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포털
65세 이전에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을 접종한 내역이 있습니다. 재접종을 해야 하나요?
예, 재접종을 권장합니다.▶ 65세 이전에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을 접종했다면 65세 이후에 1회 재접종이 필요하며, 이 경우 이전 접종과 최소 5년의 간격을 유지하여 접종합니다. 다만, 어르신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에 속하여 65세 생일 도래 전에 접종했다면 재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전에 폐렴구균에 감염되었던 사람은 백신 접종이 불필요한가요?
아니요, 접종을 권장합니다.▶ 폐렴구균은 약 90여 가지의 혈청형으로 구분되며, 모든 혈청형이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폐렴구균에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혈청형에 의하여 감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필요합니다.
폐렴구균 백신 접종으로 모든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할 수 있나요?
아니요, 모든 폐렴구균의 감염을 예방할 수는 없습니다.▶ 폐렴구균은 약 90여 가지의 혈청형으로 구분되며, 모든 혈청형이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받으면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에 의한 침습성 감염증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Hib 백신 접종력이 없는 생후 36개월 소아의 경우 접종을 어떻게 하면 되나요?
1회 접종으로 완료합니다.▶ Hib 백신은 접종 시작 연령에 따라 권장되는 일정에 차이가 있습니다. 과거 Hib 백신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생후 15∼59개월 소아의 경우 1회 접종으로 완료합니다.
Hib 백신 접종력이 없는 7세 소아입니다. 지금 접종해도 되나요?
아니요, 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5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무증상 감염에 의해 Hib에 대한 면역력이 획득되기 때문에 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침습 Hib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5세 이상 소아의 경우 소아기에 접종을 받지 않았다면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침습 Hib 감염의 고위험군: 겸상 적혈구증, 비장절제 등에 의한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결핍질환(특히 IgG2 아형 결핍증), 항암치료에 따른 면역저하상태, HIV 감염(성인 제외),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경우 등
Hib백신은 여러 종류가 있다고 하는데, 어느 것을 맞아도 상관이 없나요?
종류에 상관없이 백신 효과가 모두 우수하여 어느 것을 접종하여도 좋습니다.
IPV로 생후 18개월에 4차 추가접종을 한 경우 추가접종을 다시 해야 하나요?
IPV 4차 접종의 최소접종연령은 4세로 생후 18개월에 4차 접종을 하였더라도 4세 이후에 접종이 필요합니다.
생후 2개월에 폴리오 백신 1차 접종 후 다음 접종이 지연된 만 4세 아동이 2차와 3차를 4주 간격으로 접종했는데, 이후 접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4세 이상에서 폴리오 백신 3차 접종 시 2차 접종과 유지해야 할 최소접종간격은 6개월이며, 이보다 이르게 3차 접종을 시행하였다면 4차 접종이 필요합니다.
폴리오 1, 2차 접종 후 2년이 지났습니다. 기초접종부터 다시 해야 하나요?
기초 2회 접종은 유효하므로 처음부터 재접종하지 않으며 지연된 차수부터 접종합니다.▶ 이 경우 즉시 3차 접종을 시행하는데, 3차 접종이 만 4세 이후에 시행되고 2차 접종과 최소 6개월 이상의 간격으로 접종되었다면 4차 접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3차 접종이 만 4세 이전에 시행되었다면, 3차 접종과 최소 6개월의 간격을 유지하여 만 4세 이후에 4차 접종을 시행합니다.
9세 된 아이가 폴리오 예방접종을 한 번도 안 한 경우 몇 회 접종해야 하나요?
3회 기초접종으로 완료하도록 합니다.▶ 1차와 2차 접종은 최소 4주 간격을 두고 시행하며 3차 접종은 2차 접종 후 최소 6개월 뒤에 실시합니다.
※ 자료출처
「2024년 감염병 사업안내」, 「2024년도 예방접종대상감염병관리지침」, 「2024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관리지침」, 질병청감염병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