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사람·공유' 주제 `낙동강 정원'… 국가정원 지정 잰걸음
낙동강 삼락둔치 일대 250만㎡ 국내 최대 규모 지방정원 조성
전남 순천만·울산 태화강 이어 3번째 국가정원 지정 `유력'
- 내용
■낙동강 지방정원 부산 사상구 낙동강 삼락둔치 일대가 `낙동강 지방정원'으로 재탄생했다. 부산 첫 번째이자 국내 최대 규모 지방정원이다.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8월 삼락둔치 일원 250만㎡의 하천부지를 제1호 `낙동강 지방정원'으로 등록·고시했다. 전남 순천의 순천만국가정원과 울산의 태화강국가정원에 이어 세 번째 국가정원으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다.
부산 사상구 낙동강 삼락둔치 일대에 조성한 `낙동강 지방정원'이 국내 3번째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사진은 `낙동강 지방정원' 일대를 하늘에서 촬영한 모습).
지방정원은 부지면적이 10만㎡ 이상이어야 하며, 그 가운데 녹지공간이 40% 이상이어야 한다. 또 주제정원을 갖추고 정원을 관리하는 전담조직과 전문관리인을 두고 자체 품질·운영관리 평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지난 2022년 7월 `부산시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지난해 환경부, 문화재청,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낙동강 지방정원'을 등록했다.
이와 함께 낙동강관리본부에 `국가정원 전담팀'을 신설, 낙동강 지방정원 운영과 함께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제1호 부산 낙동강 지방정원인 삼락둔치 일대 부지는 국유지로, 과거 농경지로 이용되다 지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낙동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자연수로, 습지, 보호숲, 자연초지, 산책로 등을 조성하고 철새도래지로 기능할 수 있게 복원됐다.
낙동강 지방정원은 갈대, 습지, 자연녹지 등 삼락둔치의 우수한 자연자원을 활용해 부산의 정원문화·관광·여가 활성화와 정원산업 확산을 도모하고, 생활 속 정원문화를 정착·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면모를 갖춘다.
부산시는 낙동강 지방정원의 자연자원을 활용하고 철새도래지라는 여건을 반영해 철새, 사람, 공유, 야생 4개 주제로 구역을 나눠 정원을 조성하고 운영한다.
겨울철에는 철새먹이터를 조성해 정원을 철새들에게 내어주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계절별 다양한 꽃밭을 조성해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정원에 조성된 감전야생화단지를 활용해 체험·정원교육의 공간을 만들고, 보호숲 녹지대를 시민이 함께 가꾸는 참여정원으로 조성한다.
삼락둔치 상단부는 강변을 따라 샛길 생태문화탐방로를 조성하고, 강변에는 걷고 체험할 수 있는 강변정원을, 수로변에는 갯버들정원과 갈대정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철새와 사람이 공존하는 정원으로 낙동강 지방정원을 3년 이상 내실 있게 가꾸고 운영한 다음, 국내 최대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정원은 2015년 9월 지정된 순천만국가정원(1호 92.6만㎡)과 2019년 7월 지정된 태화강국가정원(2호, 83.5만㎡) 2곳이다.
국가정원 지정은 정원 면적이 30만㎡ 이상이어야 하고, 5종류 이상의 주제별 정원을 갖춰야 한다. 정원전담조직과 전문관리인을 두고, 지방정원 등록 이후 3년 이상 운영을 잘해야 한다. 산림청의 정원 품질 및 운영관리 평가 기준도 충족해야 가능하다.
부산시는 낙동강 지방정원을 내실 있게 운영하면서 국가정원 기본구상안을 마련해 산림청, 환경부, 문화재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부산시는 낙동강 국가정원 지정 추진을 계기로, 기반 구축 연계사업을 적극 추진해 서부산권 균형발전도 함께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낙동강 지방정원 상단부를 지나가는 대저대교 건설로 인한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 대규모 생태습지를 조성하고, 이 습지를 낙동강 국가정원의 대표 공간으로 개발한다는 복안이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24-06-1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411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