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종의 미 - 매난국죽

내용
※ 1
한국은행은 2017년 올해 2분기 말(6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전 분기보다 29조 2000억원(2.1%)이 늘어 1,388조 3000억원으로 집계가 되었다고 2017. 8. 23일 밝혔다. 가계부채란 한국인의 가정에서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의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재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 신용)까지 합친 금액이다. (- 부산일보, 2017. 8. 24, 목요일, 이정희 기자 )
.
.
작성자 : 안정은
-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 한국방송통신대학 가정학과 (5년과정) 졸업 : 가정학사


- 내집 장만하기 -
한국인들이 가계 빚이 많다고 한다. 내 집 장만을 위한 빚이 아니었는지.....
결혼, 취업 등으로 가정을 구성하면 집이 있어야 한다.
집을 마련하는 방법은 처음에는 (월세 + 전세)의 집을 구해서 생활을 하다가 아기를 낳고 키우면서도 조금씩 저축해서 월세를 점차 줄이고 전세금을 늘리는 전셋집을 구하면 자연스레 내집이 장만하여진다.
요즈음 교통이 괜찮은 지역의 아파트 전세액은 집 구매가의 60%에 이른다. 부산의 변두리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값싼 집들이 많다.
- 제안자가 국민임대주택이 평수가 적으면서 월세도 비싸다고 하는 이유이다. 이는 국공유지의 부지를 집가에 산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해서는 안된다. 국민임대주택을 분양하지 않는다면 토지에는 감가삼각도 없다. 그리고 대한주택공사 직원들의 보수는 정부에서 나오고, 땅도 국공유지인데... -
되돌아가서
결혼하고 나서 처음부터 자가용을 소유하면 차고지가 있는 집을 구해야 하므로 주거비(=주택 생활비)가 많이 나가서 저축이 어렵다. 보통 차량은 구입시부터 수년에 걸쳐 나누어서 차량값을 지출해야 하고 동시에 차량 운영비 (자동차세, 기름값 등)가 들므로 저축이 어렵게 되어 결국 집의 장만도 많은 부채를 내어 집을 구하게 되면 결국 그 가정은 빚쟁이가 되고 마는 것이다.

첨부 생략 : ♬ 저축왕이 되고 가계부를 씁시다 !

-- 2012. 7. 5(목) --
.
.
*
※ 2

- 달력이 나왔다 -
가계부는 미리 사 두어도 이듬해에 쓸 수 있다. 그러나 달력은 그리 쓸 수 없는데 그래선인지 달력이 일찍 나왔다.
세우는 책상 달력, 낱장의 일정기록 달력 등이다.
그리고 연말 연시의 연하장과
축하합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라고 예쁘게 새겨진 연말의 인사 엽서도 나왔다. 찾아뵙(가)기는 뭣하면서 그냥 넘어가기에는 다소 미안한....
그래서 연말 연하의 엽서는
우리의 인생살이에서 ‘ 유종의 미’ 를 거두게 하는 편지다.
우리 조상들은 대(매화, 난초, 국화, 대)를 좋아했다. 대는 줄기에 마디가 있다. 그래서 해마다 우체국에서 나오는 연말연시의 연하엽서에는 매. 난. 국. 죽의 그림이 많았다.

참고로 - 이하 줄임

-- 2017. 10. 31(화) --
.
등록 : 2017. 10. 31(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