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일본말
- 내용
부산은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도 왜관이 설치된 곳이어서 타지역 사람들보다 일본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부산은 생선회의 도시라서 그런지 먹거리를 이야기 할 때 부산사람들은 '회 한 사라' 란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사라' 는 접시를 뜻하는 일본말이므로 '회 한 접시' 라고 하는 것이 바른말이다. 예전보다는 일본말 사용이 많이 줄기는 했지만 식품이나 의류 등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일본말 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아나고','앙꼬', '센베이' ,'멸치다시', '찹쌀모찌', '덴뿌라', '다마네기', '스시' 등은 '붕장어', '팥소', '전병', '멸치국물' ,'찹쌀떡', '튀김' ,'양파', '초밥' 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하고, '애리' ,'우와기' ,'가다마이' ,'기지' ,'소데나시' , 한소데' 등은 '깃' ,'윗옷', '양복저고리' ,'천' ,'민소매', '반소매 등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일상 생활용어에도 일본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증권찌라시', '구지뽑기', '시다노릇','스리를 당했다', '단서속에 있다', '저거 가라야' ,'퀴스가 났다', '나라비를 섰다', '사람이 유도리가 없어' 등등... 대부분 별 생각없이 무심코 튀어나오는 일본말들이다. 이런 말들은 ' 증권 전단지', '제비뽑기' ,'하인노릇', '소매치기를 당했다', '장롱속에 있다', '저거 가짜야' ,'흠이 났다', '줄을 섰다' ,'사람이 여유가 없어' 등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밖에도 일본말인줄도 모르고 사용하는 말들도 많다. '부산사람들은 앗살하다' 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는데 '앗살' 이란 말은 일본어 '앗사리' 에서 유래된 듯 하므로 '부산사람들은 시원스럽다' 로 바꿔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 '무대뽀' 라는 말도 자주 듣게 되는데 이 말 역시 '함부로' 라는 우리말로 바꿔쓰야 할 것이며 부모에게 나쁜 짓을 하는 자식을 두고 '호로자식' 이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호로' 라는 말 역시 일본어라서 '불효자식' 혹은 '나쁜자식' 으로 바꾸어 쓰야 할 것이다.
또 일본말과 한국말을 섞어서 사용하는 말들도 있다. '삐가뻔쩍' 이란 말이 그렇다. '삐가삐까' 란 일본말은 우리말로 '뻔쩍번쩍' 이란 말인데 이 두 말을 하나씩 섞어서 '삐까뻔쩍' 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장난스럽게 사용하는 말이기는 하지만 순수하게 '뻔쩍뻔쩍' 이란 우리말로 사용하면 좋겠다. '닭도리탕' '전구다마' 도 같은 경우다. '닭도리탕' 은 ''도리'란 말이 일본어로 닭이므로 닭닭탕이란 뜻이 되므로 '닭볶음탕' 이라고 바꾸어 사용해야 할 것이며 '전구다마 역시 '전구알' 이란 뜻이 되므로 그냥 '전구' 라고 말하는 것이 올바른 것 같다.
이렇게 우리는 알게 모르게 무심코 일본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마도 나이 많으신 어른들의 말을 그냥 생각없이 받아들여 사용하다 보니 그런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혹자는 요즘은 글로벌 시대인데 일본말 좀 사용하면 안되나 하기도 하지만 아름답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리말을 두고 굳이 일본어를 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한글날을 맞이해서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의 깊은 뜻을 생각하면 좀 더 우리말을 많이 사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작성자
- 정헌숙/이야기 리포터
- 작성일자
- 2016-10-05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