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도시철도 ‘임산부’ 좌석, 편하고 안전하게!

내용

부산시민이면 가끔 생소한 말을 들을 때가 있다. 시민 대다수는 ‘지하철’ 하면 금방 알아듣지만, ‘도시철도’라 하면 이해하기가 곤란하다. 지하철, 전철하면 가장 쉽게 알아듣는다. 그러나 도시철도가 정확한 표현이다.

이 도시철도열차 내 임산부가 승차를 하면 열차 한 칸에 앉는 좌석 처음과 끝자리는 의자 등 받침에 이렇게 글을 써서 붙였다. 예뿐 여성사진과 함께 사랑의 하트와 함께 ‘임산부 먼저’, ‘임산부, 영유아동반자에게 좌석을 양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를 위한 좌석입니다’ 라는 글을 만날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이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특히 부산은 총인구 352만여 명 중 외국인 3만6천여 명이다. 65세 이상 어르신인구비율은 12.5%이다. 유아출산비율은 전국에서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 휠체어 지정석입니다. 양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라는 글도 있다. 승강장에는 장애인이나 휠체어를 쉽게 탈 수 있도록 표시도 했다. 부산교통공사가 시민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해 주고, 장애인, 임산부는 마음 놓고 탑승할 수 있다.
또 주말이나 주중에도 자전거를 도시철도열차에 싣고 간다. 물론 주중에는 접이식자전거만 허용된다. 공간부족으로 승객을 최대한 예우하기 때문이다. 주말에는 전 자전거 모두 허용을 하고 있다.
한편 부산역과 부전역을 오가는 한국철도공사(korail)가 운영하는 국철을 잘못 알고 있는 시민도 간혹 있다. 도시철도가 지하철이라는 것을 시민은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인구 십만 명이 안 되는 중구와 동구는 통합운영을 해야 한다.

작성자
황복원/부비리포터
작성일자
2014-09-1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