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기왓장 담장 ‘옥련선원’ 길을 걷다.

내용

IMG_0706 

▲ 덕수궁 돌담길 있다면 수영 기왓장담장 길의 모습. 

부산광역시수영구 민락동에 위치한 백산‘옥련선원’은 최치원이 은둔하여 참신했다고 하는 유서 깊은 고찰입니다. 사찰은 민락초등학교 정문을 지나면 조금 가파른 오르막길입니다. 사찰입구는 일주문이 세워져 있지요. 이곳 사찰에도 예외는 없어요, 일주문에는 백산옥련선원이라고 한자로 써 붙였습니다. 


IMG_0715
IMG_0705
▲ 전통적이 사찰 옥련선원 수양과 명상의 온상

이 사찰은 도시 속 동해바다를 내려다보면서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정신수양과 명상을 할 수 있는 시민들의 힐링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변 지역민들이 많이 찾아와서 자연과 어우러져 함께하며,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참선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더욱 좋습니다. 


IMG_0710
▲ 이 사찰의 특징은 기왓장담장 길입니다.

우리가 통상 기왓장이라고 하면 밥술이라도 먹고사는 대가는 대부분 기왓장으로 지붕을 얹어서 위엄 있고 고풍이 묻어나는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라고 말하단 그런 기와를 많이 보아 왓지만 이곳 옥련선원으로 가는 한쪽 담장은 기와로 한줄 쌓고 흙으로 쌓고 기와를 얹은 것이 정말 정갈하고 품격 있는 사찰입구를 아름답게 꾸며 놓았습니다. 


IMG_0717
IMG_0720
▲ 사천왕천 불상

사천왕은 불법의 수호신입니다. 동방에는 지국천왕, 서방에는 광목천왕, 남방에는 증장천왕, 북방에는 다문천왕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항상 부처님의 가르침을 잘 듣는다고 해서 다문천왕이 리더 격 입니다. 


IMG_0723
▲ 옥련선원의 대웅전 웅장한 모습

대웅전은 사찰의 본당을 말합니다. 대웅은 즉 석가 불을 말합니다. 따라서 본존이 석가불인 경우에만 대웅전이라고 부르며, 영주암은 대웅보전이라고 한다. 


IMG_0725
 

IMG_0716
▲ 석정에서 앉은 무리들의 모습

토끼와 거북이 등 동물들이 서로 함께 모여서 자기들만의 생존 방법대로 말은 못해도 서로 일맥 행동으로 대화를 하고 있는 동물들의 생존방법이죠


IMG_0734
IMG_0736
▲ 옥련선원에서 입불 ‘미륵대불’의 모습

백산 중턱에 입불 형식으로 세워진 ‘미륵대불’은 그 높이가 15m이고, 부처님의 중량은 일천 오백톤 이랍니다. 필자가 찾아간 날에도 미륵대불을 돌고 있는 불자님이 보입니다. 그리고 한 불자여성은 주변을 청소하는 모습에 ㅊ참 불교신도라는 것을 깨우쳤습니다. 

작성자
황복원
작성일자
2025-06-11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