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752호 전체기사보기

국민생선 고등어 요리천국 부산 … 지금이 최고의 맛!

부산, 국내 어획량 80% 차지… 시어(市魚)로 폭넓은 사랑 받아
고갈비·고등어정식 등 부산대표 음식 유명세

관련검색어
국민생선,
고등어
내용

지역마다 지역 구성원들이 특히 좋아하는 음식과 식재료들이 있다. 이를 '향토음식'이라 부른다. 나주의 곰탕, 수원의 왕갈비, 영천의 돔배기 등이 그것이다. 해안지방에서 선호하는 음식은 주로 해산물들이 많은데, 전라도 해안지역의 홍어나 통영의 볼락 등이 유명하다. 부산도 예외는 아니다. 
 

부산이 최대 생산지인 고등어와 멸치 등이 그것이다. 특히 고등어는 부산과 인연이 깊다. 고등어는 부산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선이다. 그래서 다양한 고등어 음식이 잘 발달했으며, 집단화 된 고등어음식 골목이 많다. 
 

story09480.png
▲멀리 갈 필요없다. 부산에 오면 고등어회의 참맛을 눈과 입으로 즐길 수 있다. 

 

고등어 활용 음식 다양

배를 가른 고등어를 넓게 펴서 고소하게 구워내는 광복동 '고갈비 골목'부터 토막 낸 고등어를 번철에 자글자글 구워 반찬으로 내는 자갈치시장의 '고등어정식 골목', 고등어 살을 발라 푹 끓여내는 영도 '고등어 추어탕' 집들과, 활 고등어로 회를 뜬 '고등어회', 식초에 살짝 절여 고소하고 상큼하게 맛을 낸 '고등어 초회'와 '고등어초밥', 그 외에도 고등어조림, 고등어자반과 고등어크로켓 등 고등어로 조리되는 음식의 가짓수만 봐도 부산은 가히 '고등어의 도시'라 부를 만하다. 고등어 국내 총생산량의 80%를 부산의 대형선망이 어획하고, 부산공동어시장에서 대부분을 유통하고 있으며, 부산의 '시어(市魚)'이다. 

 

story09480_1.png
▲부산은 국민생선인 고등어의 도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고등어 출하량을 자랑한다. 고등어의 도시답게 고등어를 가장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음식문화도 발달했다. 가을은 고등어가 가장 맛있는 계절이다(사진은 고등어회를 즐기고 있는 시민들).
 

등이 높고 통통하다고 이름 붙여진 고등어는 예부터 우리 민족이 더불어 즐겨먹던 생선이었다. 지역에 따라 고동어, 고망어 등으로, 크기에 따라 고도리, 열소고도리, 소고도리, 통소고도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렇듯 다양하고 많은 별칭이 있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만큼 고등어는 '풍요의 상징'이기도 하다. 
 

고등어는 군집성 어류로 엄청난 개체수가 떼를 지어 연안을 회유하는데, 그 수도 수지만 통통하고 기름진 살집으로, 한 점 베어 물면 입 안이 꽉 차는 풍성함 또한 여타 생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부산의 대표적 고등어음식은 앞서 밝혔듯이  '고갈비'와 '고등어정식'이다. 이들은 널리 알려진 부산의 음식으로 이미 인정을 받고 있다. 그 외에 타 지역보다 대중화 된 고등어음식을 꼽으라면 '고등어 추어탕'과 '고등어 초회'다. 
 

그중에서도 '고등어 추어탕'은 비싼 미꾸라지를 대신해 고등어로 '추어탕식 음식'을 끓여 먹는 부산음식이다. 부산음식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식재료의 부족'을 '대체 식재료'로 만들어 먹었던 '대체음식'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영양성분이나 맛은 미꾸라지 추어탕과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아 부산사람들에게 널리 사랑받던 음식이었다. 고등어가 주재료라 비릴 것이라 생각하지만 맛을 보면 그 오해가 미안해질 정도다. 비린 맛은 전혀 없고 구수하면서도 진한 국물이 시원하면서 깊은 맛을 낸다. 아침 해장국으로도 좋을 만큼 깔끔하다. 땡초를 넉넉하게 넣어 먹으면 매운맛이 입안을 얼얼하게 하고, 산초와 유사한 제피를 넣으면 특유의 향긋함이 혹시 있을 잡내를 말끔하게 가셔줘 개운하기까지 하다. 

 

story09480_2.png
▲고등어추어탕.
 

부산의 일식전문점에서 맛볼 수 있는 것이 '고등어 초회.' 특히 40㎝ 이상의 고등어로만 장만하는 '고등어 초회'는 꼭 먹어봐야 할 음식이다. 등 푸른 생선 특유의 부드러운 육질과 적당히 배어있는 구수함과 감칠맛, 생선비린내를 잡아주는 은은한 식초향 등이 상큼하고 새콤한 뒷맛의 여운을 남겨 또 다른 백미이다. 고등어 초회를 전문으로 하는 요리점들은 '음식 플레이팅'이 거의 예술작품 수준이다. 접시 위에 고등어가 금방이라도 튀어 오를 듯 생생하고, 그 주위로 자연에서 가져온 꽃과 풀과 나뭇잎을 세팅해 마치 서양화 한 폭을 감상하는 느낌이다.
 

가을철에 가장 맛있어진다는 고등어 요리. 특히 가을고등어는 지방함량이 높아 1년 중 가장 고소하고 맛있기에 미식가들 사이에서는 최고의 맛으로 평가받고 있다. 때문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고등어의 하얀 속살을 맘껏 탐할 수 있는 계절이 요즈음이다. 풍요의 상징인 '가을 고등어'로 가을의 맛도 잡고 건강도 잡아보는 것은 어떨까?  

작성자
글·최원준 시인/사진·권성훈
작성일자
2016-11-0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752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