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범어사선 양방로, 그리고 산책로

내용
글쓴이 : 안정은

제 목 : 범어사선 양방로, 그리고 산책로


범어사선(팔송 - 범어사 경외 주차장)은 양방로였으나 10여년쯤부터 일방 통행로가 되었다.
지역 어르신(최면장, 양사장, 조만근씨 등)들이 꼭두 새벽이면 함께 산보에 나서 차가 왕래하지 않는 범어사길에 산보로 나서는 듯 하시더니 이제는 모두 고인이 되셨다.
어르신들이 한두분 돌아가시면서 아마 범어사선을 어르신들의 산보길로 하시고자 건의가 있었던지 산책길은 생겼는데 길에서 덧댄 산책길이 생겼던 것이다. 장가계의 잔도나 귀곡잔도의 기술이 도입된 덧댄 한국의 산책길이다.
어르신들은 팔송에서 출발해서 십리(즉 4Km) 거리라는 곳(나무아미타불이라는 비문이 선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고 체조를 하신 후 하산하셨을 것이다. 바로 그 지점에는 제안자의 조부가 묻힌 공동묘지가 있는 곳이다. 일제 강점기에 돌아가셨다. 언젠가 어느 일꾼이 그곳에 있는 비문의 비석(나무아미타불)을 없애려고 비문에 손을 대니 손이 저릿해서 그대로 두었다더니 그 비문은 여전히 있는지 모르겠다. 그곳이 팔송(중앙대로에서 범어사선으로 진입하는 곳의 옛 지명)에서 10리라고 하였는데 그래서 그곳에 비문을 세운 듯하고 팔송에 사는 어느 대처승(춘산스님)은 밤에 범어사에 가면서 그 지점을 지나면 호랑이가 불에 눈을 켜서 지켜준다고 들렸는데 사실인지 거짓인지는 모르나 대처승도 승려인데 거짓말을 할 리가 있겠는가
제안자는 침례병원을 사회복지시설 양로원 및 요양원으로 하고 그 아래의 길(침례병원에서 태광산업이 있는 곳)을 일방통행으로 해서 길의 한쪽에는 산책길을 내도록 건의했다.
2018년 9월 13일 부산일보에서 보니 범어사선 중에서 범어사 경외 주차장과 금샘로를 양방통행로로 한다고 한다.
잘한 일이다. 그리하면서 예전 청룡동 범어사선 진입로에서 나무아미타불이 있는 곳까지 현재의 길에서 산책길을 구분해서 내고
그 위쪽의 범어사선은 그대로 두어도 될 것이다. 윗길은 사월 초파일 등으로 교통이 혼잡하면 주차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범어사에 들어가는데는 입장료를 받았는데 아래 마을에 토박이 사람들 외에도 전입자가 많아지자 아래 마을에 사는 이들은 “ 요 밑에 사는데요 ! ” 하고 범어사에 무료 입장을 하고자 하면 입장료를 받는 곳에서는 “ 이불 밑에 있는 사람들도 돈을 받는데 요 밑에 있는 사람들 돈은 왜 못받습니까 ” 라며 입장료를 받았다는 말이 전해왔다.
제안자 가족의 선산은 그 중간 지점에 있고 이 신작로가 일제 강점기에 생겼는데 지방자치화가 되고 공시지가가 오르면서 범어사 길로 들어간 부분의 선산을 정부에 기부채납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하였는데 선산의 공시지가가 높지 않아 그대로 둔듯하다.
제안자가 제안서를 제출하고 얼마 있지 않아 상기 지역의 어르신들이 제안자가 하는 일을 알고 “ 운동장을 지으면서 일을 추진하는 것은 ‘ 남자들이 나서 하는 일’ 이라 ” 걱정을 하셨다고 들었다. 당시가 안상영 시장님이 재임할 당시였다.
금정구청의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살펴보니 없어진 것이 있다. 자유 게시판이다. 윤석천 금정구청장 당시에 있던 것이 없어졌으니 이를 용두사미라고 하는지 ?

-- 2018. 9. 14(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