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오륙도 해맞이공원 수선화는, 인기있는 자연 포토존
천연욱 2025-03-27
2007년 10월 1일 명승으로 지정된, 부산 남구 용호동의 오륙도에 어제 다녀왔습니다.오륙도는 육지와 가까이 있는 방패섬과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으로6개의 섬으로 나누어지는데 밀물일 때는 방패섬과 솔섬이 1개로 보여서 5개섬처럼보인다고해서 오륙도라... -
요산 김정한(1908-1996)의 삶과 문학 - 요산 문학관
최영광 2025-03-25
요산 김정한은 1908년 경남 동래에서 태어나 193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단편 「사하촌」이 당선되면서 등단했으며 한국문학사에서 치열하게농촌사회의 현실을 투시한 작가 가운데 한 명으로 손꼽힌다.요산김정한문학관은 작가 김정한의 숭고한 문학 정신과 민족 정신을계승, 발전,... -
부산 항일학생운동 근원 장산 <항일촛불광장>
김동균 2025-03-21
매년 3월이 오면 3.1절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가 전국적으로 펼쳐진다.예나 지금이나 공통점은 불의에 항거하기 수단으로촛불을 들었다는 점 이다. 장산항일촛불 광장지금으로부터 100여년전 동남해를 향해 웅장하게 솟아있는 해운대의 진산(鎭山) 장산계곡 절골에서 촛불의거가 일... -
부산이동(플랫폼)노동자 지원센터 - 도담도담
최영광 2025-03-10
부산이동노동자지원센터는 이동, 플랫폼노동자를 위해 쉼터를 제공하고,각종 교육 상담과 정책 개발 및 홍보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도담도담은어린아이가 탈 없이 잘 놀며 자라는 모양‘ 이라는 순우리말로,센터가 휴식공간뿐만 아니라 성장하는 공간이 되기를 기원하는마... -
산책과 휴식, 힐링이 되는 곳 회동수원지 땅뫼산 황토숲길
금광진 2025-03-05
부산 금정구 오륜본동에 있는 회동수원지 가보셨나요?부산 시민들의 상수원이 되고 있는 회동수원지는 맑고 깨끗한 오륜본동에 위치하였답니다. 그래서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서 우리가 방문을 해도 더 깨끗하게 이용하고 돌아가야하는 곳입니다. 한때는 접근이 어려웠던 회동수원지... -
묘봉산기슭 행복도량 ‘혜원정사’ 탐방하다
황복원 2025-03-03
▲ 도심속 행복도량 혜원정사의 이모저모 조각상부산광역시연제구 고분로 68번길에 위치한 혜원정사는 부산시지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불교를 깨달음을 찾고자 하는 국민이라면 반드시 닦아야 할 삼학을 이루기 위해 수행의 동산이라는 뜻으로 연제구 ... -
산책과 휴식과 조망 명소 <신포나루공원>
박정도 2025-03-02
부산 사하구 하단동에서 낙동강하굿둑을 지나서 강서구 명지동 방향으로 가면 하굿둑 다리 끝 오른쪽에 ‘신포나루공원’이라는 색다른 명소가 있습니다. 신포나루공원은 맥도생태공원 자전거 길의 출발점으로 1987년 하단동과 명지동을 연결하는 낙동강하굿둑 다리가 연결되면서 명지 ... -
해운대 동백섬 절경 <해안산책로·출렁다리>
김동균 2025-02-27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우네.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 ”위 글은 우리 부산을 대표하는 가요중 하나인돌아와요 부산항에 가사 중 일부이다.대중가요 가사는 ‘우리의 정서를 이완시키고, 경험과 느낌을 회생시키는 강력한 촉매제가 되며... -
재생과 친환경을 추구하는 문화공장 - F1963
최영광 2025-02-26
F1963은 2016년 부산비엔날레를 계기로 탄생했으며 “F”는 Factory(공장),1963은 수영공장이 완공된 연도를 의미 합니다.수영공장은 고려제강의 모태가 되는 첫 공장으로 1963년 부터 2008년까지45동안 와이어를 생산하던 공장입니다. F1963은 재생건축... -
동래부역사와 충절의 현장을 걷다
황복원 2025-02-23
▲ 동래읍성을 지키고 있는 초병의 모습(조형물)부산시동래구 동래읍성 성지는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 주변은 당시 동래읍성 성지입니다. 조선시대 동래부를 지키기 위해서 왜군과 싸움을 치렀던 곳으로 많은 문화와 읍성의 현장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부산을 여행을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