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왓장 담장 ‘옥련선원’ 길을 걷다.
- 내용
▲ 덕수궁 돌담길 있다면 수영 기왓장담장 길의 모습.
부산광역시수영구 민락동에 위치한 백산‘옥련선원’은 최치원이 은둔하여 참신했다고 하는 유서 깊은 고찰입니다. 사찰은 민락초등학교 정문을 지나면 조금 가파른 오르막길입니다. 사찰입구는 일주문이 세워져 있지요. 이곳 사찰에도 예외는 없어요, 일주문에는 백산옥련선원이라고 한자로 써 붙였습니다.
▲ 전통적이 사찰 옥련선원 수양과 명상의 온상이 사찰은 도시 속 동해바다를 내려다보면서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정신수양과 명상을 할 수 있는 시민들의 힐링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변 지역민들이 많이 찾아와서 자연과 어우러져 함께하며,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참선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더욱 좋습니다.
▲ 이 사찰의 특징은 기왓장담장 길입니다.우리가 통상 기왓장이라고 하면 밥술이라도 먹고사는 대가는 대부분 기왓장으로 지붕을 얹어서 위엄 있고 고풍이 묻어나는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라고 말하단 그런 기와를 많이 보아 왓지만 이곳 옥련선원으로 가는 한쪽 담장은 기와로 한줄 쌓고 흙으로 쌓고 기와를 얹은 것이 정말 정갈하고 품격 있는 사찰입구를 아름답게 꾸며 놓았습니다.
▲ 사천왕천 불상사천왕은 불법의 수호신입니다. 동방에는 지국천왕, 서방에는 광목천왕, 남방에는 증장천왕, 북방에는 다문천왕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항상 부처님의 가르침을 잘 듣는다고 해서 다문천왕이 리더 격 입니다.
▲ 옥련선원의 대웅전 웅장한 모습대웅전은 사찰의 본당을 말합니다. 대웅은 즉 석가 불을 말합니다. 따라서 본존이 석가불인 경우에만 대웅전이라고 부르며, 영주암은 대웅보전이라고 한다.
▲ 석정에서 앉은 무리들의 모습토끼와 거북이 등 동물들이 서로 함께 모여서 자기들만의 생존 방법대로 말은 못해도 서로 일맥 행동으로 대화를 하고 있는 동물들의 생존방법이죠
▲ 옥련선원에서 입불 ‘미륵대불’의 모습백산 중턱에 입불 형식으로 세워진 ‘미륵대불’은 그 높이가 15m이고, 부처님의 중량은 일천 오백톤 이랍니다. 필자가 찾아간 날에도 미륵대불을 돌고 있는 불자님이 보입니다. 그리고 한 불자여성은 주변을 청소하는 모습에 ㅊ참 불교신도라는 것을 깨우쳤습니다.
- 작성자
- 황복원
- 작성일자
- 2025-06-1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