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카드뉴스

 

부산지역 흰줄숲모기 서식 실태조사

부서명
물환경생태팀
전화번호
051-309-2916
작성일
2022-12-12
조회수
530
2022
겨울
첨부파일
부산지역 흰줄숲모기 서식 실태조사 사진1
내용


우리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모기 발생분포 감시와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의 선제적대응을 위해 부산지역 3개 지점(산, 공원, 우사)에서 채집한모기를 종별로 분류·동정하여 흰줄숲모기를 대상으로 플라비바이러스5종* 유전자검사하는 「흰줄숲모기서식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2년 3월~10월까지채집된 전체 모기 개체수는 총567마리로 총 5속(genus) 8종(species)으로 분류되었으며, 흰줄숲모기(206마리, 36.3%), 빨간집모기(162마리, 28.6 %), 금빛숲모기(74마리, 13.1 %), 큰검정들모기(58마리, 10.2 %), 작은빨간집모기(45마리, 7.9 %), 한국숲모기(14마리, 2.5 %), 토고숲모기(7마리,1.2 %), 중국얼룩날개모기(1마리, 0.2 %)순으로채집되었습니다. 

2면 감염병 정보 사진2

  

월별 모기개체수는 사업이 시작된 3월부터채집이 시작되어 8월에 159마리로 최대로 채집되었습니다. 흰줄숲모기는 5월(11마리)부터 채집되어 6월(20마리), 7월(43마리), 8월(72마리), 9월(55마리), 10월(5마리)까지채집되었고, 흰줄숲모기 체내에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기 위한real-time RT-PCR 결과, 플라비바이러스 5종유전자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면 감염병 정보 사진3

 

 

특히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증 중 국내 발생이 많은 뎅기열은 2020년 1월 의료기관 내 주사침에 의한 뎅기열 감염 전파를 제외하면 모두 해외에서 유입된 건으로, 해외 뎅기열 유행 및 우리나라의 해외 방문객 증가로 인한 뎅기열 유입에 대해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국내 뎅기열 환자는 2019년에 많이 발생한 이후 2020~2021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감소로 뎅기열 환자발생 수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최근 국제선 항공 정상화로 여행 및 방문이 재개되어 뎅기열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면 감염병 정보 사진4

 

앞으로도 우리원은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의 토착화를 방지하기 위해 흰줄숲모기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유무를 지속적으로감시하여 부산지역 해외유입모기매개감염병의 발생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감염병연구부 감염병조사팀 보건연구사 정지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