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설명상식
총 291건 (25/30)
- 코덱스(Codex) 기준
- Codex = 국제식품규격 Codex 잔류기준이란 국제연합의 FAO와 WHO에서 조직되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AC ;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가 사람들의 건강보호와 국제적인 식량·농산물의 원활한 유통을 도모할 목적에 따라 국제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농산물에 적용하는 잔류기준으로서 권고하고 있는 것 현재 국내 식품위생법상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Codex 기준을 적용토록 되어 있음 ※ Codex 잔류기준 작성에 관여하는 조직 ▷국제식품규격위원회(CAC ;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잔류농약규격부회(CCPR ; Codex Commitee on Pesticide Residues) ▷FAO/WHO 합동잔류농약회의 (JMPR) - FAO 식품/환경중 잔류농약전문가 회의 - WHO 잔류농약전문가 그룹
- 클로로포름
- 수돗물 중 발암성 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의 3분의2 정도는 클로로포름 이다. 염소와 유기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데, 수돗물 오염과 비례하 여 수도구로부터 트리할로메탄이 나오고 있다. 예전에는 의약품(마취 제)으로 사용되었지만 요즘엔 용제로 쓰이며 마취 작용이 있어 범죄에 도 자주 쓰인다.
- 탁도
- 물위에 떠있는 부유물질의 정도에 따라 물의 맑고 탁한 정도를 측정해낸 값. 탁도의 표준액에는 카올린을 사용하고 있으나 천연의 탁도는 꼭 이와 같지는 않다. 저수지의 밑바닥이나 홍수시의 적탁등 입도 조성의 변화에 의하며 입자가 큰 것이 혼입, 미립자의 집합등 다양하므로 입도 조성에 대한 검토가 중요하다. 탁도 는 정수 방법 선정, 약품 처리 시설 설계 처리 조작을 위한 기본적 항목이기도 하다.
-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유기염소계 용제의 하나로 퍼클로로에틸렌이라고도 한다. 드라이 클리닝이나 반도체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데 유사 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과 함께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어, 유해물질로 지정되었다. 발암성물질이다
- 토양오염유발시설
- 토양오염물질을 생산·운반·저장·취급·가공 또는 처리함으로써 토양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장치·건물·건축물 및 장소 중에서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 유독물의 제조 및 저장시설을 토양오염유발시설로 지정하여 관할 시·군·구에서 등록관리하고 있다.
- 트로키제(Troches)
- 의약품을 일정한 형상으로 만든 것으로 입안에서 천천히 녹이거나 붕해시켜 구강, 인두 등에 적용하는 제제
- 트리클로로에틸렌(TCE)
- 약칭 트리클렌. 클로로포름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서, 비등점 88도에서 기화하기 쉽다. 불연성이며, 유독하다. 탈지제나 드라이클리닝용제, 유지의 추출, 소화제 등에 쓰인다. 흡입하면 현기증, 구역질, 경련 등의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미국산업위생협회에 의한 허용농도는 50ppm이다.
- 틴크제(Tinctures)
- 생약을 보통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액으로 침출하여 만든 액상의 제제
- 파스타제(Pastes)
- 의약품의 보통 분말을 비교적 다량 함유하게 만든 연고제와 같은 외용제
- 폐기물
- 쓰레기·연소재·오니·폐유·폐산·폐알칼리·동물의 사체 등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 없게 된 물질. 일반적 개념으로는 쓰레기라고도 하지만 엄밀한 의미로는 구분을 해놓았다.폐기물관리법에서의 정의와 대비해서 일반인의 통념에서 보면 버리는 것은 모두 폐기물이라고 볼 수 있다. 발생 주체에 따라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로 구분되는데, 사업장폐기물 이외의 것을 생활폐기물이라 하며, 공장·공사작업장 등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것을 사업장폐기물이라고 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및 자료관리 담당부서
자료관리 담당부서
- 대기진단평가팀
- 051-309-2768
- 최근 업데이트
-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