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김치의 생산 왜 못했나 ?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수신 : 김동연 기획재정부 장관 / 이개호 농림식품부 장관 / 17곳 시도지사

주 제 : 식품안전

제 목 : 김치의 생산, 왜 못했나 ?


식품전문가들이 가장 먼저 정부식품을 생산코자 한 것이 김치다. 그들은 자신들의 가정에 김치 냉장고를 들이지를 않았다.
왜냐면 김치는 한국인의 밥상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지만 또한 김치를 담는 방법이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가 많을 것이므로 식품전문가가 생산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김치가 아직까지도 생산되지 못하고 있다.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함께 사는 가정의 반찬에서 시어머니가 가장 오래도록 보아주거나 맡아주는 반찬이 바로 김치다.
이 김치가 여태껏 정부식품으로 생산이 되지를 못하는 것은
1. 남성들이 실질적으로 정부식품의 추진을 맡아 왔기 때문이다. [ 뭐 성범죄(?) 라고요 - 한심한 정부 ]
김치를 만들 장소인 공영시장도 있으며
또한 김치를 팔 재래 전통시장도 있고
재정도 중앙에서 재래시장 활성화와 관련해 매해 지방청에 지불해 왔다. 즉 재정도 있다.
또한 김치가 여지껏 생산해서 판매가 되지 못한 것은
2. 제안자 외 아무도 정부에서 김치를 생산해 줄 것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정부에 식품전문가도 없으며
3. 또한 김치를 담아 주기를 요청하는 국민이나 공무원 및 여성도 없다보니 오늘에 이른 것이다.

-- 2018. 11. 5(월) --
등록 : 2018. 11. 5(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