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남항 맞춤형 안전정보

부산남항 해상안전정보

부산남항 해양사고 발생현황[최근 3년간, 2022~2024]

봄철 해양사고 발생현황 해양오염10건 충돌저촉4건 화재폭발0건 좌초침몰2건 침수전복1건 선박표류6건 추락실족4건

봄철 해양사고 발생현황

봄철 유형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봄(3~5월)35건 여름(6~8월)28건 가을(9~11월)27건 겨울(12~2월)20건

봄철 유형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부산남항 봄철 해양사고 발생현황(연도별/유형별)
부산남항 봄철 해양사고 발생현황(연도별/유형별)(연도/유형, 해양오염, 충돌/접촉, 화재/폭발, 좌초/침몰, 침수/전복, 선박표류, 추락/실족, 합계로 구성된 표)

유형

slash

연도

합계

해양오염

충돌/접촉

화재/폭발

좌초/침몰

침수/전복

선박표류

추락/실족

2022

16

5

0

1

0

0

0

10

2023

6

3

0

1

0

1

0

1

2024

13

7

2

1

0

0

2

1

총계

35

15

2

3

0

1

2

12

부산남항 사고분석 및 예방
  • 최근 3년간 봄철(3~5월) 해양사고 35건 발생 [해양오염 15건]

  • 4월은 화재·폭발사고 및 안전사고가 증가 추세에 있어, 철저한 기관·전기설비 점검 및 선내 작업 안전수칙 준수가 요구됨

  • 개인 보호장비 착용, 양망기·어구·줄 등과 안전거리 유지 등 안전수칙 준수 필요

부산남항 안전정보

주요 사고 사례를 통한 해양사고 예방 안내
  • 1. 원양어선 B호 선원사망사건 (선내작업 안전수칙 미준수)

원양어선 B호 선원사망사건 (선내작업 안전수칙 미준수)

사건개요

선박

B호: 원양어선, 1014톤, 길이 70.8미터, 디젤기관 3,309킬로와트 1기

일시
장소

2020. 3. 16. 11:35경

미크로네시아 연방 폰페이항 CFC부두

피해

외국인 선원 B호 사망

날씨

맑은 날씨, 동남풍 초속 1~2미터, 수면 잔잔

원인

  • 이 선원사망사건은 육상으로부터 어구를 인양하던 중 퍼스링*을 묶은 로프가 끊어지면서 데릭 붐(Derrick Boom)의 파워블록을 넘어가지 못한 퍼스링과 체인이 낙하하여 파워블록** 아래에서 작업하던 선원의 머리를 가격하여 발생한 것이나, 선장의 안전관리 소홀과 선원의 부주의도 일부 원인이 된다.
    * 퍼스링(Purse ring) : 그물을 죄기 위한 와이어(Pursing wire)가 통과하는 길이 약 33센티미터, 무게 8.16킬로그램의 고리
    ** 파워블록(Power block) : 메인 붐의 끝단에 매달려 있는 어구 견인장치

교훈

  • 선장은 선내 작업 전 안전교육 시에는 작업 위험요인을 충분히 강조하여 숙지시키고 다양한 사고사례를 알려줌으로써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

  • 선내 안전관리책임자는 작업 중 관리·감독철저히 하여 작업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는지, 위험상황에 처해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 회사(인사담당자)는 본선 선원을 승진시킬 때는 해당 선원에 대한 업무능력 등충분히 평가할 수 있도록 그 선박의 선장·기관장사전협의하여야 한다.

관련
사진

사고당시 선미 갑판 작업자 위치

<사고당시 선미 갑판 작업자 위치>

사고 당시 양 선박의 항적

<(망)선원의 깨진 안전모>

자료관리 담당부서

선박신고팀
051-250-9528
최근 업데이트
2025-04-09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