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거대시도 나누어서 다스려야 한다

첨부파일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거대시도 나누어서 다스려야 한다 (경기. 서울)
제 목 : 독신자 가구 증대 현상, 그리고


다음 ☆ 1, 2에서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도의 인구는 경남이나 부산시 인구의 3배를 넘나드는 인구수이다. 시도지사가 장승이 아니라면 서울과 경기도는 2인의 시도지사가 다스려야 한다. 서울시장이 박원순 3선의 시장이고 경기도는 이재명시장이 이번에 당선이 되었다.
그런데 서울도 경기도도 여태껏 시도를 나누어서 다스려야 한다는 말은 전혀 나오지 않으며 또한 이들 2곳은 제안서를 제출하고 자유 게시판이 바로 열린 적이 없었다. 그리되니 부산이 고향이며 서울시에 살던 최명화씨가 (청와대에 2회 근무한 임00씨의 처형 - 당시 서울 거주) 60세도 되지 못해 폐암으로 죽고
경기도에서는 망 안동수의 질녀 2명이 시집을 가서 2명이 다 이혼해 오고 1명은 친정에서 지내다가 목메어 자살을 했다( 아들이 하나)
세칭 가족폭력이다.
시도에 시도지사 2인이 다스리는 것 별로 어렵지 않지만 위정자들은 그것은 자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해서 여태껏 직무유기를 해왔고 이는 사건 사고가 터지면 오히려 면피용이 되므로 오히려 단체장 선거 자리에서 인기가 더 있는 지역이 되어 왔다.
그러하니 이 두곳에는 역시 생산하는 정부식품도 없다.
서울, 경기, 인천은 세종시의 세종사무소에 시도 기획실에 근무하는 공무원 1인씩 파견하고
서울 박원순 시장은 설탕을 미국에서 수입하더라고 정부식품인 서울 깎뚜기를 생산해야 한다. 경기도 인천시도 마찬가지다. 염치가 있어야지

0. 경기도와 서울은
2인의 시도지사가 다스려야 한다. 지금이라도 선거를 하면 되는 것이다

0. 다음 ☆ 1 과 같이 한국에는 남녀 1인세대가 많다. 그래서 음식점 영양사 제도 입법화 해야 한다. 법규 많이 바꾸지 않아도 된다.
사법고시에 합격한 대통령이 현 대통령이라던데..... 맞나 ?


=========== 다 음 ==================

☆ 1

작성자 : 안정은

나 홀로 가구, 2인 가구 제쳤다


2015년 인구센서스의 분석에서
한국의 1인가구가 520만명으로 전체의 27%로 1위가 되었다.
26년새 5배로 불어난 셈이다.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절반이상이 1,2인 가구인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05년 / 백분위(%) // 2015년 / 백분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인 가구 / 20 % (4위) // 1인 가구 / 27% (1위)
2인 가구 / 22.2 % (2위) // 2인 가구 / 26.1% (2위)
3인 가구 / 20.9% (3위) // 3인 가구 / 21.5 % (3위)
4인 가구 / 27% (1위) // 4인 가구 / 18.8% (4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16. 9. 8(목), 조선일보 1면, 손진석, 양모듬 기자 --

- - - - - - - - - - - - - - - - - -


☆ 2
..............................................................................
17시도 주민등록 인구 : 2016. 8월분 (차례순)
................................................................................


=========================================
등위 : 시도 (시도지사명) / 세대 - 인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위 : 경기도 (남경필) / 4,957,788 세대 - 12,649,894 명
2 위 : 서울특별시 ( 박원순) / 4,191,784 세대 - 9.971,111 명
3 위 : 부산광역시 (서병수) / 1,446,943 세대 - 3,507,205 명
4 위 : 경상남도 (홍준표) / 1,379,312 세대 - 3,369,074 명
5 위 : 인천광역시 (유정복) / 1,166,089 세대 - 2,938,902 명
6 위 : 경상북도 ( 김관용) / 1,177,080 세대 - 2,701,293 명
7 위 : 대구광역시 (권영진 ) / 989,966 세대 - 2,485,537 명
8 위 : 충청남도 ( 안희정) / 895,543 세대 - 2,088,268 명
9 위 : 전라남도 ( 이낙연) / 838,643 세대 - 1,902,883 명
10위 : 전라북도 (송하진) / 787,155 세대 - 1,865,232 명
11위 : 충청북도 (이시종) / 676,658 세대 - 1,588,025 명
12위 : 강원도 (최문순) / 688,816 세대 - 1,548,844 명
13위 : 대전광역시 (권선택) / 602,899 세대 - 1,516,165 명
14위 : 광주광역시 (윤장현) / 585,038 세대 - 1,472,432 명
15위 : 울산광역시 (김기현) / 454,409 세대 - 1,173,005 명
16위 : 제주도 (원희룡 ) / 264,314 세대 - 637,172 명
17위 : 세종특별시 ( 이춘희) / 90,537 세대 - 234,510 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총 계 : 21,192,974 세대 - 51,649,552 명
============================================

* 자료 : 통계청(청장 : 유경준 ) > 국가 통계포털 > 인구, 가구 > 주민등록 세대수, 주민등록 인구 ( 2016. 9. 3일(토) 발췌

**
-- 2018. 8. 6(월) --
등록 : 2018. 8. 6(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서울시청 (시장 : 박원순) - 시민참여 - 자유 게시판(비회원게시판 ) : 실명 인증단계에서 장애 - 휴대폰으로 실명 인증 불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