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264호 시정

작가가 말하는 바다·빛 미술관 -"부산 정체성 세계 알리는 매개"

내용
제목 없음

작가가 말하는 바다·빛 미술관

 

"부산 정체성 세계 알리는 매개"

 

 

 `바다·빛 미술관'에 작품을 선보인 국내·외 거장들이 지난 5일 부산시청에서 자신의 작품과 예술세계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디지테이션'의 작가 백남준 씨는 고인이 됐으며, `빛의 메시지-부산을 위하여'의 작가 제니 홀처 씨는 개인 사정으로 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했다.  

 

사진설명: 광안리 `바다·빛 미술관'에 작품을 설치한 작가들이 지난 5일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왼쪽부터 앙리 프랑수아 드바이유, 장 피에르 레노, 얀 카슬레, 샤를 드모, 심문섭 씨).

 

 ○`섬으로 가는 길' 심문섭 씨=수중모터로 바닷물을 뿜어올려 미지의 세계인 `섬'으로 가는 길을 표현했다. 물길에 레이저를 쏘아 갈매기와 헤엄치는 소년, 동백꽃 등 부산을 상징하는 소재들을 표현했다.

 ○`영상 인터렉티브' 샤를 드모 씨=존재하지 않는 영화의 예고편 `당신은 미래의 우주 비행사' `죽음 또는 명예' `외계인의 지성은 지구로부터' 3편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반복 상영한다. 본편 영화는 바로 관람객들이 삶을 통해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은하수 바다' 얀 카슬레 씨=해변에 설치한 1천600개의 조명은 파도가 일으키는 `물보라'를 생각하며 만들었다. 물보라가 파도와 육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처럼 백사장과 아스팔트,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표현한다.

 ○`생명의 원천' 장 피에르 레노 씨=전직 정원사였기 때문에 화분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고 그것을 소재로 많은 작품을 만들었다. 작은 화분을 엄청나게 크게 만든 것은 한계를 두지 말자는 의미다. 내 작품이 공간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 예술총감독 앙리 프랑수아 드바이유 씨=칸 영화제와 베니스 비엔날레처럼 많은 도시들이 정체성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문화예술을 매개체로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바다·빛 미술관'이 부산의 정체성에 하나의 점을 찍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연속적으로 많은 작품들을 설치하게 되면 이 해변 전체가 어마어마한 미술관이 될 것이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작성일자
2007-04-1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264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