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도심 속 또 다른 세상 국가지질공원

내용

부산은 바다, 산, 강하구 등 다양한 지형을 지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하여 지질명소가 참 많다. 부산국가지질공원으로는 낙동강하구, 몰운대, 두송반도, 송도반도, 두도, 태종대, 오륙도, 이기대, 장산, 금정산, 구상반려암, 백양산 등 12개 지질명소다. 부산의 7개 구에 걸친 부산국가지질공원은 면적이 151.48㎢로 2013년 12월 환경부로부터 국가 지질공원으로 인증 받았다.

부산국가지질공원은 북부지구, 동부지구, 남부지구, 서부지구 4개 권역별로 나뉘는데 권역별로 특징이 있다. 북부지구에는 화강암이 융기하여 만들어진 기암절벽, 토르, 나마, 인셀베르크, 블록스트림의 바위산인 금정산, 8천만 년 전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화산쇄설암, 퇴적암, 화강암, 석회동굴과 폭포가 있는 백양산, 황령산 일대 암석에 핵을 중심으로 광물들이 동심원을 그리는 구상반려암이다. 동부지구에는 화산재, 용암, 화쇄류로 이루어진 산과 다양한 화산암이 웅장한 장산이 해당한다. 서부지구는 낙동강이 남해바다와 만나 만든 삼각주, 사주, 사구, 석호가 있는 낙동강하구다. 남부지구는 몰운대, 두송반도, 송도반도·두도, 태종대, 오륙도·이기대로 고대 박물관으로 공룡, 용암으로 만들어진 동굴, 퇴적층이 자랑이다.

우리나라는 제주도, 울릉도. 독도, 부산, 청송, 강원평화지역, 무등산권 등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부산은 화산의 역사와 공룡시대의 지층을 간직한 천혜의 지질유산으로 인간의 역사와 함께 땅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태고의 숨결을 느끼며, 또 우리 삶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도심속의 또 다른 세상인 부산국가지질공원으로 구경하러 부산으로 많이들 놀러 오세요.

< 부산국가지질공원 안내 >
전화 : 051-888-4894
문의 : 부산시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
홈페이지 : http://geopark.busan.go.kr

작성자
이정례/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5-08-1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