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피해 기준, 선진국 수준에 맞춰야”
김해공항 인근 주민 목소리 수렴… 시·국토부·전문가·시민 등 참석
■ 김해신공항 소음피해 해소 토론회
- 내용
"지금도 지붕 위로 항공기가 지나가면 시끄러워서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신공항이 들어서면 대형 여객기가 더 많이 운항될 것이다. 공항 주변 주민의 소음피해 대책을 보다 꼼꼼하게 세워달라."
지난달 22일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김해신공항 소음피해 해소방안 전문가 토론회'에서 나온 공항 인근 주민의 목소리다. 주민들은 소음피해는 단순보상 차원이 아니라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라며 현재 75웨클인 소음기준을 70웨클로 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김해신공항을 차질 없이 건설하기 위해서는 공항 인근 주민의 소음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현재 김해공항 주변 소음피해 가구 수는 강서구 대저동과 강동동의 702가구. 신공항을 위해 새 활주로를 건설하면 소음피해 가구가 870여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신공항 건설에 따른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주민 목소리를 담기 위해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부산시와 국토교통부 관계자, 대학 교수, 항공 전문가, 공항 인근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 국토부 관계자는 "소음피해 지역 규모와 정도에 대해 여러 목소리가 있는 만큼 올해 안으로 소음피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조사 초기부터 주민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수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현재 정부는 항공소음 영향도 75웨클 이상인 지역을 단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독일이나 일본 등 선진국처럼 이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소음피해 기준을 경제 수준에 맞춰 조정하는 등 다양한 대책 마련을 고민할 때"라고 주장했다.
송기한 한국교통연구원 항공교통본부장은 "신공항 추진 초기부터 국회,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이 주민과 소통하며 실효성 있는 소음피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소음피해 해소를 위해 최근 정부에 공항소음방지법을 개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부산상공회의소에서는 지난달 22일 '김해신공항 소음피해 해소방안 전문가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부산시와 국토교통부 관계자, 항공 전문가, 공항 인근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7-03-0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68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