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코로나 시대 "성찰·사유" 담다
김향희 2020-12-31
부산현대미술관이 코로나 시대의 성찰과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4개의 기획전 △'혁명은 도시적으로' △'개인들의 사회' △'푸른 종소리' △'동시대-미술-비즈니스: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질서들'을 개최하고 있다. △혁명은 도시적으로'전 여창호 건축가 작품 '방콕 포-레스... -
하늘 나는 연처럼 부산 훨훨 날아오르길
조민제 2020-12-28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21호 지연장(紙鳶匠) 배무삼. 그가 만들고 날리는 연은 ‘동래연’이다. 동래연은 ‘부산 전통연’이다. - 출처 및 제공 : 권성훈■부산의 인물/배무삼 부산시 무형문화재 지연장스마트폰과 컴퓨터 게임이 유행하는 요즘과 달리 연날리기는 지난날 최고의 ... -
BIFF와 영화도시 부산 뿌리였던 극장
조현경 2020-12-16
1903년 무렵 지어져 … 현재 광복로 삼거리 인근`영화도시 부산'은 언제부터 시작했을까? 흔히들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시작된 무렵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부산 최초의 극장이 언제 어디서 시작됐는지 안다면 그 생각은 좀 바뀔 것이다.부산 최초의 극장은 현 남... -
동궐도, 왕명으로 그려진 궁중 비밀 `예술 걸작"으로
조현경 2020-12-02
조선초기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국보 제249호 `동궐도'는 흥미로운 작품이자 중요한 사료이다.`274×578.2㎝'의 초대형 작품인 동궐도는 현재 2점이 전한다. 서울 고려대 박물관과 부산 서구 동아대 석당박물관이 각각 보관하고 있다.고려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 -
매축지마을, 어둠 벗고 근대 부산 기억 간직한 곳으로
김영주 2020-12-02
매축지마을(부산 동구 성남삼로 18번길 일대)은 시간의 흐름이 비켜간 듯한 오래된 마을이다. 과거 부산진 해안을 메워 만들어 `매축지'(埋築地)라고 불린 이곳은 일제강점기 일본이 군수물자를 옮기기 위해 조성했다.일본은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후 만주지역으로 보낼 각종 군... -
근현대 부산 역사 격랑 품은 부평시장
김영주 2020-12-02
부산 최초의 공설시장은 어디일까? 답은 중구의 부평시장이다. 부평시장(부산시 중구 부평동1가)은 1915년 부산부에서 `부평정(富平町) 공설시장'이라는 이름으로 개설한 최초의 공설시장이다.개설 당시 저렴한 생필품 판매로 크게 번성했다. 6·25전쟁 이후부터는 미군 물자... -
노랫말에 담긴 우리 말·글의 묘미
조민제 2020-11-27
△전시 포스터.대중가요 노랫말의 발자취와 노랫말에 담긴 우리 말과 글의 묘미를 보여주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부산시립박물관(관장 송의정)은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과 공동으로 특별전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를 지난 11월 10일부터 2021년 1월 10일까지 박... -
어른·아이 모두 읽기 좋은 ‘부산 동화’ 두 권
조민제 2020-11-26
부산은 문학 장르 가운데 ‘아동문학’이 특히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 ‘아동문학의 중심도시’라는 위상과 명성에 어울리게 향파 이주홍, 시인이자 아동문학가로 널리 알려진 최계락 등을 배출했으며 지금도 많은 아동문학가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오랜 세월 부산 출판계를 든... -
육군도 아닌 수군이 사냥을 나간다고?
조민제 2020-11-26
- 출처 및 제공 : 도서출판 은누리∎좌수영 수군, 절영도 사냥을 나가다육군도 아닌 수군(해군)이 사냥을 나간다니? 제목부터 궁금증을 자아낸다. 경상좌수영 수군 부대가 함대를 이끌고 절영도(지금의 부산 영도)로 출동해 사냥한다는 뜻이다. 해상 출동부터 절영도 사냥까지 ... -
50여 년 만의 귀환…복천동(동아대) 1호분 제자리로
조민제 2020-11-26
△복천동(동아대) 1호분 발굴 당시 뚜껑 돌을 들어 올리는 모습. 사진제공·복천박물관부산 동래구 복천동고분군에서 처음 발견된 무덤이 다시 제자리를 찾았다.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69년 최초로 발굴·조사된 복천동(동아대) 1호분이 50여 년 만에 원위치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