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친환경 스마트선박 신기술 실증 활동 불법만 아니면 허용 `네거티브 규제'
미래형 암모니아·수소 선박 개발 촉진...국제표준 선점·딥테크 기업 육성 기회
- 내용
■부산 조선업 혁신 부산이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됐다. 올해 6월부터 2028년 4월 말까지 법률에서 금지한 행위가 아니면 별도의 기준이 없는 선박 관련 신기술 실증이 원칙적으로 허용되는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부산이 최근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고 선박 관련 친환경 신기술을 특별한 규제 없이 연구하고 실증할 수 있는 도시로 주목받을 전망이다.
부산은 지난해 12월 중소벤처기업부가 비수도권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공모에서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분야 후보로 선정된 후 관련 부처 협의, 공청회 등 법적 절차를 거쳐 지난 4월 30일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됐다.
부산의 이번 혁신특구 사업에는 한국선급 등 선박 관련 국내·외 기관과 HD한국조선해양, HMM, 에코프로HN 같은 기업이 참여한다. 파나시아 등 부산의 조선기자재 기업 20여 곳도 혁신특구 사업자로 선정됐다.
혁신특구 사업자는 `네거티브 규제'와 실증특례를 인정받아 향후 4년간 암모니아-수소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선박용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OCCS) 등 친환경 기자재 실증과 자율운항 선박 연구개발(R&D) 등을 수행한다. 정부와 부산시는 이들 사업자의 국내외 실증, 해외인증, 책임보험, 사업화, 수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이번 혁신특구 지정으로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는 만큼 최첨단 기술력을 가진 국내 유수의 조선기자재 업체 유치를 기대한다. 이번 혁신특구 사업 추진에 따른 딥테크(혁신기술) 기업 육성으로 관련 기업 매출 증가 3조 원, 1만7천여 명의 고용 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도 전망한다.
부산시장은 "세계 각국은 지금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자율운항 선박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며 "이번 혁신특구 지정으로 부산은 선박의 친환경·스마트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분야 세계시장 선도 도시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24-06-0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410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