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총생산 전국비중 2년 연속 확대
13년 4.92% → 14년 4.96% → 15년 5.01%
경제성장률 3.1% … 전국 2.8%보다 높아
1인당 개인소득·민간소비 3위권 수준 유지
- 내용
부산의 지역총생산(GRDP) 전국비중이 2년 연속 높아졌다. 통계청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2015년(잠정) 지역계정통계'에 따르면 부산의 2015년 지역총생산은 78조4천억원으로 전국비중이 5.01%에 달했다. 이는 2년 연속 전국비중이 높아진 것이다. 부산의 지역총생산은 2008년 전국비중 5.47%에서 지속적으로 하락, 2013년 4.92%까지 낮아졌으나 2014년 4.96%로 6년 만에 반등을 기록했다.
부산의 2015년 경제성장률은 3.1%로 전국 2.8%보다 0.3%p(포인트) 높았다. 경제성장률 역시 2013년에는 전국 2.8%보다 1.0%p 낮은 1.8%에 불과했으나 2014년 1.5%p 증가한 3.3%로 도약, 전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올라섰다가 2015년에는 전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총생산과 경제성장률은 경제의 종합지표로 부산경제의 의미 있는 성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부산의 지역총생산 전국비중이 2년 연속 높아졌다. 통계청이 발표한 부산의 2015년 지역총생산은 78조4천억원으로 전국비중이 5.01%에 달했다. 이는 2년 연속 전국비중이 높아진 것이다(사진은 르노삼성차 부산공장 생산라인 모습). 사진제공·국제신문
부산의 2015년 지역총소득은 88조5천억원으로 전년대비 3조7천억원 증가해 전국 4위를 유지했다. 부산의 지역총소득은 지역총생산보다는 10조1천억원이 더 높다. 지역총소득은 지역총생산에서 지역 외로부터의 유출입 소득을 가감해 산출하는 것이다. 지역총생산보다 지역총소득이 높다는 것은 부산이 외부로부터 소득이 유입되는 도시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밖에 2015년 부산의 1인당 개인소득은 1천720만원으로 2009년 1천283만원(6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2년 이후 3위(울산→서울→부산)권을 유지해 오고 있다. 1인당 민간소비 역시 1천535만원으로 2009년 1천173만원(5위)에서 꾸준히 증가, 2012년 이후 3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부산은 그 동안 높은 고령화와 지역거점 효과에 의한 높은 학생비율 등으로 고용률이 낮아 경제적 이미지가 좋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면서 "고용률은 여러 경제지표의 단편적 측면만을 반영한 것이지만 경제성장률과 소득, 소비 등은 해당지역의 종합적인 경제상황을 보여주고, 소득과 소비로 이어지는 삶의 질적 측면에서 볼 때 보다 유의미한 경제지표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올해는 조선·해운산업의 본격적인 구조조정 등으로 서민경제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지자체와 상공계 차원에서 경제 활성화에 보다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7-01-1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62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