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포털
과거에 홍역 예방접종을 받았어도 홍역에 감염될 수 있나요?
이전에 권장되는 접종 횟수(2회)를 모두 접종 받았더라도 매우 드물게 홍역에 감염될 수 있지만 증상은 상대적으로 경미합니다.※ MMR 백신 예방효과: 1회 접종 시 93%, 2회 접종 시 97% 예방※ MMR 백신 권장 접종시기: 생후 12~15개월, 만 4~6세 각각 1회 접종
홍역은 의심환자는 반드시 격리해야 하나요?
홍역은 발진이 나타나고 4일까지 호흡기 격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홍역 의심환자가 학교, 유치원, 학원 등 단체시설에서 발생한 경우 발견 즉시부터 발진 발생 후 4일까지 등교 중지가 권장됩니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1조(감염병환자등의 관리)
홍역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 대증 요법(안정, 수분 및 영양 공급)만으로도 호전 경과를 밟습니다. 그러나 홍역으로 인한 합병증(중이염, 폐렴, 설사·구토로 인한 탈수 등)이 있는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홍역은 전염되나요?
홍역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보통 홍역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 할 때 나오는 작은 수분 입자(비말)를 공기 중에 부유하는 동안 흡입하여 감염됩니다. 홍역 바이러스가 공기 중이나 환경 표면에서 몇 시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고, 이때 접촉하여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홍역은 어떤 질병인가요?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습니다. 홍역에 걸리면 초기에 감기처럼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고열과 함께 얼굴에서 시작해서 온 몸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기침 또는 재치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며,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하게 되면 90% 이상 홍역에 걸릴 수 있습니다. 홍역은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백신 2회 접종으로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폐렴구균 다당 백신이 소아에서 중이염과 부비동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까?
폐렴구균 단백결합 백신은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 폐렴구균에 의한 중이염의 빈도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지만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혈청형에 의한 중이염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폐렴구균 다당 백신은 중이염과 부비동염에 대한 예방효과가 없습니다.
폐렴구균 백신 접종력이 없는 2세 된 건강한 아동입니다. 어떻게 접종하면 되나요?
폐렴구균 13가 단백결합 백신으로 접종 시에는 1회 접종으로 완료하며, 10가 단백결합 백신으로 접종할 경우는 최소 8주의 간격을 두고 2회 접종으로 완료합니다.▶ 폐렴구균 백신은 초회 접종연령에 따라 접종일정이 달라집니다. 또한 접종을 시작하였으나 중지 후 재시작하는 경우에도 연령에 따라 총 접종횟수가 달라지므로 향후 접종일정에 대해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7-11개월의 영아에서 이전에 1회 접종력이 있을 경우 추후 접종 일정은 몇 회를 더 맞아야 하나요?
단백결합 백신의 접종일정이 지연된 경우에는 첫 번째 접종을 시작한 월령과 현재 방문한 월령에 의하여 결정합니다.▶ 질문하신 영아는 12개월 미만에 첫 번째 접종을 받았기 때문에 최소접종간격 4주가 경과한 시점(방문시기인 7-11개월)에 두 번째 접종을 해주시고 이로부터 8주가 경과하고 동시에 생후 12개월 이후가 된 시점에 3차 접종을 하여 폐렴구균 백신의 접종을 완료하시면 됩니다.
지금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였다면 얼마 후에 인플루엔자 백신이나 다른 백신을 접종할 수 있나요?
인플루엔자 백신이나 다른 백신과 동시에 접종해도 되고, 접종 전이나 후에 접종해도 됩니다.▶ 불활성화 백신 간에 또는 불활성화 백신과 생백신 간에는 접종간격을 두지 않아도 됩니다.
65세 이후 23가 다당 백신을 1회 접종하여 완료하는데 1회 접종으로 평생 면역이 획득되는 건가요? 또 재접종을 2회로 국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접종 2~3주 후에는 건강한 성인의 80% 이상에서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에 대한 항체가 생기지만, 23가지 혈청형에 대한 각각의 항체 반응 정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노인, 만성 질환, 면역저하자에서는 항체 생성률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다당 백신 접종 후 항체가는 5~10년 후 감소하고, 일부 접종군에서는 더 빠르게 감소합니다.하지만 성인에서 항체가와 침습 질환에 대한 방어력에 대한 관련성은 확실하지 않으므로 혈청학 자료만으로 재접종의 필요성을 논하기에는 제한적입니다.또 3회 이상 접종에 대해서는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므로 일반적으로 추천되지 않습니다.
※ 자료출처
「2024년 감염병 사업안내」, 「2024년도 예방접종대상감염병관리지침」, 「2024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관리지침」, 질병청감염병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