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부산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일본말

내용

부산은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도 왜관이 설치된 곳이어서 타지역 사람들보다 일본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부산은 생선회의 도시라서 그런지 먹거리를 이야기 할 때 부산사람들은 '회 한 사라' 란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사라' 는 접시를 뜻하는 일본말이므로 '회 한 접시' 라고 하는 것이 바른말이다.  예전보다는 일본말 사용이 많이 줄기는 했지만 식품이나 의류 등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일본말 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아나고','앙꼬', '센베이' ,'멸치다시', '찹쌀모찌', '덴뿌라', '다마네기', '스시' 등은  '붕장어', '팥소', '전병', '멸치국물' ,'찹쌀떡', '튀김' ,'양파', '초밥' 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하고, '애리' ,'우와기' ,'가다마이' ,'기지' ,'소데나시' , 한소데' 등은 '깃' ,'윗옷', '양복저고리' ,'천' ,'민소매', '반소매 등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일상 생활용어에도 일본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증권찌라시', '구지뽑기', '시다노릇','스리를 당했다',  '단서속에 있다', '저거 가라야' ,'퀴스가 났다', '나라비를 섰다',  '사람이 유도리가 없어' 등등...    대부분 별 생각없이 무심코 튀어나오는 일본말들이다. 이런 말들은 ' 증권 전단지', '제비뽑기' ,'하인노릇', '소매치기를 당했다', '장롱속에 있다', '저거 가짜야' ,'흠이 났다', '줄을 섰다' ,'사람이 여유가 없어'  등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밖에도  일본말인줄도 모르고 사용하는 말들도 많다. '부산사람들은 앗살하다' 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는데 '앗살' 이란 말은 일본어 '앗사리' 에서 유래된 듯 하므로 '부산사람들은 시원스럽다' 로 바꿔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 '무대뽀' 라는 말도 자주 듣게 되는데 이 말 역시 '함부로' 라는 우리말로 바꿔쓰야 할 것이며  부모에게 나쁜 짓을 하는 자식을 두고  '호로자식' 이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호로' 라는 말 역시  일본어라서 '불효자식' 혹은 '나쁜자식' 으로 바꾸어 쓰야 할 것이다.

 

또  일본말과 한국말을 섞어서 사용하는 말들도 있다. '삐가뻔쩍' 이란 말이 그렇다. '삐가삐까' 란 일본말은 우리말로 '뻔쩍번쩍' 이란 말인데 이 두 말을 하나씩 섞어서 '삐까뻔쩍' 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장난스럽게 사용하는 말이기는 하지만 순수하게 '뻔쩍뻔쩍' 이란 우리말로 사용하면 좋겠다. '닭도리탕' '전구다마' 도 같은 경우다. '닭도리탕' 은 ''도리'란 말이 일본어로 닭이므로 닭닭탕이란 뜻이 되므로 '닭볶음탕' 이라고 바꾸어 사용해야 할 것이며  '전구다마 역시 '전구알' 이란 뜻이 되므로 그냥 '전구' 라고 말하는 것이 올바른 것 같다.

 

이렇게 우리는 알게 모르게 무심코 일본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 나이 많으신 어른들의 말을 그냥 생각없이 받아들여 사용하다 보니 그런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혹자는  요즘은 글로벌 시대인데 일본말 좀 사용하면 안되나 하기도 하지만  아름답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리말을 두고 굳이 일본어를 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한글날을 맞이해서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의 깊은 뜻을 생각하면 좀 더 우리말을 많이 사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작성자
정헌숙/이야기 리포터
작성일자
2016-10-05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