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과 국력
수평선
- 내용
-
대원군이 하야하고 1873년 고종의 친정이 선포된 이후 조선 조정은 개화파와 수구파가 격돌하면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에 이어 동학혁명 등의 격변의 시기를 겪었다. 일본은 이를 틈타 한반도에서 청나라와 러시아 세력을 밀어내는데 성공했다. 이후 1904년 한일의정서를 통해 일본은 고문정치와 차관정치에 이어 1910년 한일합방조약을 체결했다. 일제강점기 36년의 시작이다. 이 시기는 우리의 주권 박탈과 함께 민족정신이 말살된 공포정치와 시련의 때였다. 일본은 1937년 중일전쟁을, 1941년에는 미국을 공격해 태평양전쟁을 일으켰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1945년 8월15일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다. 한국은 이를 통해 광복을 되찾았다. 우리는 해방과 독립의 날을 광복절로 지정해 조국의 광복을 위해 투쟁한 순국선열들을 추념하고 민족의 해방을 경축하는 국경일로 지키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는 광복 70주년을 맞는다. 의미 있는 해 인만큼 부산을 비롯해 전국이 들썩이고 있다. 14일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돼 국가적인 축하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고, 광복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책이나 학술대회, 각종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정부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민족긍지와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민이 하나 되는 국운융성의 기운을 발양해 궁극적으로 선진한국, 통일로 가는 이정표를 정립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하는 다양한 행사를 추진 중이다. 문제는 아베 정권이 주도하는 일본의 우경화에 대응하는 국가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 국민 다수의 여론이다. 역사를 인정하지 않는 일본을 단죄하기 위해서는 국력이 필요하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5-08-1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92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