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건강생활-요실금과 키켈운동/ 양종필(부산산부인과의원 원장)
출산·여성호르몬 결핍 원인 괄약근 강화운동 효과
- 내용
- 요실금 중에서 심한 기침이나 줄넘기, 계단 내려올 때, 달리기 할 때 소변을 참지 못하고 조금씩 질금질금 나오거나 옷에 묻는 현상을 긴장성 요실금이라고 한다. 심한 사람은 항상 패드를 하고 다니는 경우가 있다. 요실금은 대부분 출산시 태아의 머리에 의한 회음부 근육과 괄약근의 손상, 요도와 방광의 탈출, 질의 과도한 이완으로 발생한다. 또 갱년기에 접어들면서 여성호르몬의 결핍으로 질의 수축력 감소에 의해서 복합이나 방광 압력 증가시에 요도를 지지하는 괄약근의 힘이 약해져 소변을 억제하지 못할 경우에도 생긴다. 요실금 치료의 원리는 약해진 괄약근의 힘을 키우고 늘어난 방광과 요도를 올려서 제 위치에 가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나 심하지 않을 경우는 괄약근 강화운동과 약물요법을, 심한 경우나 일차요법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방법을 쓴다. 괄약근강화 운동법은 키켈(Kegel) 운동법이라 하여 기구 없이 복부에 힘을 빼고 항문과 질을 수의적으로 오므리고 펴는 방법과 콘이라는 무게가 다른 여러 가지 추를 질안에 무게별로 넣어서 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 다리 사이에 완력기를 끼워 골반힘을 키우는 방법, 양쪽 엉덩이 사이에 물건을 끼워서 오므리는 방법, 질 안에 전기자극을 주어 저절로 괄약근 수축을 일으켜 근육을 강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약물치료 방법은 방광 압력을 낮추거나 요도 괄약근 힘을 강하게 하는 약물이나 갱년기 여성인 경우는 여성호르몬 투여로 질벽 수축력을 보강시켜 주는 것이다. 수술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전방질벽을 통해 탈출된 요도와 방광을 올려주어 요도 내압을 상승시키는 방법과 복부를 통해서 요도를 올려주는 방법이 있다. 수술 후 역으로 배뇨곤란이 오는 경우가 간혹 있고 비만여성, 만성 기침 증상, 힘든 물건을 드는 등 복압 상승의 가능성이 많은 여성에서는 재발률이 다른 사람보다 높을 수 있다. 요실금을 예방하는 방법은 뚜렷한 것이 없으나 과도한 질 이완시 회음부 성형술이나 갱년기가 오면 여성호르몬 치료, 출산 직후부터 앞에서 열거한 괄약근 강화운동을 적극적으로 하면 요실금 예방효과와 남편으로부터 사랑받을 수 있는 부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00-09-1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906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