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친일 반민족 행위’ 꼬리표 VS 모윤숙 ‘8대 민주공화당’ 전국구 의원

내용
1934년 모윤숙은 이광수의 중매로 독일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돌아온 안호상과 만나 화촉을 밝히고 딸도 하나 낳게 됩니다
그러나 모윤숙이 열정과 감성을 앞세우는 반면 남편인 안호상은 이성과 지성에 치우치는 성격이어서 두 사람은 서로 겉돌게 됩니다
누구 못지않은 애국자일뿐더러 독일에서 헤겔을 전공한 보기 드문 지식인이었지만, 가부장의 권위를 내세우며 여성을 비하하는 일면을 드러내기도 하였습니다.
남편의 이런 태도에 환멸을 느낀 모윤숙은 곧 이혼하고, 이후 평생을 독신으로 생활하게 됩니다.

태평양 전쟁이 확산되고 일제의 압박이 심해지자 친일 인사들이 주로 참여하는 〈매일신보〉·〈삼천리〉·〈신시대〉 등에 친일적인 글을 발표합니다.
모윤숙은 친일 단체인 조선문인협회에 간사로 가담해 저술 활동 및 친일 강연을 하였고, 최정희, 노천명 등과 함께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의 간사로서 일제에 협력하며 문사부대 육군지원병 훈련소 1일 입소에도 참여합니다.
1941년 10월에 출범한 ‘조선임전보국단’에 들어간 그는 부민관에서 열린 ‘결전 부인대회(決戰婦人大會)’에 연사로 참가, 반미에 관한 내용과 학병을 격려하는 내용의 연설을 하며 친일 행각을 노골화합니다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는 ‘조선교화단체연합회’의 이름으로 전국 39개 도시에 ‘부인계몽독려반’을 보냈는데,
이때도 모윤숙은 함흥 · 원산 · 북청에 가서 조선 청년들을 ‘정의의 용사’로 추켜세우며 학도병 출진을 부추겼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moPz3Cn4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