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환경LIFE 소식
총 16건 (1/2page)
-
철도소음 조사결과물환경생태팀 | 김민정 | 051-309-2916 | 2022-12-12우리원은 도심을 통과하는 열차에서 발생하는 철도소음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부선 1개 지점(북구 금곡동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산지역본부)과 동해남부선 1개 지점(연제구 거제동 거일교회)에 대하여 년 1회(24시간 연속측정) 소음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시기는 9월 22일 ∼ 23일 주간(06시∼21시)과 야간(22시∼05시)시간대로 나누어 연속측정을 하였습니다. 조사방법은 소음진동공정기준(ES 03304.2C 철도소음관리기준 측정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측정장비는 01 dB Symphonie(프랑스)를 사용하였습니다. 측정결과 경부선은 주간(평균) 58 dB(A), 야간(평균) 52 dB(A)로 관리기준(주간 : 70 dB(A), 야간 60 dB(A))을 만족하였으며, 동해남부선은 주간(평균) 57 dB(A), 야간 53 dB(A)로 관리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한편, ..
-
석면건축물 실내공기 중 석면 조사물환경생태팀 | 정태욱 | 051-309-2912 | 2022-09-14우리원은 석면건축물 실내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농도의 관리기준 준수여부와 석면건축물 관리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올해 3월부터 5월까지 부산시와 구·군에서 소유하고 있는 석면건축물(석면이 함유된 건축자재 사용 면적의 합이 50㎡ 이상인 건축물) 159개소 중 50개소에 대한 실내공기 중 석면조사를 완료하였습니다.조사대상 50개소의 석면 및 섬유상 먼지농도가 관리기준(0.01 개/㎥) 이내였으며, 전체 평균 농도는 관리기준의 30% 수준인 0.003 개/㎥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조사대상 중 시설별로는 행정기관(행정복지센터)과 보건·복지시설군이 평균농도 0.004 개/㎥, 면적별로는 500~1,000 ㎡인 건축물에서 평균농도 0.004 개/㎥로 가장 높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해당 시설군과 면적군에서 공통적으로 이용객 수가 많은 민원실,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
-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기관"으로 재인정 받아물환경생태팀 | 정태욱 | 051-309-2912 | 2022-06-09우리 연구원은 잔류성오염물질 측정기관(다이옥신 검사기관)을 대상으로 환경부가 실시한 검사능력 심사평가에서 ‘다이옥신 전문검사기관’으로 재인정받았습니다. 이는 연구원이 시행하는 검사 중 환경대기 분야(소각장 포함) 검사에 이어 하천수 및 폐수, 토양 분야의 검사에 대해서도 대외적인 신뢰성을 확보한 것입니다. 다이옥신 전문검사기관으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훈련된 전문 분석인력과 고가의 특수장비를 보유해야 하고, 주기적으로 검사능력 평가를 받아야 하는 등 까다로운 인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전국 지자체 중 경기도와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만 환경 중의 다이옥신 검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원은 지난 2005년 다이옥신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된 이래로, 그해부터 대기 조사사업을 시작하는 등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업무를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해운대, 명지소각장..
-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대기오염도 검사 수행물환경생태팀 | 정태욱 | 051-309-2912 | 2022-03-10우리원은 2021년 부산 시내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309곳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82.5% 해당하는 255곳이적합하였습니다.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 시내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총 309곳에 대해▲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탄화수소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검사하였으며, 검사결과 총 21곳이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과(부적합) 항목은 ▲탄화수소 19건▲먼지 2건이었으며, 또한 33곳이 작업물량 부족, 사업장 폐쇄 등으로 측정이 불가하였습니다. 초과 사업장을 지역별로 살펴보면도장시설이 많은 사상구가 11곳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사하구 7곳 ▲강서구 2곳 ▲영도구 1곳 순으로 많았다. 이는 도장시설, 금속 제조시설, 선박부품 제조시설 등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이 주로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부산시는 이번 검..
-
키즈까페 환경안전성 조사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1-12-03우리원은 작년 3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부산 시내 키즈카페 전체를 대상으로 「키즈카페 환경안전성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보건환경연구원 최초로 실시됐으며, 키즈카페에 사용된 벽지, 도료, 완충재 등 마감재와 실내공기질이 2023년 5월 시행 예정인 환경보건법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에 적합한지 사전에 조사하고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작년 3월부터 부산 시내 150곳의 키즈카페 전체를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유행 등으로 인한 장기휴업 및 폐업 시설 67곳을 제외한 83곳에서 523건을 조사한 결과, 31곳(37.3%)의 키즈카페에서 42건이 환경안전관리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중 시트지, 완충재, 도료 등 마감재의 중금속 기준 초과 시설이 9개소, 실내공기질 기준 초과가 18개소, 중복 초과 4개소를 확인하였..
-
동네별 미세먼지 정보서비스 실행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1-09-08우리원은 2021년 7월부터 시민들이 동네별 대기질 정보를 확인하고 고농도 대기오염에 대비할 수 있도록「동네별 미세먼지 실시간 정보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 서비스는 부산지역 27개 도시대기측정소의 관측자료와 대기질 진단평가시스템의 고해상도(1km × 1km) 모델링자료를 매시간 수집∙융합처리해서 부산지역 206개의 행정동별로 예측된 초미세먼지(PM-2.5) 정보(‘좋음’ ~ ‘매우나쁨’)를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정보공개시스템 홈페이지(https://heis.busan.go.kr)를 통해 시민들에게 제공됩니다. 그동안 대기질 정보가 없는 동네는 대기오염측정소가 설치된 인근 동네의 관측정보를 활용하였으나, 1군 발암물질로 알려진 초미세먼지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증가하면서 대기오염측정소 설치를 확대해 달라는 시민들의 요구가 있었습니다. 이에 연구원은 지난 2년간(2019~2020년) 신뢰도..
-
생활악취 합동 조사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1-06-09우리원은 내 집 앞 하수구, 도심하천 및 주변 소규모 사업장의 악취로 인한 생활의 불편함을 줄이고자 생활악취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부산 시내 악취로 인한 민원이 많은 곳을 선정하여 2020년 하수구와 하천의 각 10개 지점에 대해 복합악취와 황화수소 등 주요 악취물질을 조사하였습니다. 하수구의 복합악취 희석배수(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때 까지 희석해야 하는 양)는 3~100배로 하수관거 청소, 강우 및 관거 내 오수의 부패 정도에 따라 악취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요 원인물질은 황화수소로 0.01~1.88 ppm이었습니다. 하천의 복합악취는 3~20배로 조사시기별로 차이를 나타냈으나 유기물질의 유입 및 하천 정체구간에서 악취강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주요 악취원인물질은 0.01~0.09 ppm 농도의 황화수소로 특히, 8월 석대천에서 0.09 ppm으로 인근 주민이 쉽게 불쾌감..
-
도로교통소음 측정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1-03-09우리원은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정책 수립에 반영하고자 부산시 소음실태를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도로교통소음측정망은 차량 운행에 의한 도로교통소음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우리시에서 자체적으로 주거지역(해운대구, 북구, 사하구), 상업지역(연제구), 공업지역(사상구)에 자동소음측정기를 설치하여 365일 24시간 소음을 측정하고 있으며, 지역별·주야간별 별도의 기준으로 기준초과 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2020년 도로교통소음을 총 43,227회 조사한 결과 65db(A) ~ 72dB(A) 로 69%가 도로교통 소음관리기준을 초과하였습니다. 2020년 교통소음 기준초과 빈도는 2019년에 83%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이는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과 『중앙버스전용차로(BRT) 시행』 등 도로환경 변화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특히 연제구 기준초과 빈도가 2019년 87%에 비해 ..
-
항만지역 대기오염도 검사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0-12-09 2017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전체 미세먼지 배출량의 37.6%가 선박에 의해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부산지역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서는 항만지역의 미세먼지 모니터링과 배출량 저감이 매우 중요한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원은 2017년부터 부산북항(부산항5부두)과 부산신항(신항만다목적터미널)에 항만 대기측정소 2개소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항만지역의 대기질 측성을 이해하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원인분석 및 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2020년 미세먼지 고농도발생 시 기상자료, 선박(PORT-MIS자료)과 화물취급장비 배출량 등을 이용하여 대기확산모델링(CALPIFF)을 수행한 결과, 서풍계열 발생 시 항만 배출에 의해 부산신항 및 녹산동(항만인근) 측정소에 미치는 영향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고 풍속에 따라 영향반경이 사하구까지 미치는..
-
드론을 활용한 산업단지 대기오염 조사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0-09-08우리원은 드론과 대기질 정밀측정차량 등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부산시 주요 산업단지 내 미량유해화학물질을 조사중입니다. 드론을 활용하면 기존에 사람이 접근할 수 없었던 산업단지 상공에서 실시간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장착된 시료채취박스를 통해 시료를 포집할 수 있습니다. 드론으로 채취한 시료는 대기질 정밀측정차량에 탑재된 SIFT-MS(선택이온흐름관-질량분석기)를 활용하여 벤젠, 폼알데하이드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현장 정밀분석을 수행합니다. 2020년 상반기 신평장림산업단지, 사상공업지역, 생곡일반산업단지에 대해 드론을 활용하여 대기오염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환경정책기본법상 대기환경기준물질인 벤젠의 경우, 신평장림산업단지 0.29 ppb, 생곡일반산업단지 0.28 ppb로 조사되었으며, 사상공업지역 내 일부상공에서 최대 5.12 ppb로 대기환경기준(연간평균 1.5 p..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0-06-09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처음으로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란 미세먼지 고농도가 예상되는 시기에 평소보다 강화된 다양한 저감대책(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공공기관 차량2부제 실시, 선박 연료유 황 함유량 규제, 항만지역 저속운항프로그램 운영, 도로 청소차 확대운영)을 통해 미세먼지의 고농도 발생강도 및 빈도를 완화시키는 정책입니다. 부산지역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된 기간동안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21㎍/m3로 지난해(28㎍/m3)와 비교해 25% 감소하였고, 나쁨일수(일평균 35㎍/m3 초과)도 전년 24일에서 올해 10일로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부산지역 PM2.5 농도 감소 원인은 전년과 대비해 동풍계열 바람이 잦고, 강수량과 강수지속시간이 증가하면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기 불리한 기상조건이 많았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영향과 계절..
-
전국 최초 악취지도 제작물환경생태팀 | 김주인 | 051-309-2917 | 2020-03-05우리원은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악취관리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악취 우려지역과 악취 배출원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악취지도를 전국 최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악취지도는 자료수집, 공간정보화, 공간분석, 지도작성 등 4단계로 GIS(지리정보시스템)와 연동해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악취민원 신고 및 악취발생원 위치를 공간정보로 변경하고 신고위치와 인접한 배출원 분석을 통하여 악취발생원을 분석하였습니다. 특히 민원 발생지점과 주요 배출업체와의 이격거리를 조정해 한눈에 쉽게 볼 수 있도록 도식화(interactive map)하였습니다. 또한, 악취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여 지도 작성에 관한 전문가 자문을 구하여 최종적으로 지도를 작성하였습니다. 악취민원 발생현황 지도악취검사 결과 지도 부산지역 악취지도를 활용하면 악취민원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오염 확산 예측 및 발생원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할 것이고, 관할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