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불교 사법물을 알면 범어사 문화재가 달리 보인다.

내용

때를 맞춰 두드리거나 쳐서 소리를 내는 일종의 타악기인 동시에 삼라만상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한 소리 공양구의 의미를 지닌 사법물을 아십니까? 사찰에서 사법물은 형태의 아름다움이나 신앙적인 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수품이다. 흔히 사법물을 함께 모아 1층에 다 있으면 범종각이라고 하고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범종루라고 부른다. 범어사 종루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된 2층 누각으로 종루에는 범종, 법고, 운판, 목어 등 사법물이 있다.

시각을 알리거나, 대중을 모으기 위해, 사찰의식을 행할 때 쳤던 범종은 멜로디 없는 음악이다. 범종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이 종소리를 듣고 마음이 맑고 밝게 되어 극락세계에 태어나길 기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범종은 조석예불이나 의식 때 치는데. 치는 횟수는 아침에 28번, 저녁에 33번을 친다.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뜻의 법고는 부처님 법을 널리 전하여 중생의 번뇌를 물리치고 해탈을 이루게 하는 의미가 있다. 소가죽을 댄 법고는 짐승의 제도를 위해 치고, 아침저녁 예불 시에 울린다.

청동으로 된 판에 구름모양이 새겨진 운판은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양각되어 있다. 운판이 울리면 공중을 날아다니는 생물들과 허공을 헤매며 떠도는 영혼을 달랠 수 있단다.
물고기 모양에 그 속을 비워 나무채로 쳐 소리 내는 목어는 수중에 사는 생물들을 구하기위해 목어를 친다. 또한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이 잠에 취하지 말고 또렷이 깨어 정진하라는 의미로 치기도 한단다.
법구 불교 사법물의 의미를 알고 문화재를 보면 문화재가 달리 보인다. 범어사 종루는 평소엔 소리를 통해 중생을 제도하고 위기 시에는 금정산성을 지키기 위하여 활동한 승군 지휘소의 역할을 하는 역사적 장소까지 했다니 한 번 더 꼼꼼하게 둘러본다.

작성자
이정례/부비리포터
작성일자
2014-09-1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