_____________________
* BMI(체질량지수) 란 ? ............몸 무게(kg)를 키(m)로 나눈 값이다.
예로써 체중이 60kg이고 키가 167cm라면 BMI는 60 / 1.65제곱 = 60 / 2.72 = 22이다
22는 정상 체중(18. 5 ~24.9)에 속한다. 현재 2년마다 국민들이 받는 국민건강검진에서 검사하는 항목이다.

등록 : 2021. 9. 12(일)
식약처(처장 : 김강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외 (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