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당뇨 알면 이깁니다 !

첨부파일
내용
“ 아는 것이 힘이다 ” (- 안병욱 에세이에서) - 당뇨 알면 이깁니다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불편한 진실, 어머니 형제들(윤씨)의 당뇨


- * 대통령 연금 수령 / 아웅산 폭탄 사고 -

★ 1
.......................................................................
임기 못 채우고 하야한 윤보선 대통령,
평생 대통령 연금 수령 ?
.........................................................................

윤봉길 의거는 1932년 4월, 일제 강점기에 상하이에 소재한 홍구 공원(홍커우 공원)에서 일본 천황폐하의 생일잔치를 여는 일본의 주요인사에게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던져 사망케 한 항일 독립운동이다.
상하이에는 1919년 3.1운동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있던 곳으로 이 독립정신은 대한민국의 헌법 전문에도 나와 있다. 다음의 귀절이다.
“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그리고 대한민국 건국 후 제 2대 윤보선 대통령은 한국 국회에서의 선출직 대통령이었으나 군인 박정희씨의 군사정변에 의해 취임 후 2년도 채우지 못하고 하야했다.
그리고 1969년 박정희 정부에서 제정된 대통령 예우법에 의해 퇴임 후 대통령의 연금을 받은 듯하다.
건국 후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은 1969년 이전인 1965년 하와이에서 돌아가셨으므로 대통령 연금은 받지 못했다.
그리고 유의할 것은
박정희 정부에서 제정한 대통령 예우법 즉 대통령 연금 및 유족연금(영부인 )을 박정희 대통령 당사자는 받지 못했다.
대통령의 연금은 이후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당사자나 영부인이 대통령 연금이나 유족 연금을 받고 있을 것이며 전두환 대통령과 노태우 대통령은 직업 군인으로 근무하다가 퇴직(즉 예비군 편입)하고 한국의 대통령이 되어 군인연금은 받고 있을 것이나 대통령 연금은 받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구체적인 이유는 알 수 없다.
2008. 1. 5(토) 조선일보에 의하면
정무직 공무원의 연봉(직급 보조비와 정액급식비 포함)에서
대통령은 연봉이 208,631,000원 (2억 8천 - )이므로 12개월로 나누면 매월,
약 17,385,920원(1천 7백만원 - ) 에 해당된다.
대통령의 연금은 대통령의 마지막 월 보수에 준해서 지급이 된다.


★ 2
..............................................................................
윤성민 국방장관과 아웅산 폭탄사고
.............................................................

제안자는 1983년 10월 전두환 정부, 국외인 * 아웅산에서 있었던 ‘아웅산 폭탄사고’ 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있다.
이 태러로 당시 한국의 각료들이 대부분 죽었다고 신문기사화 되었고 이 사건은
국제도시였던 홍콩잡지들에서도 크게 표면을 장식했다.
당시 한국에서는 국방부장관이 윤성민 장관이었고
외무부장관은 이범석 장관이었다.
2015년 3월 현재의 외무부 홈페이지에는 이범석 외무부장관은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순직했다고 나온다
(※ 이범석씨는 대한민국의 초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고 이어 초대 국무총리, 그리고 내무부장관을 역임했다. 이승만 정부시이다. - 상기의 이범석 외무부장관과는 동명이인이다 )
_____________________
* 아웅산에서 있었던 ‘아웅산 폭탄사고’ 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있다.......
아웅산(버마 현 미얀바 소재)과 일본의 위안부 문제와 같이 고찰해 보면 2차세계대전이 종말되기 전, 아웅산에서는 일본 종군 위안부를 찍은 사진이 보관되어 왔다고 한다 (2018년 4월 )

.
.
.


- 인해전술 (人海戰術) : 전장에서 공격시, 무기에 의하지 않고 대부분이 비무장한 많은 인세(人勢)로써 적과 대전하는 원시적 전술 -

- 행정 기구가 아닌 의인화 라고요 ? 아니고 각론이 문제라고요 ? -
.
.
.
불편한 진실, 어머니 형제들(윤씨 - 파평윤씨)의 당뇨


나의 어머니의 형제들 (5분)은 왜 모두 당뇨였을까 ?
나의 어머니는 상기 아웅산 폭탄사건이 있은 후인 1984년 말과 1985년 2월에 당뇨가 왔다. 당뇨에 대해 혹자는 가족에서 유전성이 있다고 했지만 나의 외할머니(어머니의 어머니)는 당뇨가 아니었다. 그리고 그 외손녀 및 외손자들(총 20명선)도 아직까지는 아무도 당뇨가 없는데........
가장 큰 외손녀(김씨)는 경남 김해가 태생지로 자라 문씨 집안에 시집을 가서 경남에서 살아왔는데 이명박 정부에서 * 간암으로 죽었다(65세 전- 부산시 북구 소재의 부민병원), 그러나 당뇨는 아니었다.

첨부 파일 : ♬ 식도암, 간암 추적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간암 ....... 간암으로 죽은 이가 많다. 나의 행정대학원 은사(전주 이씨)의 부인(이화여대 가정학과 졸업)이 김영삼 정부에서 간암으로 죽었으며 상기 나의 이종 언니가 이명박 정부에서 간암으로,
문재인 정부인 2018. 2월 순창고추장 민속 마을에서 정부 식품인 장류를 생산하는 안인영씨가 간암으로 죽었다고 한다. 남편이 권씨다.

-- 2018. 9. 10(월) --
등록 : 2018. 9. 10(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보건복지부 (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
파일 등록 : 2019. 3. 21(목)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외
.....................
재등록 : 2019. 5. 7(화)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대통령 연금..............
1969년 박정희 정부에서 제정된 대통령 예우법에 의해 대통령은 퇴임 후 대통령의 연금은 받는다.

공무원 연금의 연금제도는 1960년 1월 1일부 신규 도입 (이승만 정부- 임기가 끝나는 해)
- 대상 : ① 선거에 의하여 취임하는 공무원, 동리장, 동리의 직원, 조건부로 채용된 공무원과 임시로 채용된 공무원을 ‘ 제외한’
모든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에게 이 법을 적용함.

-- 공무원 연금지 2015년 1월호, 54쪽~ 55쪽 및 법제처 홈페이지(2015. 1. 20일 현재)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 목 : ★ 대통령 연금 - 관련 법령 살펴보기


[ 현행 헌법 : 1987년 10. 29일 공포 ]

..............................................
제4장 정부
제1절 대통령

제66조 1항 : 대통령은 국가의 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
동조 4항 :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한다.
...........................................
※ 헌법
제1장 - 총강
제2장 - 국민의 권리와 의무
제3장 - 국회
제4장 - 정부 ........ 제1절 : 대통령 / 제2절 : 행정부
제5장 - 법원
제6장 - 헌법 재판소
제7장 - 선거관리
제8장 - 지방자치
제9장 - 경제
제10장 - 헌법개정

----------------------------

0. 공무원 연금제도 (법) - 1960년 1월 1일

공무원 연금의 연금제도는 1960년 1월 1일부 신규 도입 (이승만 정부- 임기가 끝나는 해)
- 대상 : ① 선거에 의하여 취임하는 공무원, 동리장, 동리의 직원, 조건부로 채용된 공무원과 임시로 채용된 공무원을 ‘ 제외한’
모든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에게 이 법을 적용함.

-- * 공무원 연금지 2015년 1월호(공적연금제도의 유래와 우리나라 공적연금체계] , 54쪽~ 55쪽 및 법제처 홈페이지(2015. 1. 20일 현재) --
_______________________
* 공무원 연금지 2015년 1월호(공적연금제도의 유래와 우리나라 공적연금체계] , 54쪽~ 55쪽....................... (내용) : 공무원과 군인을 적용대상으로 하는 공무원연금제도가 1960년에 가장 먼저 도입이 되었고 1963년에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하는 군인연금제도가 공무원 연금제도에서 분리되었다.
1975년 사립학교 교원과 사무직원을 대상으로하는 사립학교 교직원연금제도가 도입이 되었다. 또한 별정 우체국직원을 위한 연금제도가 1982년 도입되어 현재 4개의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 공무원 연금지 2015년 1월호 53쪽 ~56쪽)

**
.
.

0. 대통령 연금........
1969년 박정희 정부에서 제정된 ‘ 대통령 예우법’ 에 의해 대통령은 퇴임 후 대통령의 연금은 받는다.

**
.
.
0. 공무원 연금법 - 전면개정 1982년 12월 / 2003. 3월 최후 개정분
- 소관 : 행정자치부

제1장 총칙
제3조(정의) 1항 : 이 법에서 정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1. 공무원이라 함은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자
가.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그밖의 법률에 의한 공무원, 다만 군인과 선거에 의하여 취임하는 공무원은 제외한다.

등록 : 2020. 1. 30(목)
식약처(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보충 : ★ 대통령 연금 - 관련 법령 살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