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새내기 요리 (24) / 동태 매운탕, 껄죽하고 맛있게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제 목 : ♬ 새내기 요리 (24) / 동태 매운탕, 껄죽하고 맛있게


요즈음 어묵이 정제된 기름으로 처리가 된다고 하여 국민들은 기름으로 익힌 어묵(유탕처리 식품)의 섭취를 않도록 해 왔다. 그리되면 그 어묵에 들어갔던 재료인 어류들이 생선 그대로 시장으로 나올 것이다.
명태도 동태도 마찬가지다. 명태를 얼린 동태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는 흔하고 값도 쌌는데 요즈음은 동해안에서 잘 잡히질 않아선지 러시아에서 수입한 명태가 대부분이고 명태가 바닷물이 찬 곳에서 잡히면 일반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생선에 속하는데 그것은 사람들이 겨울에 생선회를 먹는 것과 유사한 의미이다. 명태는 생선의 맛이 담백하므로 다음과 같이 ‘ 된장을 조금 넣고 ’ 약간 껄죽하게 매운탕을 끓여서 먹도록 한다.
원래 대구탕, 동태탕 등의 매운탕은 시원하고 칼칼한 국물의 맛으로 먹지만 한국인의 입맛은 1970년대 및 1980년대의 인공 조미료였던 글루탐산나트륨(미원, 미풍 등 인공 조미료의 주성분)의 맛에 젖어 있어서 생선의 탕에서 시원한 맛을 쉽게 느끼기가 어렵다. 대표적인 인공 조미료의 맛은 현재 시중의 라면과 어묵(세칭 오뎅)에 아직 남아 있다.
당뇨인들은 맛이 담백한 명태 매운탕을 조리해서 먹으면 값싼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 (저지방 고단백)
그리고 명태는 얼린 동태를 녹여서 시중에 나오므로 명태 매운탕에서 뜨는 거품은 걷어 내도록 한다.

......................................................................
식재료
......................
손질한 동태 한 마리/ 고춧가루(+ 생고추) / 생강 조금 , 마늘 빻은 것/ 무 조금 / 멸치, 다시마 조각 / 순창 된장 조금/ 대파 (또는 양파)
...........................................................................

O. 매운탕용으로 잘리어진 동태를 사와서 머리통은 버리고 껍질은 수세미 등으로 깨끗이 씻어 낸다.

O. 양파를 까서 우선 반으로 썰고 이를 눕혀서 채썰고, 무도 납작하게 썰어서 양파, 무을 냄비 바닥에 깐다.

O. 냄비 바닥에 썬 양파 및 무를 한겹 깔고 잘 씻은 동태를 위에 얹고 그 위에는 고춧가루, 생강 조금, 마늘 빻은 것을 얹는다.

O. 물을 붓고 다시마 조각을 잘 씻어서 넣고 된장을 철사망에 조금 넣어 푼다

O. 된장을 넣어 푼 철사망을 비우고 여기에 먼지를 씻어낸 멸치를 조금 넣어 냄비에 담구어 멸치 육수를 낸다

O. 대파를 비스듬하게 썰어서 위에 덮는다

O. 익는 동안 숟가락으로 아래의 국물을 위로 잘 퍼 올려 주면서 동태 및 된장에서 나와 뜨는 기름은 산패된 기름이므로 잘 거두어 낸다.

O. 팔팔 끓여서 마지막에 간은 본다. 간은 멸치 어간장으로 한다.
- 생선은 육질이 연하므로 너무 오래 끓이지 않아야 한다. 육류, 생선 등 단백질은 물에 녹는 수용성이므로 물에서 너무 오래 끓이면 육질의 맛도 없어지고 쇠고기 등 육류는 오히려 질겨지므로 물에서 너무 오래 끓이지 않아야 한다.
.
.
.


값싼 동태탕 자주 섭취

동태 매운탕 조리에서 생선과 야채(무, 양파, 대파 등)가 다 익으면 잔 거품이 냄비 옆에 붙어서 떠오른다.
상기 동태 매운탕에서의 식재료는 얼린 명태와 숙성시킨 된장이므로 떠오르는 기름성분(동태, 된장의 지방 성분)은 오래되어 산패된 나쁜 기름일 수 있어 숟가락으로 잘 떠내어 흐르는 수돗물에 씻어내고 이때 다시마 조각도 건져 낸다.
동태탕은 명태 자체의 맛이 담백해서 깊은 맛은 덜하지만 값이 저렴한 생선 단백질이므로 저소득층의 가정에서는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자주 동태매운탕으로 조리해 주도록 한다. 동태 매운탕은 당뇨인에게도 좋다.
상기와 같이 갖은 양념을 넣어 끓이면 맛도 있어서 동태 매운탕은 국물도 함께 먹는 음식이다.
아이들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단백질 요구량)에서 생선 단백질의 종류(생선의 맛)에 따라 무에 그리 다를소냐 !
한국의 가곡에 ' 명태' 라는 가곡이 있다. 좀 우스꽝스러운 가곡(노래)이며
바리톤(목소리의 음이 낮은 남성의 성악가)이 주로 부른다. (-양명문 작시, 변훈 작곡 )

-- 2014. 9. 15(월), 2015. 3. 13(금), 2019. 2. 11(월)/ 2020. 4. 21(화) --
등록 : 2019. 2. 11(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등록 : 2020. 4. 21(화)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